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 형용사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Adjectives for Selection of Color Patterns (컬러 패턴 선택을 위한 형용사에 관한 연구)

  • Kim Sung-Hwan;Eum Kyoung-Bae;Chung Sung-Suk;Lee Joon-Who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4
    • /
    • pp.355-363
    • /
    • 2005
  • The adjectives for represnting emotions is important to evaluate and select the colors or color patterns. In this paper, we perform the MDS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o the Soen's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of random color patterns with 13 adjective pairs. As a result, those adjectives can be reduced 3 different factors representing emotions of weight, activity and temperature, which is approximately correspond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on single colors. Also, we show that the adjectives for preference can be approximate4 by other primary adjectives for color patterns using regression analysis. This implies that one can construct a uniform emotion space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color patterns regardless of objects such as wall papers, carpets, and so on.

  • PDF

A study on the model of sensitive adjectives (감성 형용사의 모형에 관한 연구)

  • Eum, Kyoung-Bae;Choi, Deuk-So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8 no.2
    • /
    • pp.73-80
    • /
    • 2007
  • In this reaearch, our goal is to find the representative adjectives which express the sensitivity for wall paper. We want to make a model which can explain the whole by using the representative adjectives. We got the adjective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ield survey, and internet survey. To find the representative adjectives, we used modified factor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used in preceding research can not control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sensitivity, becaus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ata is concentrated into the mean. So, we used the modified factor analysis to control it.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reduced factors could account about 79.5% when the number of factor are three.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sensitivity was reflected in some adjectives. This result can be used to make a recommending model for wallpaper.

  • PDF

Emotion-based Image Retrieval Using Emotional Term Thesaurus (감성 형용사 시소러스를 이용한 감성 기반 이미지 검색)

  • 김용일;양형성;양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2-324
    • /
    • 2001
  • 기존의 이미지 검색에서는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미지의 가시적 속성을 정확히 표현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질의가 제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감성 형용사를 감성 용어 시소러스로 구축하여 감성 기반의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감성 용어 시소러스를 이용함으로써 ‘부드러운’, ‘세련된’등과 같은 감성 용어를 검색의 질의어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고, 검색의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Design of Adjective Thesaurus (형용사 시소러스 설계에 관한 연구)

  • 유명희;최석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2.08a
    • /
    • pp.197-204
    • /
    • 2002
  • 형용사는 감성 및 감정검색을 위한 색인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형용사의 개념관계를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의 개념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형용사의 특성, 관련 개념구조를 고찰하고, 아울러 구조화, 관계, 표시방법, 배열 등을 고려하여 형용사 시소러스를 설계하였다.

  • PDF

The Construction of Sensibility Thesaurus Based on Color (색상에 기반한 감성시소러스 구축)

  • Nam, Young-Joo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4
    • /
    • pp.43-61
    • /
    • 2003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new searching tool for era of multimedia. Thesaurus is a useful tool but is constituted with noun phrase including the adjective for retrieving the human Sensibility. Therefore, I experimentally construct the Sensibility thesaurus using the color scale which contains the Sensibility meanings. Terms are 261, Relation standards are distance and ratio of reiteration between the terms. I would use an exclusive program of the thesaurus construction for Sensibility adjective.

Preference Sensibility and Hand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Lifestyle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견직물의 선호감성과 태평가)

  • 김춘정;조길수;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0-144
    • /
    • 200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견직물에 대한 감각·감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별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견직물의 소재 디자인시 감성관련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감각형용사는 ‘거칠다, 우글쭈글하다, 촘촘하다’등에서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은 평가하였으며, 감성형용사는 ‘개성적이다, 독특하다’등에서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클래식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캐주얼하다, 액티브하다, 신선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세 clluster별로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cluster 2를 가장 ‘촉감이 좋다, 구매시 선호한다’라고 하였다. 촉감선호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매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Emotional Term Thesaurus for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Games (게임성 정의를 위한 형용사 시소리스)

  • Hyun, Hye-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3
    • /
    • pp.138-145
    • /
    • 2008
  • The development of human-friendly game technologies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human emotion is a very crucial element in designing games. Out of emotion derived from games,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characteristics of games as a meaning representing the degree of reaching the targeted emotion. When examining most of researches regarding emotion, it has been noted that they tried to extract the most representative emotion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emotional vocabulary and evaluate it by the association with the design elements in question. However, this definition would be beneficial only to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game entity and it could not express the emotion of concrete and objective play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ense correlation of adjectives so as for emotional expressions to be represented accurately corresponding to players' intention, by using adjective thesaurus for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uch game entity.

Evaluation of Textile Image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

  • 이정순;신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95-29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피륙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촉감, 태 이외에도 색채, 무의 등 여러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의류소재의 총체적인 개념인 의류소재 이미지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를 위한 축을 개발해 보았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Texjournal과 인터패션플래닝에서 발간되는 98/99FW부터 0255까지 트렌드 북에서 소재를 설명하는 형용사를 조사하여 유사한 형용사를 통합 처리하여 87개의 형용사를 최종 추출하여 형용사쌍을 만들고 소재 자극 없이 형용사쌍이 주는 소재이미지만을 가지고 쌍비교법을 통해 유사성을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87개의 형용사의 평가차원을 살펴보았다. 의류소재 이미지를 평가하는 축을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결과 '남성적-여성적', '새로운-낡은 듯한', '캐주얼-클래식', '모호한-정돈된'의 4가지 차원의 8개축이 개발되었다.

  • PDF

Fiber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using the Prediction of User-Preference and Textile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 정경용;김진현;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4-228
    • /
    • 2002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뿐만 아니라 물질적 풍요로움과 더불어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재 개발의 프로세스가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 예측에 사용될 이웃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를 사용한다. 이웃들간의 사용자 유사도 가중치는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Textile의 대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Textile을 추천한다.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

A strategy for simplifying the process of sensibility measurement using a category-based dimensional model (범주-차원의 혼합을 통한 감성 조사의 단순화 전략 -직물 패턴의 감성 조사를 중심으로-)

  • 박수진;장준익;홍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30-23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로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감성공학 연구에서 감성공학 연구에서 감성 공간을 보다 쉽게 도식화하고 평가 방법을 단순화시키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감성공학연구에서는 수집된 감성 어휘를 순차적으로 정리해 줄이는 방법을 취한 다음 최종 어휘 목록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이 다소 복잡하여 표본의 수가 많은 경우 어휘 목록을 인위적으로 줄이지 않으면 신뢰로운 반응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단순한 방법으로 감성 반응을 포괄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감성 형용사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최소 차원을 설정하고 차원 평정치에 따라 필요한 어휘군의 목록만 사용하여 어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