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

검색결과 16,877건 처리시간 0.037초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stagram User's Contingent Self-Esteem and Depression: A Mediating Role of Upward Social Comparison)

  • 조성윤;노환호;이병관;임혜빈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91-102
    • /
    • 2020
  • 조건부 자아존중감은 외재적 동기에 부합할 때 조건적으로 유지되는 자아존중감이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3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인스타그램에서의 상향비교의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매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일주일간 경험하는 우울 경험이 높았으며, 이는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는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은 이용자일수록 인스타그램에서 자신보다 우월해 보이는 이용자와 자주 비교하며 이로 인해 더 우울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한 의의를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개별성-관계성과 안녕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well-being of the youth on creativity)

  • 이지혜;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087-2098
    • /
    • 2011
  • 본 연구는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대한 탐색 연구로 청소년의 개별성-관계성과 안녕감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중 고등학생 836명에게 통합 창의성, 개별성-관계성, 통합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고 이들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개별성, 관계성,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이 창의성이 높았다. 개별성, 관계성, 안녕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개별성, 안녕감, 관계성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창의성의 차원을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창의적 동기에는 개별성, 심리적 안녕감, 관계성의 순서로 설명력이 높았고, 창의적 태도에는 개별성, 관계성, 심리적 안녕감의 순서로 설명력이 높았다, 창의적 능력에는 개별성, 심리적 안녕감, 관계성, 정서 안녕감, 사회 안녕감의 순으로 모든 예언변인이 유의미하였다.

MRI 검사 환자의 불안 및 불편감에 대한 영화(애니메이션)감상 효과 분석 (Effect of watching movie & animation on anxiety and discomfort of the patients during MRI exam)

  • 박명철;이무식;홍지영;배석환;임남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69-773
    • /
    • 2009
  • 본 연구는 MRI 검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영상매체(Visual equipment & Audio system)를 이용하여 영상물을 제공함으로서 불안과 불편감에 대한 효과에 대해 규명함으로써 MRI 검사로 인한 심리적, 정신적 불안과 불편 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요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K 대학병원에서 MRI 검사를 받은 환자 중 영상물을 제공받은 실험군 30명과 영상물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30명을 대상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Spielberger의 기질불안 도구와 Cline, Herman, Shaw와 Morton이 고안한 불안점수 도구인 시각적 상사척도(VAS)를 이용하였고, 영상물을 제공하여 두 군 간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고 불편감은 대상자의 주관적 불편감(어지러움, 공포감. 긴장감)점수와 객관적 불편감 행동 점수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12K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두 군의 일반적 특성 및 수술에 관련된 특성의 동질성 검증은 $\chi^2$ 검정, 가설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영상매체(Visual equipment & Audio system)를 이용하여 영상물(영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면서 MRI 검사를 진행했을 경우 검사 대상자의 혈압 및 객관적 불편감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불안과 활력징후의 하나인 맥박의 감소, 또한 주관적 불편감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자의 심리적인 긴장감을 완화시키며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데 효과적인 대체요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Family Relationship,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 in Single-Parent Families)

  • 이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759-771
    • /
    • 2014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개인내적 심리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총괄적 구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여 한부모가정 청소년 비행의 보호요인을 확인하고, 비행의 예방 및 개입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012년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의 횡단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 대상에는 516명의 한부모가정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비행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수간의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매개변수로서 검증되었다. 따라서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통해서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비행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Students with Low Level of Self-efficacy)

  • 신민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30-37
    • /
    • 2009
  •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이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의 PBL수업 후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PBL 수업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환경공학과 '환경기기분석'을 수강했던 3학년 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PBL 활동을 시작하기 전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나온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와 하위 30%의 학생들을 각각 선정하였고, 이들에게 문제해결 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12주간의 PBL활동이 마무리 된 후 같은 학생들에게 사후 문제해결검사를 배포하고 완성하도록 요구하였다. 교정된 문제해결 능력 성취 수준이 자기효능감 상집단과 하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유의 확률 .002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F=.11303, p<.01). 즉, 자기효능감 상집단의 평균(3.817)이 자기효능감 하집단의 평균(3.496)보다 높아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BL 수업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도시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 (Relations among the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Urban Elderly)

  • 이의걸;조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96-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거주하는 도시노인의 사회활동, 자아효능감 그리고 심리적 복지감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시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사회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영향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복지감에 부분적 차이가 나타났고 둘째, 직업이 있는 경우, 좋은 건강상태, 낮은 연령,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셋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좋은 건강상태, 월생활비가 높은 경우,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소외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넷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좋은 건강상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우울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다섯째, 자아효능감은 사회활동 참여와 소외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체감이 스폰서십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to Sponsorship Response)

  • 이준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3-102
    • /
    • 2008
  • 스폰서십의 효과를 결정짓는 여러 요인 중 기업이 스폰서하는 공동체(community)의 구성원들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의 태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이론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 혹은 일체감 이론을 생각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어느 정도의 일체감을 느끼는가에 따라 공동체에 대한 행동과 공동체에 스폰서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식 개념을 적용하여 공동체 일체감의 주요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공동체 일체감과 기업의 스폰서십에 대한 반응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공변량 구조분석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체 의식이 공동체 일체감과 공동체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의식의 세부 요소별로 보면, 욕구의 충족, 소속감, 정서적 유대감은 공동체 일체감과 공동체 충성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공동체 충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동체 일체감이 높을수록 공동체 충성도가 높아지며, 공동체 충성도가 높아지면 스폰서에 대한 태도가 개선되는 반응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VR뉴스의 이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R News Characteristics on User's Effect: Focused on Recall, Understanding, Enjoyment, Visual Fatigue and Resue Intention)

  • 송민호;이민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39-449
    • /
    • 2018
  • 본 연구는 VR뉴스 속성이 이용자 효과 측면에서 VR뉴스에 대한 기억과 이해도, 즐거움, 눈의 피로도, 그리고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R뉴스 속성 중 실재감과 몰입감은 이용자들의 VR뉴스에 대한 기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재감과 상호작용, 몰입감 모두가 이용자의 VR뉴스 이해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재감과 상호작용, 몰입감 모두 즐거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재감이 눈의 피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재감과 몰입감이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VR뉴스의 속성과 이용자 효과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between Social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Cyber University Courses)

  • 주영주;김지현;이정원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1-164
    • /
    • 2012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1년 2학기 W사이버대학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몰입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도 간 양적 상호작용효과를 유도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페이스북 기반 협력학습 성과를 예측하는 학습실재감 요인 규명 (Learning Presence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in Facebook-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 이정민;오성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5-316
    • /
    • 2013
  • 페이스북의 교육적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증적인 연구나 이를 통한 실천적인 설계전략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를 예측하는지 검증하여, 페이스북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재감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A 대학교의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3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4주 동안 페이스북 상에서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협력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활동을 마친 후 학생들은 학습실재감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고, 지필평가와 과제평가를 합산하여 학습성과를 산출하여 단계선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페이스북기반 협력학습에서 느낀 학습실재감과,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도움이 되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실재감은 학습성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실재감과 감성실재감의 학습성과에 대한 예측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과 교육적 잠재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