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성 상호작용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42초

감성 필터 모델을 통한 감성공학과 감성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Emotivity Engineering and Emotivity Education with Emotivity Filter Model)

  • 송태옥;안성훈;김태영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30-34
    • /
    • 2000
  • 인간의 능력은 유전과 환경에 의해 결정되며, 정보는 인지와 감성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처리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정보처리모델에서는 유전과 환경, 인지와 감성 작용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감성이론과 정보처리모델을 바탕으로 감성필터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감성필터가 입력을 선별적으로 수용하며, 수용된 입력은 자신의 현재 능력과 함께 상호작용을 하며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지식과 경험을 재구성하거나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다. 이 모델을 통하여, 새로운 관전에서 유전과 환경의 의미 그리고 감성과 인지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적인 관점에서 감성교육과 감성공학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실시간 Social Distance 추적에 의한 감성 상호작용 인식 기술 개발 (Recognition of Emotion Interaction by Measuring Social Distance in Real Time)

  • 이현우;우진철;조아영;조영호;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89-96
    • /
    • 2017
  • 본 연구는 비콘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Social Distance로부터 감성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인식된 상호작용은 Photoplethysmogram(PPG)로부터 추정된 심혈관 동시성과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상호작용은 Social Distance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 인식되었으며, 심혈관 동시성은 PPG로부터 계산된 Beats Per Minute(BPM)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추정되었다. Social Distance로부터 유효한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유지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상호작용 대상일 때와 아닐 때의 심혈관 동시성에 대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15개 집단(집단 당 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비콘 및 PPG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도록 요청받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인식한 상호작용 대상은 더 높은 심혈관 동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 상호작용 시간은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는 11초로 결정되었다(p=.045). 결과적으로 실 공간에서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실시간 측정과 평가를 할 가능성을 높였다.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른 감성 캐릭터 모델 (Emotional Character Model using User Interaction)

  • 심연숙;변혜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47-450
    • /
    • 2000
  •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화, 가상현실, 게임 등의 분야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술에서는 애니메이터가 직접 움직임을 정의하였지만, 최근에는 사용자의 환경이나 실세계 환경에 상호작용 하면서 지능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감성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캐릭터의 생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에 감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OCC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로봇 감성 기술 (Robot Emotion Technology)

  • 박천수;류정우;손주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2호통권104호
    • /
    • pp.1-9
    • /
    • 2007
  • 공공 서비스, 홈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매개치료, 개호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감성적인 교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점차시각, 음성 인식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감성 인식에서 촉각 기반의 상호 작용을 통한감성을 생성하고 다양한 형태로 감성을 표현하는 로봇들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내.외부 센서들을 통한 감성에 영향을 주는 감성적 문맥 인식기술과 로봇 감성 및 행동 표현에 대한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 오진욱;박종현;조장현;이철;윤명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9-376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 감성리더십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obel-test 및 Baron과 Kenny의 모형에 따라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 원장 감성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원장 감성리더십의 상대적 설명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각 바이오 정보 기반 치매 가상증강콘텐츠 기술 동향 (Digital Olfactory Based Dementia Screening and Cognitive Enhancer Content)

  • 최종우;장성준;방준학;이해룡;김진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4호
    • /
    • pp.89-97
    • /
    • 2019
  •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largely based on its corresponding recognition technology and smell stimulus that acquires, analyzes, and process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esent in chemical molecules, which are present in the breath or air evoked by an electronic nose artificially imitating the human biological nose.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also based on a scent display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diverges various digital flavors based on aesthetics, concentration, duration, and intensity information required to enhance the sensibility using a computer.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noninvasive screening of dementia by sensing, analyzing, encoding, and transmitting bio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olfactory interface, both domestically and externally; further, the olfactory medical content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delay or reduce the onset of dementia.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using olfactory biology information and dementia cognitive enhancer content that delays or reduces the onset of dementia.

감성 캐릭터 애니메이션 시스템 설계 (Emotional character animation system)

  • 심연숙;변혜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293-295
    • /
    • 2000
  • 그래픽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사용자의 환경이나 실세계 환경에 상호작용 하면서 지능적으로 동작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캐릭터의 생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에 대하여 자동적(autonomous)이고 상호적인(interactive) 애니메이션을 전제로 하는 감성 캐릭터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설계한다. 특히 캐릭터에 감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OCC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소비자 욕구에 상호작용하는 공간마케팅의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marketing strategy is interacted with the consumer wants)

  • 안세윤;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4
    • /
    • 2008
  • 감성 컨버전스 시대에 있어 상품의 성능이나 기술은 더 이상 소비자의 선택요소는 아니다. 소비자들은 능동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체험을 원한다. 체험을 줄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강조되고 총체적인 공간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례를 분석하여 소비자 욕구 충족 요소와 체험요소의 관계를 파악하고 공간마케팅 전략의 방향성을 제언하고 있다.

  • PDF

게임 NPC의 감정 표현을 위한 계층적 성격 모델 (Hierarchical Personality Model for the Game NPC's Emotion Representation)

  • 권일경;이상용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92-795
    • /
    • 2009
  • 게임 환경에서의 지능형 NPC는 인간과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AI 객체로 게임의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객체의 상호작용에는 사람과 객체 간의 감성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며, 게임에서의 감성 표현은 게임의 장르와 상호작용 목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모델링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객체 간 감성적 상황정보에 따라 다양한 객체의 감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NPC의 성격 모델을 설계한다. 특히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NPC의 성격 모델링을 제안하여 모델링 시점에서 유추 가능한 NPC의 성격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