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and Reduction Targets in 16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국내 16개 광역시·도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감축목표 비교 연구

  • 박년배 (세종대학교 기후변화센터) ;
  • 전의찬 (세종대학교 기후변화센터)
  • Received : 2013.04.29
  • Accepted : 2013.05.24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Emission reduction targe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have been discussed and set locally, nationally and globally. After Korean government set the national target in 2009, 16 metropolitan cities established voluntary emission reduction targets by 2020. This study review and compare historical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target by 2020 and strategies in 16 metropolitan cities. Most cities chose a consumption-based inventory approach. Some cities set the reduction target excluding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LUCF) at 30% against business-as-usual by 2020, while others set the absolute reduction target against past year including LUCF. The stringency of reduction target in metropolitan cities was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indicators such as the targets against BAU or past year and per capita emission, etc. Key mitigation sectors were different across metropolitan cities. It is suggested that national government share detailed raw data for metropolitan cities' emission inventory with the local government. Using advanced mitigation model and two types' target based on BAU and historical year and integrating local government's climate change plan with its energy plan are also required.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역, 국가, 세계 차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가 논의되고 있다. 정부가 2009년에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한 이후, 16개 광역시 도 또한 자체적으로 202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16개 광역시 도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과 202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이행 전략을 검토 및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광역시 도는 소비에 기반한 배출량 산정 방식을 택하고 있었다. 감축목표는 대체로 2020년까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배출량 전망치 대비 30% 감축하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었지만, 일부 광역시 도에서는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과거의 특정년도 대비 감축하는 목표를 채택하고 있었다. 2020년 배출량 전망이나 과거 특정년도의 배출량, 그리고 1인당 배출량 등 채택하는 지표에 따라서 광역시 도별 감축목표의 강도는 다르게 평가되었다. 광역시 도별 배출량 특성에 따라서 핵심적인 감축 이행 부문 또한 차이를 보였다. 광역시도의 배출량 산정과 감축목표 수립의 개선 방안으로, 광역시 도 온실가스 인벤토리 개발을 위한 세부 자료에 대한 정부와 광역시도간 공유, 상향식 및 하향식 분석 모형 활용, 전망치 및 기준년도 대비 감축목표 제시, 기후변화대응계획과 에너지계획의 통합 또는 연계 수립 등이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