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쇠 지연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능동소음제어를 위한 망각형 지연 LMS 알고리듬을 이용한 이중루프제어 모델 (A Double Loop Control Model Using Leaky Delay LMS Algorithm for Active Noise Control)

  • 권기룡;박남천;이건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36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능동소음제어를 위하여 망각형 지연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듬을 이용한 이중루프제어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이중루푸제어 모델은 계산양을 줄이기 위해 이득과 음향시간지연인자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라우드스피커 특성 및 오차음경로를 추정한다. 이중루프구조를 통한 오차신호의 제어는 보다 견실한 제어시스템이 된다. 음향시간지연을 추정하기 위한 필터의 입력신호는 입력 마이크로폰 신호와 적응필터의 차를 사용한다. 망각형 지연 LMS 알고리듬은 비정상상태에서 계수들의 발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실제 소음신호에 대하여 제안한 이중루프제어 모델은 소음레벨이 평균 12.9dB정도 감쇠되었다.

  • PDF

잔향의 객관적 평가량에 근거한 5자유도 실내 잔향 모델 (A Five-Degree-of-Freedom Room Reverberation Model Based on Objective Measures of Reverberation)

  • 안상태;김양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0
  • 실내 잔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잔향의 주관적 지각에 대한 여러 가지 객관적 평가량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그러한 개별적인 평가량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들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다섯개의 대표적인 객관적 평가량-잔향시간, 초기 감쇠시간, 초기시간지연, 명료도, 도달에너지강도-을 선정하고 잔향 감쇠 곡선을 이용하여 그러한 평가량들을 통합하는 잔향모델을 수립한다. 제안된 모델의 기하학적 형태와 주관적 지각 특성 사이의 관계를 해석하고, 이를 잔향의 해석이나 합성에 응용할 때의 유용성 과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 PDF

충격 흡수기의 동적거동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각 파라미터가 댐핑력에 미치는 영향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Each Parameter of S/A on the Damping Force Using Dynamic Behaviour Analysis P/G)

  • 박재우;신상윤;주동우;이시복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1-376
    • /
    • 1996
  • The damping force of shock absorber in an automobile is determined by the components which construct the S/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dividual effect of these components on damping force. In addition, opening of important valve doling compression and tension cycle due to up-down reciprocation movement is also researched. Thus we are to strictly control the properties and tolerance of components having important effects on tile damping force and to produce S/A of better quality.

  • PDF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 처리 기술에 의한 초음파 속도와 감쇠의 측정 (Measurements of Ultrasonic Velocity and Attenuation by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 장영수;김진호;정현조;남영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8-128
    • /
    • 1999
  • 초음파 비파괴검사와 관련하여 많은 측정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형적인 예로서 재료성질 결정, 미시구조 특성 평가, 결함의 탐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응용에서 속도와 감쇠계수는 가장 흔히 요구되는 초음파 측정 파라미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침식 펄스 에코방법으로 속도 및 감쇠 측정을 위한 5가지 해석 알고리즘 (펄스 겹침법, 상호 상관법, Fourier 변환, Hilbert 변환, Wavelet 변환)을 소개하였다. 먼저 연속한 두 저면 반사파 사이의 시간지연 측정을 위하여 펄스 겹침법, 상호 상관법, Fourier 변환에 의한 위상 기울기법 및 Hilbert 변환법을 사용하였다. 주파수 의존위상/군속도와 감쇠계수는 Fourier 변환에 의한 위상 및 진폭 스펙트럼이 사용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시간-주파수 해석법인 wavelet 변환이 이용되었다. 사용된 시편은 분산을 무시할 수 있는 강판과 약한 분산성을 지닌 기공을 함유한 복합판재이다. 각 측정 알고리즘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 PDF

멀티 채널 음장 재생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Multi-Channel Sound Field Reproduction)

  • 김영오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265-26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1채널(mono)이나 2채널(stereo)의 오디오 입력을 5채널(center, left, right, left side, right side)로 출력시키는 음장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정의 리스닝 룸 같이 작은 공간에서 콘서트 홀 같은 커다란 공간의 음장을 재현하기 위한 멀티 채널 음장 시스템은 지연기, 초기 반사음처리기, 잔향기를 이용해 설계하였다. 초기 반사음 처리기의 지연과 이득은 실제 공간에서 측정한 암펄스 응답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구현된 초기 반사음을 전방 30$^{\circ}$방향에서 재생함으로써 확장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잔향기는 자연스러운 주파수 및 감쇠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후방 60$^{\circ}$방향에서 재생되는 잔향의 상관 계수를 작게 함으로써 청취시 공간감을 느끼게 하였다. 설계된 음장 시스템은 무향실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뮬레이션되었고, 그 결과로 얻어진 5개의 PCM 출력은 멀티 트랙 재생 장치에 의해 일반 리스닝 룸에서 재생된다.

  • PDF

MCM배선에서 CMOS 버퍼의 구동력이 신호전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driving capability of CMOS buffer on the signal transmission in MCM interconnects)

  • 주철원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20
    • /
    • 1998
  • 고속 디지털 MCM 응용을 위해 MCM-D 와 MCM-SLC 배선에서 CMOS 버퍼의 신호상승시간에 따른 신호전송특성을 연구하였다. 고속신호처럼 버퍼의 내부저항이 배선의 임피던스보다 작아 발생하게 되는 과도한 ringing은 MCM-D와 같이 lossy line의 전송감쇠 효과로 overshooting 이나 undershooting을 줄일 수 있지만 ringing에 의한 신호왜곡을 근 본적으로 막기위해서는 CMOS버퍼와 배선사이에 적절한 종단을 통해 임피던스 비해 크면 배선의 캐패시턴스에 의해 RC 지연이 증가한다. 그런데 MCM-D 배선은 단위길이당 캐패 시턴스도 작고 배선길이를 줄일수 있으므로 총 RC 지연은 MCM-SLC보다 작았다. 결론적 으로 MCM-D 배선이 MCM-SLC 배선에 비해 고속 디지털 MCM기판으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간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 지연 감소를 위한 MAC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MAC Protocol to Reduce the Delay Latency in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s)

  • 장호;정원석;이기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8A호
    • /
    • pp.600-609
    • /
    • 2009
  • 기존의 IEEE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와 같은 전통적인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성능의 급격한 감쇠와 전송 지연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한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의 DCF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slot)을 선택할 때 패킷 충돌로 인한 재전송이 반복될 때 마다 크기가 커지는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내에서 일반 확률 분포(uniform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이용한 랜덤(random) 선택 기법을 사용하지만 제안한 프로토콜에서는 전송 지연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쟁 윈도우의 크기를 고정시키고, 전송 슬롯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하도록 비 균등(non-uniform)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전송 슬롯을 랜덤하게 선정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프로토콜이 802.11 MAC 표준에 비하여 전송 지연이 감소함을 보여 전송 지연에 민감한 실시간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최적 지연 한계점(best latency bound)을 충족시키는 프로토콜임을 입증한다.

완전 디지털 다중경로발생기 (A Full Digital Multipath Generator)

  • 권성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74-81
    • /
    • 2002
  • 다중경로발생기는 일반적으로 시간지연발생부, 위상발생부, 감쇠발생부로 구성되며 주로 애널로그 방식으로 구현되어왔다. 따라서 경년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번의 A/D 변환, D/A변환과정으로 인한 신호의 충실도 저하, 미세지연을 위해 높은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다중경로 현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시간지연부는 두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한 블록에서는 샘플단위의 시간지연을 만들고 나머지 한 블록에서는 섭샘플(subsample) 시간지연을 만들 수 있도록 하여 정밀한 시간지연값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시스템의 마스터 주파수도 특정한 값으로 고정할 필요도 없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완전히 디지털 하드웨어로 구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경로 발생 알고리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무선 PAN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채널 사운딩 기법 (An Efficient Channel Sounding Method for WPAN System)

  • 조주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Wireless PAN을 위한 MIMO-OFDM시스템에서 근거리 데이터 전송과 더불어 주변장치간 원활한 통신을 위해 채널 sound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전력 확산 지연을 통해서 임펄스 응답의 지속시간을 파악하며, 감쇠 특성을 갖는 전력 지연 프로 파일(power delay profile) 모델링 하였고, ML(maximum likelihood) 기법으로 채널 응답 계수를 얻었다. Channel sounding 기법을 통해 측정한 크기, 위상, 지연의 변수 값으로 송신단과 수신단간의 채널 전파 특성이 측정 된다. 이 측정된 채널 정보들이 수신단에서 채널 상태를 파악하며, 수신단에서 이 채널 정보를 근거로 통신 링크 성능 향상과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액체추진제 로켓엔진 연소기 저주파 동특성 (Low Frequency Dynamic Characteristics of Liquid-Propellant Rocket Engine Combustor)

  • 하성업;정영석;김희태;한상엽;조광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1-101
    • /
    • 2004
  • 분사기와 연소실만을 가지는 연소기의 수학적 선형모델을 가지고, 액체추진제 로켓엔진 연소기에 대한 저주파 동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소실의 압력변화가 추진제 유량변화로 되먹임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저주파 섭동을 나타냈으며. 연소실의 시정수가 증가할수록, 분사기의 차압이 증가할수록, 연소시간지연이 짧을수록 시스템은 안정하였다. 분사기 시정수 변화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연소시간지연이 없는 경우의 시스템은 항상 안정하였으며, 지연시간이 증가할수록 섭동 주파수 및 감쇠율은 줄어들며, 결국 시스템은 불안정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