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 건축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traction of the Evaluation Construct Models from each article (제품별 색채감성 평가구조모델 추출)

  • 이진숙;신은영;임오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54-459
    • /
    • 1999
  • 본 연구는 메이크업, 자동차, 패션, 건축내장, 건축외장의 색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성 평가구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5개 제품별 색채감성 평가구조모델을 레퍼토리 그리드 발전수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제품별 평가구조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5개의 구조모델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제품별 평가어휘를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어휘와색채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2) 제품별 고유 평가구조 및 제품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구조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y emotional tendency in Architectural design (건축디자인에서의 다감각적 감성의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 Bahn, Sang-Chul;Jin, Bor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683-5694
    • /
    • 2015
  • In architecture, Sensibility is the most basic thing in the environmental cognition. Emotion is the phychological or cognitive phenomenon of sensory changes. A cross-causal relationship is formed between the two, and they have a consensus in contact with humans and environment. Sensibility ever to serve as bundle and cognize as mutual superposition. Humans unconsciously perceive through the synesthesia that integrated all the senses. In this study, it has been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the sense must be design to the multisensory experience of the emotional design. Depending on the times change, it can know that the gradual changes based on the anthropocentric sense and sensibility. Emotional design in architecture shall ensure that a variety of experience through the multisensory. In this emotional design, multisensory design (or various sensory function) -visual & tactory or visual & auditory etc.- is required beyond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visual concenturated.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demands of the modern social objectives of sympathy or empathy for the human-centered design sensibility, the visual perception as well as a variety of sensory must be recognized that a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functional. And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y design is required to aim the synesthesia cognition.

A Study on the Emotion-Responsive Color Coordination Digital Wall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감성어휘별 색채배색에 의한 디지털 벽면을 중심으로 -)

  • 김주연;이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9-84
    • /
    • 2002
  • 디지털 삶에서 인간들은 더 이상 보호막으로써의 건축 환경이 아닌 함께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감성반응 환경을 요구한다. 즉, 실내 공간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사람들의 기분을 만족시키기 위해 건물이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쉬지 않고 변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 PDF

The Story of Nature, Sensibility and Ecological Architecture (자연, 감성, 그리고 생태건축 이야기)

  • Jung, A-Young
    • Korean Architects
    • /
    • s.513
    • /
    • pp.68-71
    • /
    • 2012
  •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은 함께 존재하지만, 그 점유 방식과 목적은 서로 다르다. 공간은 인간에 의하여 창조되지만 결국에는 자연에 근거하며, 자연은 인간의 공간창조 행위에 의해 이미 변질되고 파괴된다. 가속화 된 도시화로 인하여 야기된 문제를 자연과 인간, 공간의 조화로운 공존이라는 측면으로 모색하기 위하여 생태건축(Ecological Architecture)을 그 방책의 하나로 주목하고자 한다. 본 글에서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건축적 측면으로의 대표적인 방법인 생태건축의 현실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연에 대한 태도를 담은 감성의 생태건축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생가해 보고자 한다.

  • PDF

Consideration on the Analogue Emotion and Design Factor in Digital Age : Focused on Architecture Design (디지털시대의 아날로그적 감성 및 디자인요소에 관한 고찰 : 건축공간을 중심으로)

  • Kim, So-Yeon;Kim, Se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584-593
    • /
    • 2016
  •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eople's liv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fortable and convenience. But with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people feel tired of a modern society, so they became interested in basic human value and the design with human emotion This design is defined as the analog design concept to stimulate human emotions in previous studies, this approach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has been attempted. This study is to consider about the concepts and consequent design elements for analog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the prior analysis of the study In particular, understanding the architecture environment transformed into objects that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humans, this study focused on architectur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dvice on the basic research of the field by analyz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analog design in the digit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