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정단어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GAN-based Dance Performance Visual Background Generation Method using Emotion Analysis on Lyrics (가사의 감정 분석을 이용한 GAN 기반 댄스 공연 배경 생성 방법)

  • Yoon, Hyewon;Kwak, Jeonghoon;Sung, Yunsi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530-531
    • /
    • 2020
  •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예술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무대 효과를 디자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무대 효과 중에서 무대 배경은 공연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춤의 장르별로 무대 배경에 사용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기반 무대 배경 생성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같은 장르 춤은 동일한 무대 배경 이미지가 제공되는 문제가 있다. 같은 장르의 춤이지만 노래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차별된 무대 배경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노래 가사의 감정을 활용하여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을 통해 각 노래의 분위기를 고려한 무대 배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GAN은 노래에 포함된 단락별 감정 단어를 추출하여 스타일을 생성하도록 학습된다. 학습된 GAN은 노래 가사에 포함된 감정 단어를 활용하여 곡의 분위기를 반영한 무대 배경 이미지를 생성한다. 노래 가사를 고려하여 무대 배경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곡의 분위기가 고려된 무대 배경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

Affect Heuristic in Risk and Benefit Perception of Scientific Technologies (과학기술의 위험 및 이득 지각에서 감정추단)

  • Lee, Hyun-Ju;Lee, Young-Ai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8 no.3
    • /
    • pp.305-324
    • /
    • 2007
  • We surveyed the emotional images of three kinds of scientific technologies in people's mind and the perception of technologies in terms of their risks and benefits. The contents of the image and their image values were used to estimate the affects on each technology. As an affect heuristic hypothesis predicted, people perceived the technology more beneficial or riskier depending on their overall affect.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positive affect on the technology Perceived less risky and more beneficial than those who have nega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ve negative affect on the technology perceived riskier and less beneficial than those who have positive affect. We also fou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benefit of each technology.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that suggest affective heuristic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measurements of affect and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of scientific technologies with the public.

  • PDF

Sentiment Analysis using Robust Parallel Tri-LSTM Sentence Embedding in Out-of-Vocabulary Word (Out-of-Vocabulary 단어에 강건한 병렬 Tri-LSTM 문장 임베딩을 이용한 감정분석)

  • Lee, Hyun Young;Kang, Seung Shik
    • Smart Media Journal
    • /
    • v.10 no.1
    • /
    • pp.16-24
    • /
    • 2021
  • The exiting word embedding methodology such as word2vec represents words, which only occur in the raw training corpus, as a fixed-length vector into a continuous vector space, so when mapping the words incorporated in the raw training corpus into a fixed-length vector in morphologically rich language, out-of-vocabulary (OOV) problem often happens. Even for sentence embedding, when representing the meaning of a sentence as a fixed-length vector by synthesizing word vectors constituting a sentence, OOV words make it challenging to meaningfully represent a sentence into a fixed-length vector. In particular, since the agglutinative language, the Korean has 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to integrate lexical morpheme and grammatical morpheme, handling OOV words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parallel Tri-LSTM sentence embedding that is robust to the OOV problem by extending utilizing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words into sentence-level. As a result of the sentiment analysis task with corpus in Korean, we empirically found that the character unit is better than the morpheme unit as an embedding unit for Korean sentence embedding. We achieved 86.17% accuracy on the sentiment analysis task with the parallel bidirectional Tri-LSTM sentence encoder.

Emotion Recogni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음성 인식 정보를 사용한 감정 인식)

  • Kim, W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425-428
    • /
    • 2008
  • 본 논문은 음성을 사용한 인간의 감정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과 결합된 감정 인식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감정 변화가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감정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감정 인식은 음성 인식의 결과에 따라 입력 문장에 대한 각각의 감정 모델을 비교하여 입력 음성에 대한 최종 감정 인식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에서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은 음성 파라메터로 RASTA 멜 켑스트럼과 델타 켑스트럼을 사용하고 신호편의 제거 방법으로 CMS를 사용한 HMM 기반의 화자독립 단어 인식기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음성 인식기와 결합된 감정 인식을 수행한 결과 감정 인식기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Nationalism and Globalization Tendency in Sport Emotion of Korean : Focusing on 2016 Brazil Olympic Games (한국인의 스포츠 감정에 내재된 민족주의와 세계화 성향 : 2016년 브라질 하계 올림픽을 중심으로)

  • Lee, Jong-Kil;Lee, Kong-Joo;Yang, Jae-Si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8
    • /
    • pp.341-349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nationalism and globalization of Korean by analyzing their emotions in sport phase. The SNS comments of newspaper articles on 2016 Brazil Olympics were selected and used to analyze types of nationalism with its emotional tex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words which showed nationalistic tendency represented each sport phase. Second, Korean showed strong resistant nationalism when their historical background was stimulated by the situation. Third, the most dominant type of Korean's nationalism in sport emotion was the closed. This study could be valued with the empirical approach on the sport emotion and nationalism tendency of Korean.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Short Opinion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A Word Pattern Frequency (단어패턴 빈도를 이용한 단문 오피니언 문서 분류기법의 실험적 평가)

  • Chang, Jae-Young;Kim, Ilm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5
    • /
    • pp.243-253
    • /
    • 2012
  • An opinion mining technique which was developed from document classification in area of data mining now becomes a common interest in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industries. The core of opinion mining is to decide precisely whether an opinion document is a positive or negative one. Although many related approaches have been previously proposed, a classification accuracy was not satisfiable enough to applying them in practical applications. A opinion documents written in Korean are not easy to determine a polarity automatically because they often include various and ungrammatical words in expressing subjective opinions. Proposed in this paper is a new approach of classification of opinion documents, which considers only a frequency of word patterns and excludes the grammatical factors as much as possible. In proposed method, we express a document into a bag of words and then apply a learning algorithm using a frequency of word patterns, and finally decide the polarity of the document using a score function. Additionally, we also present the experiment result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Short Text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Complex Keywords (복합색인어 기반 단문텍스트 감정 인식 기법)

  • Han, Ki-Hyun;Lee,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20-522
    • /
    • 2013
  • 스마트 폰의 확산으로 대화의 개념이 음성에서 텍스트로 확대 되고 있다. 방대하게 누적되고 있는 메신저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들을 찾아 사용자에게 추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 해주기 위해서는 텍스트 감정 인식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PMI기법과 감정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정을 분류 하였다. 그러나 특정단어로 감정을 분류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색인어 기반 텍스트 감정 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문장에서 동사와 복합색인어를 추출하여 음운으로 분해한다. 그리고 스트링커널에서 벡터 값을 추출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SVM)으로 4가지 감정(행복, 슬픔. 화남, 평범)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동사와 감정에 영향을 주는 색인어를 추출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기법으로 실험결과 정확도는 기존에 동사만 사용했을 때 보다 15%향상됨을 보였다.

The Emotional State Analysis using Twitter Timeline (트위터 타임라인을 이용한 감정 상태 분석)

  • Kim, Jong-In;Kim, Kyung-rog;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452-1454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와 SNS가 대중화가 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분석을 통한 추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표현단어 500여개와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감정 범주를 9가지로 분류하고, 트위터광장의 여러 유명인사 트위터 타임라인의 텍스트를 가져온 후, 감정상태 분석으로 감정 범주를 카운트 한다. 이를 통해, 한사람의 감정상태의 수치를 나타내고, 추후 음악, 음식, 문화 활동 등을 다양하게 추천할 수 있는 감정상태분석모듈을 설계 및 구현한다.

Sentiment Analysis System by Using BERT Language Model (BERT 언어 모델을 이용한 감정 분석 시스템)

  • Kim, Taek-Hyun;Cho, Dan-Bi;Lee, Hyun-Young;Won, Hye-Jin;Kang, Se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75-977
    • /
    • 2020
  • 감정 분석은 문서의 주관적인 감정, 의견, 기분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셜 미디어, 온라인 리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문서 내 텍스트가 나타내는 단어와 문맥을 기반으로 감정 수치를 계산하여 긍정 또는 부정 감정을 결정한다. 2015년에 구축된 네이버 영화평 데이터 20 만개에 12 만개를 추가 구축하여 감정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언어 모델로는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BERT 모델을 이용하였다. 감정 분석 기법으로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 기존의 기계학습 기법과 구글의 다국어 BERT 모델, 그리고 KoBERT 모델을 이용하여 감정 분석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KoBERT 모델이 89.90%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