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약 결합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다양한 형태의 목재 결합부의 강도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ngth Capacity for Various Wood-to-wood Connections)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38-45
    • /
    • 2005
  • 본 연구는 다섯 종류의 서로 다른 형태의 목재 대 목재 결합부를 제작하여 각 결합부 그룹의 강도 성능 증가를 살펴보았다. 가장 높은 강도 성능 증가를 보인 그룹은 동일 단면 손실을 고려한 소경 볼트를 사용한 결합부 그룹이었고, 이어서 합판을 삽입한 결합부 그룹, 접착제를 볼트에 도포한 결합부 그룹,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무판을 삽입한 결합부 그룹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여러 형태의 결합부 그룹은 전체적으로 기존의 결합부 형태에 비해 최소 약 10% 이상의 강도 성능 증가를 보였다. 이 결과는 새로운 고 성능 결합부 개발에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추가적인 작업으로 인한 시공상의 어려움과 추가적인 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강도 성능 증가의 정도와 경제적인 이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각 구조물에 적합한 결합부 형태와 재료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O2 절감을 위한 콘크리트 2차제품 양생단계저감용 결합재 종류에 따른 모르타르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Types of Binders for Reducing Curing Process of Concrete Secondary Products for Reduction CO2)

  • 김하석;백대현;이세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4호
    • /
    • pp.37-46
    • /
    • 2014
  • 건설 분야 중 건설 재료와 건자재 산업에서 발생하는 $CO_2$는 약 6,700만톤으로 건설 분야에서 발생하는 $CO_2$의 약 30 %를 점유하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 $CO_2$ 저감은 건자재 산업에서 $CO_2$를 발생시키는 2차, 3차 양생을 줄여 소비되는 화석연료 사용과 배출가스 저감의 조절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멘트 결합재를 기초로 하여 결합재를 40 % 까지 대체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한 후 양생방법을 달리하여 응결 및 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합재 치환율에 따른 강도 특성 결과 증기양생 후 고로슬래그와 CSA 15%, CAMC 5%를 치환한 시험체의 강도 증진이 활발하였다. 특히 고로슬래그 50%, CSA 15%, CAMC 5%를 치환한 시험체가 가장 높게 강도가 증진되었다. 하지만 CAMC 10%의 경우 열팽창에 의한 균열과 온도차에 의한 건조수축, 과도하게 생성된 에트린가이트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에코콘크리트 현장 적용에 따른 강도 상승 효과 및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ngth improvement and $CO_2$ reduction by using Eco-concrete in construction site)

  • 김정진;황인성;이상현;위준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80-87
    • /
    • 2011
  • 본 연구는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혼화재에 관한 것으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석회석 미분말 등을 결합재로 하여 일반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결합재이다. 또한 기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치환시 발생되는 초기강도 저하현상 및 한랭기 및 동절기 저온 환경에서 발생하는 강도 저하 현상을 개선한 탄소배출 저감형 결합재이다.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양생 재령에 상관없이 동등 이상의 강도 발현이 가능하므로 계절별 기후에 상관없이 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 측면에서도 보통포틀랜드시멘트보다 저렴하여 이점이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였을 때 EM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약 38%, EM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약 8%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전자 여기상태에서 phenol-(H2O)2 크러스터의 수소결합 동력학: DFT/TDDFT 연구 (Hydrogen Bonding Dynamics of Phenol-(H2O)2 Cluster in the Electronic Excited State: a DFT/TDDFT Study)

  • Wang, Se;Hao, Ce;Wang, Dandan;Dong, Hong;Qiu, Jieshan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85-391
    • /
    • 2011
  • Phenol-$(H_2O)_2$ 착물의 여기상태 수소 결합 동력학을 시간 의존 밀도 함수 이론(TDDFT) 법으로 연구하였다. 수소-결합된 착물에 대한 바닥 상태 및 다른 전자 여기 상태들 ($S_1$$T_1$)에서의 기하학적 구조와 IR 스펙트라를 밀도 함수 이론(DFT)와 TDDF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페놀과 두 물분자 간에 3개의 수소 결합으로 구성된 고리가 형성되었다. 세 개의 수소 결합에서 분자간 수소결합 $O_1-H_2{\cdots}O_3-H$$S_1$ 그리고 $T_1$ 상태에서 더 강해졌지만, 수소결합 $O_5-H_6{\cdots}O_1-H$$S_1$$T_1$상태에서 약해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른 전자 상태에서 수소 결합과 hydrogen-bonding groups의 결합 길이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얻었다. 수소 결합 $O_1-H_2{\cdots}O_3-H$$S_1$$T_1$ 상태 모두에서 강화된다는 것은 OH(phenol)의 계산된 신축 진동 모드가 광 여기에 의해 적색-이동한다는 것으로부터 확인 되었다. 전자 여기 상태에서 수소 결합이 강해지고 약해지는 행동은 phenol-$(H_2O)_n$의 다른 고리 구조에 존재할 수 있다.

신뢰와 원자력 수용성

  • 왕재선
    • 한국정책학회보
    • /
    • 제22권3호
    • /
    • pp.235-266
    • /
    • 2013
  •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원자력 관련 기관에 대해서 가지는 다양한 신뢰유형이 원자력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신뢰를 대상별, 유발요인별로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 등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들을 결합하여 기관에 대한 인지적 신뢰, 기관에 대한 정서적 신뢰, 사람에 대한 인지적 신뢰, 사람에 대한 정서적 신뢰 등 신뢰유형을 나누어서 원자력 수용성에 대한 이들 신뢰유형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원자력에 대한 수용성은 강도에 따라 가장 약한 '현재의 원자력 발전소 유지'에 대한 수용성, '원자력 발전소 추가 건설'에 대한 수용성, 가장 강도가 강한 정책인 '핵폐기장 건설'에 대한 수용성 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신뢰는 원자력의 수용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들은 각각의 신뢰유형에 대해서 차별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에 따라 신뢰에 대한 다(多)유형, 다(多)차원적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정책의 강도에 따라 가장 약한 정책에 대한 수용성에서는 기관에 대한 인지적 신뢰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진 반면 정책에 대한 강도가 강해질수록 사람에 대한 정서적 신뢰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자력 정책의 주요 내용과 파급효과, 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강도 등에 따라서 신뢰제고를 위한 차별적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SBR혼입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SBR-Modified Concretes Using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 주명기;연규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15-32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SBR혼입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 성상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치환율 및 폴리머 결합재비의 영향에 대하여 구명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SBR혼입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 인장 및 휨강도는 폴리머-결합재비 및 고로슬래그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고로슬래그 치환율 40%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고로슬래그 치환율 40%의 SBR혼입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인장 및 휨강도는 폴리머 미혼입의 강도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강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높은 강도의 발현은 SBR 폴리머의 높은 인장강도와 SBR라텍스의 혼입에 의한 시멘트 수화물과 골재간의 접착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용매를 이용한 Poly(methylmethacrylate)의 저온 저압 본딩 및 마이크로 채널 표면의 선택적 소수성 코팅기법 개발 (Solvent-assisted sealing of poly(methylmethacrylate) microchannel under mild conditions)

  • 이재선;이내윤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0-110
    • /
    • 2017
  • 마이크로 플루이딕 디바이스는 화학, 생물학 실험 및 생체 의학 진단을 위한 플랫폼으로 지난 20년간 그 사용 및 연구가 증가되어 왔다. 마이크로 플루이딕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데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실리콘이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불투명하므로 광학 검출이 필요한 곳에 적용이 제한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상업화의 중요한 요소인 대량 생산에 있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저렴하고, 가공이 쉽고, 유연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생체적합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PMMA Poly(methylmethacrylate)를 효율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온도와 낮은 압력에서 에탄올을 활용한 접착방식을 개발하였다. 먼저, PMMA 기판의 전체 표면을 $80^{\circ}C$에서 20 분 동안 에탄올로 처리한 후, $60^{\circ}C$에서 20 분간 열 압착하는 방식으로 영구적인 결합이 이루어졌다. 결합 강도 및 채널의 sealing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인장 강도, 누수 및 파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결합강도는 약 12.4 MPa로 타 연구와 비교할 때 매우 높았으며 마이크로 채널의 전체 내부 체적보다 거의 450 배 높은 강한 액체 흐름을 견딜 정도로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본딩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광학 특성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결합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결합 공정 중에 용매로 인해 마이크로 채널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견고한 본딩을 유지하면서 채널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채널을 소수성으로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내벽의 표면 특성을 튜닝해 주는 기법을 추가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아민-PDMS (polydimethylsiloxane) 링커를 적용하여 기판 표면의 극성을 변경시켜 주었다. 아민-PDMS 링커는 PC (polycarbonat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 (polyvinyl chloride) 및 PI (polyimide)와 같은 다양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표면 소수성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아민-PDMS 링커는 PMMA의 카보닐 그룹과 반응할 수 있는 아민 사이드 그룹을 포함하는 PDMS 백본으로 구성되며 처리된 대상표면을 소수성으로 만든다. 아민-PDMS 링커 처리 이후 채널은 소수성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접촉각(contact angle)의 증가로 확인되었다. 코팅된 채널을 에탄올로 30분간 80도에서 처리하여도 소수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마이크로 채널의 선택적인 소수성 코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 PDF

거대 구조물의 유체-구조 연계 해석을 위한 효과적인 보간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Interpolation Methods to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for Large-Scale Structure)

  • 이기두;이영신;김동수;이대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33-441
    • /
    • 2009
  • 대부분의 자연현상은 다학제 특성을 갖고 표현된다. 유체-구조 연계(FSI) 문제의 경우 기존에 검증된 전산유체 해석 프로그램 및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약결합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약결합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격자시스템으로 발생되는 자료의 교환을 위해서 보간 및 사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역지지 및 국부지지 방사기저함수(RBF)를 이용한 보간 및 가상일의 원리를 적용한 사상의 성능을 단순 3차원 형상에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국부지지 RBF에 공간분할 트리의 일종으로 빠른 공간 탐색을 가능하게 해주는 kd-tree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거대 구조물의 FSI에도 보간 및 사상이 적용 가능함을 여객기 형상의 항공기 모형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알켄-오존 반응의 중간 생성물에 대한 ab initio 양자역학적 고찰 (Quantum Mechanical Investigation on the Intermediates of Alkene-Ozone Reaction)

  • 강창덕;김승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1-171
    • /
    • 1998
  • 알켄-오존 반응에서 생성된 중간 생성물로써 primary ozonide (POZ),secondary ozonide (SOZ)그리고 carbonyl oxide의 분자구조, vibrational frequencies그리고 infrared(IR)스펙트럼의 세기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high level ab initio 양자역학적 방법(CISD,CCS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polarization function은 결합각과 결합길이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반면, electron correlation effect는 결합길이와 결합각을 약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Carbonyl oxide의 분자구조는 zwitterionic form이 diradical form보다 더 안정한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두 형태의 에너지는 차이는 TZ2P CISD level에서 약 22.4 kcal/mol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POZ과 SOZ의 분자구조 및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ies들을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IR세기에 근거하여 각 vibrational mode를 assign 하였다.

  • PDF

Aflatoxin $B_1$ Charge-transfer Complex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Benzene과의 Charge-transfer Complex- (Studies on the Charge-transfer Complex including Aflatoxin $B_1$ -Part I. Charge-transfer Complex with Benzene-)

  • 노익삼;이강흡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2호
    • /
    • pp.143-148
    • /
    • 1974
  • Aflatoxin $B_1$은 전자수용성(電子受容性)을 높여주는 염화아연(鹽化亞鉛) 존재하(存在下)에서 전자공여성분자(電子供與性分子)인 Benzene과 Charge-transfer Complex를 만들며, 그 생성기구(生成機構)는 Aflatoxin $B_1$이 염화아연(鹽化亞鉛)과 일차적(一次的)으로 배위결합(配位結合)된 화합물(化合物)을 거쳐, 이것이 Benzene과 결합(結合)하여 착물(錯物)을 형성(形成)한다. 이 착물(錯物)의 안정도상수(安定度常數) 즉(卽) 평형상수(平衡常數) 0.198 l/mole이었다. 따라서 Aflatoxin $B_1$은 약(弱)한 전자수용체(電子受容體)이나, Benzene 보다 강(强)한 전자공여체(電子供與體)와는 염화아연(鹽化亞鉛)이 존재(存在)하지 않아도 Charge-transfer Complex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可能性)을 제시(提示)해 주는 것이며, Tryptophane, Histidine과 같은 강(强)한 전자공여체(電子供與體)를 함유(含有)한 단백질(蛋白質) 또는 Guanine, Adenine과 같은 전자공여체(電子供與體)를 함유(含有)한 DNA등(等)과의 Aflatoxin $B_1$의 결합(結合)은 그 결합(結合) Mechanism으로서 Charge-transfer Complex 형성(形成)으로 이루어진다는 추정(推定)을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