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소방안

Search Result 3,95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압력용기에서의 중성자 조사량 평가 및 감소방안 연구

  • 김동규;김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103-108
    • /
    • 1997
  • 압력용기로의 속중성자 조사량 평가를 4군 노달 노심해석코드로 수행하였다. 이 코드는 MCNP에 비해 정확성은 떨어지나, 핵연료 연소의 효과나 핵연료 장전 모형의 영향을 쉽게 고려할 수 있었다. 속중성자 조사량 감소 방안으로서 반사체 차폐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안과 노심외곽에 대체 핵연료 집합체를 장전하는 방안을 비교하였다. 신형원전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물 반사체 영역에 금속 차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나 운전중인 원자로의 경우 비록 주기길이의 감소와 핵연료 비용의 증가는 있으나 속중성자 감소 효과에 있어서는 대체 핵연료 집합체의 장전이 대안일 수 있다.

  • PDF

Risk Decrease Method for Component Control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원전기기제어시스템의 위험도 감소 방안)

  • Cho, Chang-Hwan;Kim, Jung-Seon;Kim, Yang-M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27-228
    • /
    • 2007
  •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원자력발전소의 기기제어시스템은 Single-loop Control과 하드와이어드된 배선을 이용한 제어방식에서 Multi-loop Control과 통신망을 이용한 제어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기제어시스템의 단일고장발생시 플랜트 위험도가 증가하게 됨으로 플랜트 위험도 감소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위험도 감소를 위한 방안에는 기기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법과 제어루프에 작동기기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단일고장발생시 플랜트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랜트 위험도 감소 방안 중 작동기기 할당 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고리 1호기 수명 연장을 위한 압력용기 중성자 조사량 감소방안

  • 서보균;신창호;김종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777-782
    • /
    • 1998
  • 원자로 압력용기의 건전성은 원전의 수명과 직결되며, 압력용기는 운전기간동안 중성자의 조사에 의해 재료의 성질이 저하된다. 중성자 조사량 감소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MCNP코드를 이용, 고리 1호기 14주기 원자로심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원자로심 핵연료집합체를 제외한 주변구조물에 새로운 추가차폐체를 설치하여 조사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 위치를 찾고, 여러 재질의 차폐 성능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Ta 패드를 이용한 설계안의 경우에 압력용기 용접부위에서 약 32% 정도의 속중성자 조사량 감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OFDM 시스템에서 PAPR 감소방안

  • 신태철;김순영;이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65-7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분야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과 무선 환경극복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시스템에서 전송되어지는 신호들의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PN 시퀀스로 쓰이는 두 개의 직교 시퀀스, 즉 Walsh-Hadamard 시퀀스와 Golay complementary 시퀀스의 PAPR 성질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보인다. 즉, 상대적으로 적은 채널사용자일 때 Walsh-Hadamard 시퀀스는 매우 큰 PAPR를 가지며, 반면 Golay complementary 시퀀스는 이론 값에 근접한 안정된 상태를 보인다. 이 두 시퀀스의 장단점을 이용하여 채널사용자 수에 따른 직교 시퀀스의 결정으로 OFDM 시스템의 PAPR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감소효과를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Disaster Reduction in Distribution Center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특성분석 및 재해감소에 관한 연구)

  • Kim, Yo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87-188
    • /
    • 2022
  • 물류센터의 유형별 산업재해 발생형태를 분류하여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종 및 유사 재해를 사전에 재해를 예방코자 한다. 국내물류센터에서 발생된 6년간의 유형별 발생형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책을 수립하여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서 재해감소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서 재해감소 방안을 제시하므로써 물류센터의 재해율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남북공유하천의 문제점과 협력 방안_2주제: 임진강 유량감소와 대응 방안

  • Song, Mi-Yeong;Lee, Gi-Yeong;Baek, Gy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6-646
    • /
    • 2015
  • 임진강은 북한지역이 유역면적의 60%에 달하고 2000년대 초부터 북한의 4월5일 댐과 황강댐과 남한의 군남과 한탄강 홍수조절지로 인해 물의 흐름과 강의 모습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측면에서도 한반도 중부지역으로 기온 증가와 계절별 유출량, 특히 봄철의 유출량 감소가 전망되는 지역이다. 임진강 본류 유량 감소는 북한 측의 영향은 자료가 전무하고, 남측에서는 횡산, 군남 등 일부 수위표 자료만이 가용한 수준이다. 현재까지 자료로 보면, 2014년에 연강수량이 예년의 50% 수준이었던 점이 본류 유량 감소의 주 원인이었고, 다른 원인은 군남 홍수조절지의 저류 수준이 그 직하류 유량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감소 영향은 2014년 장단반도 일대 파주지역에서 가장 극심하였고, 유량 감소와 연동된 염도 변동이 가중되면서 모내기철 농업용수 공급이 어려웠다. 유량 감소 피해는 농업보다 어업분야에서 그 체감 정도가 극심하였고 경제적 피해도 심각했다. 체감하는 주민들 대부분은 댐 건설 이후 하도와 수변의 침식과 퇴적 등 하천의 역동성이 변화함을 느끼고 있고, 그로 인해 어업과 수생태계가 지속가능성하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팽배해 지고 있다. 지금까지 파악된 임진강 유량 감소의 수준과 피해 정도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지, 그 수준, 심각성, 경제적 피해와 환경적 가치나 서비스 제약 등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하천의 흐름이 단절, 변경되어 야기되는 직간접적 변화를 인정하고 이를 지속가능하게 보완할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무엇보다 수환경과 수생태계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장기모니터링이 절실하고 그 결과의 해석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2014년 혹은 그보다 심각한 강우량 감소 재현을 대비하고, 기후변화와 남북한 문제까지를 고려한 임진강 관리가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하천 본류는 물론 가용한 저수지, 지하수 등 대체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등 비상급수체계를 운영해야 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등 장래 여건이 수량 압박을 가중할 것을 고려, 유역의 용수수급과 변동성에 대한 재평가가 시급하다. 보다 면밀한 평가는 횡산, 군남 등을 포함한 남북유역의 상황을 장기모니터링하고 북한 지역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한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보다 합리적 분석을 위해 임진강 수계와 유역을 국가하천에서 국제하천으로 격상하는 방안이나, DMZ와 연계한 남북공유 하천으로 관리하는 등의 새로운 대안이 절실하다. 국제수로협약 등을 통해 접경지역의 하천관리를 공동으로 하고 있는 외국 사례의 시사점도 접목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임진강 관리를 좀 더 제도적 틀안에서 확립해 가기 위해 지역정부로서의 경기도, 중앙정부 주체로 국토부와 통일부가 보다 협력적인 관계 정립과 역할 배분을 논의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