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선 호르몬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6초

최신의학상식 - 갑상선 호르몬과 요오드

  • 김용석
    • 한국산업간호협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24
    • /
    • 2011
  • 갑상선 호르몬은 2가지 형태, 즉 L-thyroxine(tetraiodothyronine, T4)과 L-triiodothyronine(T3)으로서 갑상선(thyroid gland)에서 합성된다.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핵심요소이며 음식물에 포함된 요오드는 섭취 후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갑상선으로 운반되고, 갑상선에서 농축, 산화되어 thyroglobulin이라는 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 중 tyrosine에 삽입됨으로써 T4와 T3를 생성하게 된다.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에는 요오드 이외에도 셀레니움이 필수적이다. 요오드와 셀레니움은 미량원소로서 부족하면, 갑상선 호르몬 결핍 또는 갑상선 비대를 초래할 수 있다.

  • PDF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동반한 티록신 결합글로불린 결핍증 1례 (A Case of Thyroxine Binding Globulin Deficiency with Hypothyroidism)

  • 이동철;리선희;유재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96-799
    • /
    • 2002
  • 티록신 결합글로불린 결핍증은 대부분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동반하지 않으므로 갑상선 호르몬 보충 요법이 필요 없으나 드문 예에서 유리 티록신 농도가 정상치 보다 낮게 유지되고, 중추 신경계에 대한 갑상선 호르몬의 부족에 의해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정상치 보다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티록신 결합글로불린의 결핍 정도가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로 갑상선 호르몬의 이동과 갑상선 밖의 호르몬 저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갑상선호르몬의 보충요법이 필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동반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투여가 필요한 중증의 티록신 결합글로불린 결핍증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베타 유전자 돌연변이(H435Y)가 확인된 갑상선호르몬 저항성 증후군 1례 (Identification of a de novo mutation (H435Y) in the THRB gene in a Korean patient with resistance to thyroid hormone)

  • 신진영;기창석;김진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6호
    • /
    • pp.576-579
    • /
    • 2007
  • 갑상선 호르몬 저항성 증후군은 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 대부분은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TR)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의 결함에 의한다. TR 유전자의 변이는 일반적으로 이형접합성이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양상을 보인다. 혈청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증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혈청 갑상선 자극호르몬 수치가 억제되지 않으며, 임상 양상은 다양하다. 본 증례는 경미한 갑상선종, 총 및 유리 $T_4$, $T_3$의 증가, 정상 범위의 TSH 소견을 보이는 4세 여아로서 TR 유전자 분석에서 과오돌연변이(H435Y)를 확인하였다. 부모에서는 돌연변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갑상선 기능도 정상이었다. 특별한 투약 없이 추적 관찰 중에 갑상선종의 증가나 다른 증상의 악화는 없는 상태이다.

제대혈 갑상선 자극호르몬과 갑상선 호르몬 농도에 영향을 주는 주산기 인자들 (Perinatal Factors Affecting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and Thyroid Hormone Levels in Cord Blood)

  • 김은영;박상기;송창훈;임성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43-147
    • /
    • 2005
  • 목 적 : 갑상선 기능은 여러 질환이나 스트레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분만 전과 분만 동안의 여러 인자와 제대혈 갑상선자극호르몬 및 갑상선호르몬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총 130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분만 즉시 제대혈을 10 mL 채취하여 갑상선자극호르몬, $T_3$와 유리 $T_4$ 농도를 방사면역학적 방법(CIS bio international kit,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재태연령, 출생체중, 가사, 분만방식, 산모의 당뇨병 유무, 산모의 전자간증 유무 등에 따라 갑상선자극호르몬과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제대혈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는 재태연령 34주 이하 $1.73{\pm}0.48{\mu}IU/mL$, 34주-37주 $2.60{\pm}0.51{\mu}IU/mL$, 38주 이상 $4.26{\pm}0.40{\mu}IU/mL$으로 재태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2) 분만형태를 비교하면 질식 분만 군 $4.42{\pm}0.66{\mu}IU/mL$, 제왕절개 분만 군 $3.31{\pm}0.33{\mu}IU/mL$로 질식 분만 군에서 높았다(P<0.05). 3) 가사에 따른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는 가사가 있는 군 $5.18{\pm}0.93{\mu}IU/mL$로 가사가 없는 군 $2.97{\pm}0.84{\mu}IU/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산모의 당뇨병에 따른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는 당뇨병 군 $8.91{\pm}1.25{\mu}IU/mL$, 없는 군 $4.32{\pm}0.42{\mu}IU/mL$으로 산모 당뇨병 동반시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산모에게 전자간증이 있는 군의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는 $5.28{\pm}0.42{\mu}IU/mL$, 없는 군 $3.65{\pm}0.46{\mu}IU/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6) $T_3$와 유리 $T_4$ 농도는 가사 군에서 없는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7) 각 변수 간의 영향을 배제하였을때 임신주수, 1분 Apgar 점수, 산모의 당뇨병만이 독립적으로 제대혈의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제대혈 갑상선자극호르몬 및 갑상선호르몬 농도는 산모의 당뇨병이나 산모 전자간증과 같은 분만 전 요인과 태아에게 저산소증을 초래할 수 있는 분만시 스트레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케이스로 보는 개 부신피질기능항진증과 갑상선기능저하증

  • 김진경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3권6호
    • /
    • pp.526-535
    • /
    • 2007
  • 부신피질기능항진증(HAC)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개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호르몬 질환이라고 할수있다. 정확한 진단을하고 가장 알맞은 검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 진단방법과 그에 대한 한계점을 명확히 알아야 할 것이다. 다음은 임상 증상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할수있는 호르몬 진단법에 대한 소개로써 복잡한 호르몬 질환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과 인삼성분의 복합처리가 갑상선세포의 cAMP 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s with Thyroid Hormone Secretion Regulatory Agents on cAMP Level in Cultured Rat Thyroid Glands)

  • 정경훈;김세창·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35-144
    • /
    • 1988
  •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TSH, DB cAMP, NaF, carbachol, isoproterenol, propranolol)과 인삼성분(total saponin, diol saponin, triol saponin)의 복합처리가 갑상선의 cAMP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의 갑상선을 4일 또는 7일간 배양한 후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과 인삼성분을 각각 복합처리, 또는 단독처리하여 cAMP의 양을 조사하였다. 인삼성분만을 처리한 경우, total saponin은 $10^{-5}$%(w/v),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은 $10^{-4}$%(w/v)의 농도에서 각각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과 복합처리한 인삼성분의 농도는 위의 값으로 하였다. 복합처리한 경우, TSH에 대해서는 증가효과를 나타냈지만 그 양상은 작았다. Total saponin은 DBcAMP와 isoproterennol에 대해서는 증가효과를, carbachol과 propranolol에 대해서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NaF에 대해서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은 그 양은 다르지만 isoproterenol을 복합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diol saponin은 감소효과를, triol saponin은 증가효과를 보이는 상반작용을 나타내었다. 억제효과를 가지는 propranolol에 대해서도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은 상반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삼성분의 정상화작용은 NaF와 carbachol의 경우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삼성분이 갑상선호르몬의 생성과 분비에 관여하는 cAMP의 생성에 촉진 또는 억제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PDF

미숙아에서의 갑상선기능 장애 (Thyroid dysfunction in premature infants)

  • 홍기배;박지윤;장영표;유지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991-998
    • /
    • 2009
  • 목 적 : 갑상선호르몬은 소아에서 뇌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이므로 갑상선기능이상에 대한 조기진단 및 치료는 중요하다. 미숙아에서는 이러한 갑상선의 기능이상이 만삭아에 비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에서의 갑상선기능이상의 빈도, 임상양상 및 경과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4월에서 2008년 8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37주 미만의 미숙아 802명 중 초기 갑상선기능검사의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던 59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1, 2차 검사의 결과에 따라 정상군,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군, 고갑상선자극호르몬혈증군, 저티록신혈증군, 지연된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군, 지연된 고갑상선자극호르몬혈증군의 6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 간의 임상특징, APGAR 점수 및 여러 위험인자들, 검사결과 등을 비교하였고 갑상선기능이상의 빈도 및 경과, 위험요소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599명중 1차 갑상선기능이상을 보인 환아는 136명(23%)이었고 저티록신혈증이 20%로 가장 많았다. 처음 NST는 정상이었으나 생후 3-4주경 2차 검사를 시행한 46명 중 8명(17%)에서 갑상상선기능이상을 보였다. 갑상선호르몬은 총 10명에서 투여되었고, 9명에서는 호전을 보여 중단이 가능하였다. 1명은 이소성 갑상선으로 지속적인 복용이 필요한 상태이다. 결 론 : 미숙아에서 갑상선기능 이상은 매우 흔하였고, 대부분 일시적이었다. 때로는 초기 검사에서 정상이었다가 뒤늦은 이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미숙아의 경우 특히 33주 미만 또는 2,500 g 미만의 경우 처음 검사가 정상이더라도 3-4주경에 재검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the Neonatal Screening Test for Congenital Hypothyroidism)

  • 강소영;장영표;유지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목 적 :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결과의 이상빈도는 실제 임상적으로 진단되는 질환의 발생빈도보다 훨씬 높다. 본원에서 시행되는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의 위양성률과 소환율을 알아보고 재태기간과 출생체중에 따른 검사결과치를 비교하여 각각의 결과에 따라 cut-off value를 재평가함으로써 임상에서 신생아 선별검사의 결과를 해석하고 질환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5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한 2,13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정상분만의 경우 생후 3일째, 제왕절개인 경우 생후 5일째,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인 경우 생후 $14.3{\pm}12.4$일(5-79일) 이내에 신생아의 발뒤꿈치를 천자하여 모세혈을 검사용 채혈지에 묻혀 갑상선자극호르몬과 유리 $T_4$를 효소면역법으로 분석하였고 각각의 기존참고치인 $20{\mu}IU/mL$ 이상, 1 ng/dL 미만일 경우 소아과 외래로 불러 재검하였으며 이때 이학적 검사 및 주산기적 병력, 약물력, 모체질환 등의 여부를 조사하였고 혈청을 이용해 면역형광법에 의한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다른 질병이 없었던 1,749명의 갑상선자극호르몬과 유리 $T_4$의 평균${\pm}$표준편차는 각각 $9.01{\pm}5.82{\mu}IU/mL$, $1.99{\pm}0.90ng/dL$이었고 성별, 분만형태, 아프가 점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에 따라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수치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유리 $T_4$의 수치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1). 3) 다른 질병이 있었던 384명의 갑상선자극호르몬과 유리 $T_4$의 평균${\pm}$표준편차는 각각 $9.17{\pm}7.22{\mu}IU/mL$, $1.52{\pm}0.75ng/dL$이었고, 건강한 신생아와 비교시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수치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유리 $T_4$의 수치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1). 4)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131명이 소환되었고 재소환율은 7.48%이었으며, 이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7명의 갑상선기능이 정상화된 기간은 출생체중과 의미있는 관계는 없었고, 출생주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2, Pearson 상관계수 -0.177). 5)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재소환되어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진단받은 환아는 모두 4명으로 2명은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만 $20{\mu}IU/mL$ 이상이었고 2명은 유리 $T_4$ 수치만 1 ng/dL 미만이었으며, 3명은 건강한 신생아에, 1명은 질병이 있었던 군에 속했다. 6) Cut-off value를 본 연구에서 시행되었던 기준인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20{\mu}IU/mL$ 이상이거나 또는 유리 $T_4\;1\;ng/dL$ 미만인 경우 소환율, 양성예측률, 민감도, 특이도는 각각 7.48%, 2.29%, 75%, 92.6%이었다. 갑상선자극호르몬이 $20{\mu}IU/mL$ 이상이거나 유리 $T_4\;0.64\;ng/dL$ 미만인 경우에 소환율, 양성예측률, 민감도, 특이도가 각각 4.8%, 3.57%, 75%, 95.3%이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갑상선자극호르몬 및 유리 $T_4$ 모두를 선별검사로 사용하는 것은 타당하고, 현재의 cut-off value가 소환율이 높기는 하나 검사의 민감도를 고려할 때 cut-off를 바꾸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큰 대상군을 바탕으로 한 재평가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의 구강내 증상에 관한 증례보고 (DENIAL CHARACTERISTICS OF PSEUDOHYPOPARATHYROIDISM : CASE REPORT)

  • 장지영;이제호;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6-491
    • /
    • 1999
  •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혈장내 칼슘 농도에 반응해 분비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반해 가정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의 기능은 정상이나 뇨세관과 파골세포등의 말단기관들이 부갑상선 호르몬에 반응하지 않는 질환이며, 원인은 이들 호르몬이 결합하는 수용체 성분인 Guanin protein을 결정하는 GS gene의 돌연변이에 의한다.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평균 8-9세에 발병하며 대부분이 20세 이전에 호발하게 되는데, 이 질환에 이환된 경우 특징적으로 뇌, 호르몬 기관, 연골세포등에 존재하는 GS gene의 돌연변이로 인해 성장 및 발육부전, 둥근 얼굴, 비만, 허리만곡증, 외골증등이 생기며, 조기 골단 폐쇄로 인한 중수골 및 중족골의 왜소증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 생식 호르몬, glucagon 등의 다수 호르몬에 대해서도 반응하지 않는다. 이들의 치과적 소견의 특징은, 법랑질의 형성부전과 맹출 지연이 가장 일반적이고 치배의 무형성, 치배결손, 짧고 이형성된 치근과 넓어진 치수강, 왜소치, 치수내 석회화, 부정교합 등도 자주 보고되고 있다.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된 본 증례 환아의 구강내 소견으로는 전반적으로 짧고 미발육된 영구치 치근과 소구치 및 대구치의 맹출지연과 미맹출, 제 1, 2 소구치와 제 2 대구치의 형성 부전양상이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랫드와 HeLaTRE Cell에서의 Alachlor에 의한 갑상선 호르몬성 영향 연구 (Thyroid Hormone-like Activity of Alachlor as R Endocrine Disruptor in Rats and HeLaTRE Cell Culture)

  • 유아선;정미혜;박경훈;김병석;김진배;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7-214
    • /
    • 2008
  • 내분비장애 추정물질의 분류를 위해 많은 시험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추후 내분비장애 추정물질로 분류된 기등록 농약에 대한 자료요구 또는 신규 등록농약에 대한 등록기준의 추가 등을 고려하여 OECD와 EPA에서 권장하는 시험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약제를 30일간 경구 투여하여 조사한 결과, alachlor 투여 수컷에서 25 mg/kg/day, 50 mg/kg/day에서 고환과 갑성선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Alachlor 투여 암컷에서는 질의 중량이 25, 50 mg/kg/day에서 감소하였고 25 mg/kg/day에서 갑상선의 중량이 감소하였다. Alachlor 투여 암컷 25, 50 mg/kg/day에서 주요 갑상선 호르몬인 T4와 성호르몬 testosterone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pubertal assay 결과 alachlor는 갑상선 호르몬성 영향이 의심되었다. 시험세포를 이용한 시험 결과, 시험약제를 1 nM에서 1000 nM까지 처리하였을 때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alachlor는 100-134%의 갑상선 호르몬성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포를 이용한 시험에서는 alachlor에 의한 갑상선 호르몬성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갑상선 호르몬성 영향 시험에서는 시험약제 100 nM과 T4의 혼합 처리시 alachlor는 항갑상선 호르몬성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