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도(江都)

Search Result 27,653,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Strength and Modulus Relationship of Concrete for Rigid Pavement (포장용 콘크리트의 강도 및 탄성계수 상관관계식)

  • Yang, Sung-Chul;Park, Jo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4
    • /
    • pp.205-213
    • /
    • 2007
  • Strength relationships are presented through experimental data from the concrete strength tests in this study. Various strength tests such as the compressive, flexural,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and the modulus of elasticity are included. An experimental work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rious strength characteristics for various mix designs. Three different coarse aggregates such as granite, limestone, sandstone were used and included were fine aggregates such as natural sand, washed sand and crushed sand. Also included was cement amount as experimental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each strength value with respect to curing time is to follow a typical strength development curve. With this somewhat reliable test results various strength relationships such as flexural strength-compressive strength, splitting tensile strength-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compressive strength, splitting tensile strength-flexural strength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s. Experimental data were well fitted to the 0.5-power relationship of flexural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which has been commonly accepted. The splitting tensile strength is expected to be best in the linear relationship from the flexural strength data. Finally splitting tensile strength was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0.87 power of the cylindrical compressive strength.

  • PDF

Estimation of Concrete Strength Based on 7-day Strength (콘크리트의 7일강도를 이용한 28일 강도의 추정)

  • 김선영;권태수;이수곤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1
    • /
    • pp.119-124
    • /
    • 1998
  • 콘크리트는 시멘트, 잔골재 및 굵은 골재, 물 및 첨가제의 양이나 투입순서 ,혼합방법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성질이 바뀌게 되는 복합재료이다. 따라서 넓은 의미에서 품질 판정의 한 수단이 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또는 압축강도 fc'(=28일 압축강도)는 물론 기타의 성질도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다. 즉 소요강도를 목표로 배합된 공시체의 시험결과는 예외없이 통계적 가변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공시체의 7일 강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와 공시체의 28일 강도 측정치로부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는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7,320개의 강도시험자료를 수집한 후 이들을 선형 회귀 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제안된 식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타 추정식에 의한 값보다 실측치에 좀 더 근접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제안식의 검정을 위해 서울지역 자료 5,200개를 수집하여 제안식과 JIS, Slater식과의 오차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제안식이 더 안전측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슈미트 햄머에 의한 현장 실측 강도와 제안식과의 콘크리트 강도 오차는 대체로 2.3%이었다.

Monitoring of Strength Development in Concrete Using Wireless Impedance Measurements (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 발현 모니터링 기법)

  • Kim, Dong-Jin;Chang, Ha-Joo;Park, Jun-Hyun;Park, Seung-Hee;Park, Sun-Kyu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39-34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통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강도 발현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건설 중 취성 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이 중요시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콘크리트 강도 평가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복잡한 수학식을 통하여 이루어 졌기에 현장에서는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힘들었다. 이에 압전 센서 기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임피던스는 구조물 손상이나 강도 변화와 같은 구조물의 물성 변화 발생 시 공진주파수가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 변화를 관찰하여 대상 구조물의 강도를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유/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동시에 실시하여 무선 임피던스 측정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고강도 콘크리트에서의 적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 강도 30MPa, 100MPa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유/무선 임피던스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이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나 케이블 연결이 어려운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Studies on Strength of Netting (3) Joint Strength of Twisted-Jointed Netting (그물감의 강도에 관한 연구 (3) 관통형 그물감의 마디의 강도)

  • KIM Dai A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9 no.4
    • /
    • pp.293-298
    • /
    • 1976
  • 1) The decrease in strength of netting twines at the twisted joint is regarded to be due mainly to tile frictional force between plied yarns, but tile rate of decresae is within $5\%$ in filament twines and 5 to $10\%$ in spun twines. 2) The variation of the twisted joint strength with the angle between the two adjacent bars draws a parabola flaying the minimum value at tile angle of $90^{\circ}$. The minimum value was revealed as about $90\%$ of the strength at the angle of $0^{\circ}$ in wet spun twiness, but regarded to hi negligibly small filament twines. 3) The knot strength is about $30{\pm}5\%$of the twisted joint strength.

  • PDF

A Study on Field Testing Methods of Compressive Strength for Shotcrete Quality Control (숏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한 현장 압축강도시험법에 관한 연구)

  • Chang Seok-Bue;Hong Eui-Joon;Moon Sang-Jo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175-186
    • /
    • 2005
  • 터널공사에서 숏크리트는 가장 중요한 지보재 이므로 시공중 품질관리를 위한 압축강도시험은 매우 중요하다. 현장 타설 숏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실험실조건에 비하여 낮은 값을 갖고 있어 현장강도 시험은 필수적이나, 적절한 시험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코어채취에 의한 압축강도시험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적절한 샘플채취와 초기강도 측정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기압식 핀관입시험법을 고찰하였으며, 압축강도시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점하중강도시험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계획으로써, 현장강도시험기법으로 선정된 공기압식 핀관입시험기의 적정성 평가와 숏크리트 압축강도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점하중강도시험의 적용성 분석계획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Torsional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강도에 관한 연구)

  • Park, Chang-Kyu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7 no.2
    • /
    • pp.145-150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the calculation of the ultimate torsional strength in normal-strength an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which include the concrete contribution strength and use a reasonable thickness of shear flow. The adequacy of the proposed model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torsional strength with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s from 104 test specimens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are also compared with the calculations of the KCI and the ACI building code equations, and those of other model which include the concrete contribution strength. The comparisons show that the ultimate torsional strengths calculated by the proposed equation and Rahal's equation are closer to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s than those calculated by the code equations.

500kg/cm$^2$고강도 콘크리트 - 재료특성$\cdot$현장시공성에 관한 연구

  • 안재현;권영호
    • 어항어장
    • /
    • s.18
    • /
    • pp.69-77
    • /
    • 1992
  •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 일환으로 설계기준강도 500kg/cm$^2$ 이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B/P 생산과 실대구조물의 시공성 및 강도,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장 최적배합비 선정과 레미콘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 시험을 수행하였고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 및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현장재료와 장비의 사용으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생산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가 500kg/cm$^2$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Reinforcing of Steel Fiber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강섬유의 보강이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구봉근;정경섭;김태봉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4 no.2
    • /
    • pp.93-101
    • /
    • 1992
  • 강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성능 감수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0, 0.5, 1.0, 1.5%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고, 또한 강섬유의 길이와 휨 시험편의 크기에 따른 강도의 변화에 대하여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강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강섬유의 혼입률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할열인장강도와 휨강도는 강섬유 혼입률과 길이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최대하중을 지나서도 응력의 감소가 작아 연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ength Characteristics on High Strength Concrete against Sulfate Attack (황산염의 침해를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특성과 물성변화)

  • Park, Young-Shik;Suh, Jin-Kook;Lee, Jae-Hoon;Shin, Young-Shik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5
    • /
    • pp.117-128
    • /
    • 1998
  • 화학적으로 유해한 환경에 놓인 콘크리트 구조물은 필연적으로 그 기능이 악화되므로 혼화재를 포함한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혼화재 그 자체가 화학물질에 오염된 환경하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실리카-흄을 포함한 포틀랜드시멘트 경화체인 고강도 콘크리트가 황산염의 침해를 받는 경우에 일어나는 강도특성과 물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담수와 함께 황산나트륨, 황산마근네슘, 황산나트륨과 황산마그네슘의 혼합용액 등 여러종류의 황산염 용액에 실리카-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낮은 물-시멘트 비의 고강도 콘크리트, 보통강도의 콘크리트 등의 시험체들을 270일간 침지시켜 침지시간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와 실리카-흄의 첨가량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그리고 실리카-흄의 첨가량에 따른 선형팽창량 및 중량변화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실리카-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황산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실리카-흄을 포함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황산나트륨의 침해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황산마그네슘에 대해서는 심각한 침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황산마그네슘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실리카-흄을 사용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 이진용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6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