• Title/Summary/Keyword: 강도(江都)

Search Result 27,653,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Effect of VAE Type Powder Polymer on Strength Properties of High Strength Polymer Cement Mortars (VAE 분말수지가 고강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oi, Jung-Gu;Lee, Gun-Cheol;Ko, Kyung-Taek;Ryu, Gum-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5 no.3
    • /
    • pp.299-306
    • /
    • 2015
  • In construction materials area, many research on polymer for cement-based materials have been conducted. In spite of these research, general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the normal strength range, and thus in this research, for both normal and high strength range mixtures, the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ement mortar incorporating Vinyle Acetate-Ethylene(VAE) type powder polymer are evaluated. As a result of experiment, in the case of high strength mixture, as the amount of VAE polymer addition was increase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were decreased while the tensile and bonding strengths were increased be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polymer membrane inside of the mortar matrix.

Guidelines for fire resistance design of high-strength concrete column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설계 가이드라인)

  • Kim, Dae-Hoe
    • Fire Protection Technology
    • /
    • s.43
    • /
    • pp.34-45
    • /
    • 2007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프로그램의 전체적 결과가 도출되었다.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과 보통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을 비교하였다. 화재상태에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구조적 거동에 영향을 미친는 다양한 요소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설계 가이드라인은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폭렬을 줄이고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준비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Workability, Placement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n the High Strength Concrete in the Field (현장타설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강도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권영호;장승규;양은익;조철근;박칠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3 no.2
    • /
    • pp.97-104
    • /
    • 1991
  • 고강도 콘크리트의 관용화일환으로 500㎏/㎠ 이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B/Ptodtks과 실대구조물의 시공성 및 강도,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장 체적백합비 선정과 레미콘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 시험을 이행하였고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 및 콘크리트를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현장재료와 장비의 사용으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생산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가 500㎏/㎠ 이상을 나타내므로써 나타내므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QUALITY CONTROL OF FIELD CONCRETE

  • 김형걸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1 no.4
    • /
    • pp.9-15
    • /
    • 1968
  • 콘크리트 공사시방에 있어서 강도 최저강도를 지정하는 것이 오늘날 까지의 관습으로 되어있다. 즉, 몇개의 강도시험의 평균치가 얼마이상 이어야 된다든가, 전부의 콘크리트가 얼마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어야 된다든가, 또는 콘크리트는 28일 압축강도 얼마를 낼 수 있도록 콘크리트 단위용 적당 cement를 몇 kg, 혹은 몇 포대를 사용해야 된다 든가로 규정되는 것이 보통으로 되여 있다. 그러나 이 방법만으로는 그 콘크리트의 실제의 안전율을 예측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균질한 콘크리트를 얻는것을 기대할 수가 없을 것이다. 즉 합리적인 시방이 되지 못 한다. 두말 할 것도 없이 우리는 현장에서 건축물설계자가 요구하는 강도의 콘크리트를 얻어야 될 것이고, 또 한편으로 그 강도가 골고루 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강도의 변화가 심하지 않아야 될 것이다. 이것을 기대하기 위하여 concrete 제조현장에서 통계학적 이론에 입각한 품질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므로서 보다 합리적인 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미국에서는 콘크리트 공사의 큰 현장에서 concrete 생산 품질관리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면 여하한 이론에 입각하여 현장에서 다량으로 concrete를 생산할때에 그 품질을 관리하느냐 하는 것을 현재 미국에서 propose 되여 있는 안과 ASTM에 규정되여 있는것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아울러 concrete 공사에서 강도에 관한 시방을 앞으로 이끄러, 나갈 방향을 제시하고저 한다.

  • PDF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Perfobond Rib i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초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Perfobond Rib 전단연결재 거동 평가)

  • Kang, Jae-Yoon;Jung, Woo-Ta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7
    • /
    • pp.5015-5020
    • /
    • 2015
  • Push-out test is performed on perfobond shear connectors applying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s with compressive strength higher than 80 MPa to evaluate their shear resistance. The test variables are chosen to be the diameter and number of dowel holes and, the change in the shear strength of the perfobond rib connector is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strength of two types of UHPC: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180 MPa and concrete without steel fiber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80 MPa. The test results reveal that higher concrete strength and larger number of holes increased the shear strength, and that higher increase rate in the shear strength was achieved by the dowel action.

Strength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Exposed at High Temperature (고온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 윤현도;김규용;한병찬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5
    • /
    • pp.698-707
    • /
    • 2002
  • A review is presented o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trength performance of concrete exposed at short-term and rapid heating as in a fire and after cooling. Emphasis is placed on concretes with high original compressive strengths, that is, high-strength concrete(HSC). The compressive strength-temperature relationships from the reviewed test programs are distinguished by the test methods used in obtaining the data(unstressed, unstressed residual strength, and stressed tests) and by the aggregate types(normal or lightweight),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HSC vary differently with temperature than those of NSC. HSC have higher rates of strength loss than lower strength concret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between 20$^{\circ}C$ to about 400$^{\circ}C$. These difference become less significant at temperatures above 400$^{\circ}C$ compressive strengths of HSC at 800$^{\circ}C$ decrease to about 30 % of the original room temperature strength. A comparison of lest results with current code provisions on the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s on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shows that the CEN Eurocodes and the CEB provisions are unconservative.

치수효과를 고려한 복합재료 봉구조재의 파괴강도

  • 김두환;김덕현;백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14-519
    • /
    • 2003
  • 치수효과는 콘크리트나 암석과 같은 quasi-brittle 재료들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든 재료의 경우에 체적이 크면 흠이 클 수 있다. 구조물의 섬유 묶음 크기가 증가하면, 섬 유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흔히 경험해 왔다. 복합재료내의 강도 분배와 치수사이의 관계를 특성 짓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완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경험에서 얻어진 Filament Wound 튜브에 사용되는 유리 섬유와 에폭시의 인장강도 감소비율 실험데이터로 얻은 그래프로부터 Crasto와 Kim의 일방향 보강된 AS4/3501-6복합재료의 90$^{\circ}$방향 인장강도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복합재료 봉구조재의 강도 치수효과를 증명하였다.

  • PDF

Fatigue Strength Improvement of Carbon Steel by Rapid Cooling from $700^{\circ}C$ (가열급냉에 의한 저탄소강의 피로 강도 향상)

  • 정호신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2 no.2
    • /
    • pp.119-127
    • /
    • 1994
  • 용접 이음부는 토우부의 응력집중에 의해 피로강도가 저하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용접 이음부의 피로강도 개선을 위하여 여러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을 가열후 급랭하여 극저탄소강의 피로강도 개선에 미치는 시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 함유량 0.019-0.080% 범위의 8종의 탄소강을 용해 제조하여 압연한 후 피로시험편을 가공하였다. 이 시험편을 $A_1$점 이하 $700^{\circ}C$로 가열하여 급랭 시효에 의한 저탄소강의 피로강도에 미치는 탄소함유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700^{\circ}C$로부터의 급랭 및 시효에 의하여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는 노랭, 공랭재의 경우에 비하여 훨씬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급랭후의 시효에 의한 피로강도 향상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페라이트의 탄소고용한도 0.02%에 가까운 합금 조성을 갖는 경우이었다.

  • PDF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Using High-Strength Reinforcement for Ductility Assessment (고강도 철근을 활용한 휨 부재의 연성거동에 관한 연구)

  • Kwon, Soon-Beom;Yoon,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2 no.1 s.4
    • /
    • pp.119-126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appropriateness for using high strength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high strength concrete. Nine flexural tests were conducted on full-scale beam specimens according to the concrete strength, reinforcement strength and reinforcement ratio as main variable. The structural behavior was analyzed due to the flexural strength, stress-strain curve, deflections at yielding and fracture point, crack appearance and ductility factor. The member with high-strength reinforcements showed large deflection at yielding point and this was analyzed as a main cause to decrease the ductility factor. Structural behavior after yielding point, however, showed similarity to behavior of members with normal strength reinforcements of same stiffnes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using reinforcements of $5500kgf/cm^2$ strength, the combination with concrete of $800kgf/cm^2$ strength demonstrated the great appropriateness which can increase the flexural capacity without any reduction of maximum reinforcement ratio.

The Properties of Compressive Strength of Non-standard Specimens Considered Strength Level (강도수준을 고려한 비표준형 공시체의 압축강도 특성)

  • Lee, Seung-Han;Jung, Yong-Wook;Yun, Yong-Ho;Jang, Seck-Soo;Yeo, I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781-784
    • /
    • 2008
  • Recently as application of high-strength concrete on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on the rise, use of non-standard specimen i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pecimen's size effect, ratio of height/diameter and curing conditions on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Results of experiments showed that as size of specimen increased as much as 1 mm, standard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4MPa fell as much as0.15MPa 40MPa fell as much as 0.1MPa 80MPa fell as much as 0.3MPa, and it indicates that as the level of strength is intensified, the decr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As ratio of height/diameter increased as much as 1.0, compressive strength of 24MPa fell as much as 2.9MPa 40MPa fell as much as 3.7MPa 80MPa fell as much as 9.8MPa, and it means that as strength of concrete is higher, influence of ratio of height/diameter becomes bigg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