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축목표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 Kim, Yong-Ge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3
    • /
    • pp.18-20
    • /
    • 2014
  • 배출권 거래제의 가장 큰 장점은 주어진 감축목표를 최소의 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감축목표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배출권 거래제는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경우 기후변화문제의 장기적 특성으로 인해 단기적 목표보다는 중장기적 목표의 설정이 중요하다. 결국 국가 차원의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설정이 배출권 거래제의 선행 요건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2020년에 대한 국가 목표만 있는 상황인데, 배출권 시장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2030년은 물론 2050년에 대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설정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은 단기적인 목표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목표가 감축여건과 동시에 가격 형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비용효과적 자원배분을 촉진할 수 있다.

  • PDF

그건 이렇습니다 - 2030년 온실가스 온실가스 감축목표(안) 이슈

  •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 Corrugated packaging logistics
    • /
    • s.122
    • /
    • pp.46-50
    • /
    • 2015
  • 중소기업중앙회 등 33개 경제단체 및 38개 발전 에너지기업은 지난 6월 16일 정부가 최근 발표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한 공동의견서를 발표했습니다. 경제계는 발표문에서 "정부가 본실가스 감축 목표를 과도하게 실정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약해지고 산업공동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며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재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7 8월 골판지포장물류지에서는 최근 정부가 제시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안과 감축이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and Reduction Targets in 16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국내 16개 광역시·도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감축목표 비교 연구)

  • Park, Nyun-Bae;Jeon, Eui-Cha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2
    • /
    • pp.159-175
    • /
    • 2013
  • Emission reduction targe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have been discussed and set locally, nationally and globally. After Korean government set the national target in 2009, 16 metropolitan cities established voluntary emission reduction targets by 2020. This study review and compare historical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target by 2020 and strategies in 16 metropolitan cities. Most cities chose a consumption-based inventory approach. Some cities set the reduction target excluding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LUCF) at 30% against business-as-usual by 2020, while others set the absolute reduction target against past year including LUCF. The stringency of reduction target in metropolitan cities was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indicators such as the targets against BAU or past year and per capita emission, etc. Key mitigation sectors were different across metropolitan cities. It is suggested that national government share detailed raw data for metropolitan cities' emission inventory with the local government. Using advanced mitigation model and two types' target based on BAU and historical year and integrating local government's climate change plan with its energy plan are also required.

국제해사기구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연구

  • Ha, Sin-Yeong;Park, Han-Seon;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39-140
    • /
    • 2019
  • 세계경제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2020년을 기점으로 저탄소 경제체제에서 무탄소(에미션 제로·Emission Zero) 경제체제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는 해운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해사기구에서 선박온실가스 규제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효율 규정이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6의 제4장(에너지 효율관리)으로 2011년 개정·채택된 것을 시작으로 최근 2030년까지 40%감축, 2050년까지 50% 감축이라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여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IMO는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기조치, 중·장기 조치를 2023년까지 완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장애요인 분석, 국가별 영향평가, 역량강화 및 기술지원과 연구개발에 관한 로드맵을 포함한 최종 전략 수립을 진행하고 있으나 문제는 국제해사기구(IMO)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박추진 연료로써 수소, 연료전지, 메탄올 등 대체에너지 개발을 대폭 지원하는 국가의 정책전환이 시급하며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시급하다.

  • PDF

Post-202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경제 현실을 반영해야

  • Choe, Gwang-Rim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8
    • /
    • pp.12-15
    • /
    • 2015
  • 국제 기후변화협상에 따라 세계 주요 국가들은 2020년 이후 온실가스 감촉목표를 UN에 제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 배출전망 대비 37% 감축이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지난 6월 30일 확정하였다. 앞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는 여러가지 경제현실을 반영하여 정부가 계획한 주요 감축 수단들이 철저히 이행되도록 전폭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 PDF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the Voluntary GHG Reduction Targets of Major Countries (세계 주요국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시사점)

  • Lim, Jae-Kyu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3
    • /
    • pp.115-142
    • /
    • 2010
  • The voluntary mid-term greenhouse gas(GHG) emission reduction targets for 2020 among major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global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model. The GHG emissions of developed countries were estimated to be reduced by 14.0% from 1990 level, which implies that the GHG reduction targets of developed countr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reach agreement in future post-Kyoto negotiation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for GHG emissions reduction contributed to global GHG emissions reduction by 15.9% from 1990 levels, which were led by the participation of China and India. These outcomes imply that the reinforcement of GHG emission reduction targets i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wider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necessary for the environmental effectiveness of the post-Kyoto regime. Emissions reduction based on voluntary targets will decrease the global real GDP by 1.18%.

  • PDF

저탄소 녹색성장 - 부문별.업종별.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확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53
    • /
    • pp.40-42
    • /
    • 2011
  •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 줄이기로 한 것에 맞춰 각 부문과 업종이 분담해야 할 감축 목표량이 정해 졌다. 수송 부문이 34.3%로 감축률이 가장 높고 다음은 건물 26.9%, 발전 26.7%, 공공 기타 25% 순이다. 관심을 끌었던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률은 18.2%로 정해졌다. 폐기물은 12.3%이고, 농림어업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도록 5.2% 감축률을 배정받았다. 정부는 이같은 내용의 '부문별 업종별 연도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지난 7월 12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

  • PDF

Allocating CO2 Emission by Sector: A Claims Problem Approach (Claims problem을 활용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분석)

  • Yunji Her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1 no.4
    • /
    • pp.733-753
    • /
    • 2022
  •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in 2015. After revising in 2019, the government updated an enhanced target at the end of last year. When the NDC is addressed, the emission targets of each sector, such as power generation, industry, and buildings, are also set. This paper analyzes the emission target of each sector by applying a claims problem or bankruptcy problem developed from cooperative game theory. The five allocation rules from a claims problem are introduced and the properties of each rule are considered axiomatically. This study applies the five rules on allocating carbon emission by sector under the NDC target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the announced government target. For the power generation sector, the government target is set lower than the emissions allocated by the five rul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target for the industry sector is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five rules. In other sectors, the government's target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rule that allocates emissions in proportion to each claim.

Post 2020, 신기후체제와 우리의 대응

  • Jeon, Ui-Cha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8
    • /
    • pp.7-11
    • /
    • 2015
  •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목표(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는 공동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각자의 능력과 국가별 여건을 고려토록 하는 원칙을 갖고 있다. 형평성(equity)과 진전(no back sliding)을 고려하여, 우리의 여건을 적절히 설명하고, 우리의 목표가 얼마나 의욕적이며, 우리의 배출량이나 경제규모에 비추어 공정한지를 잘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경제가 감당할 정도의 감축목표를 우리나라에 적합한 방법으로, 정부-산업-시민이 합의한 방법으로 합심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여야 한다.

  • PDF

Abatement Potentials of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for the Achievement of National INDC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발전기술별 온실가스저감 잠재량 평가)

  • Baek, Minho;Roh, Minyoung;Yurnaidi, Zulfikar;Kim, Sudu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5 no.4
    • /
    • pp.565-590
    • /
    • 2016
  •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Korean government submitted its 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of 25.7% for domestic reduction and the total of 37% reduction by 2030 including the purchase of emission reduction permit from abroad. In this study, 25.7% reduction target is being evaluated to see its impact on domestic energy system using the integrated assessment model, GCAM (Global Change Assessment Model). Results show that electricity generation from fossil fuel technologies using coal and gas decrease by 28.0%, 13.5% while that of biomass, wind power, solar energy increase by 47.6%, 22.0% and 45.4%, respectively. It is worth noting that so called new technology such as USC (ultra supercritical power generation) does not contribute to achieving the emission reduction target and careful and quantitative analysis is required for such categoriz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