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형용사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of Preferred Seat Design for Train (열차용 시트의 선호외형 디자인 특성 분석)

  • 박세진;이현영;한상찬;김지현;구재광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1-16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열차용 시트 디자인에 대한 감성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실제 디자인으로 구체화하고자 실시되었다. 시트 디자인의 감성평가를 위해 형용사들을 추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인들이 기대하는 열차용 시트 디자인의 감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감성특성을 실제 디자인으로 보다 쉽고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특징적인 시트 디자인들을 시각적인 그림으로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감성특성 및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선호되는 시트 디자인의 감성특성과 이러한 감성특성과 관련을 가지는 실제 디자인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시트들을 디자인하여 2차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가장 선호되었던 디자인을 최종 디자인 대안으로 결정하였다.

  • PDF

Interpolation of Color Image Scales (칼라 이미지 스케일의 보간)

  • Kim, Sung-Hwan;Jeong, Sung-Hwan;Lee, Joon-Who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289-297
    • /
    • 2007
  • Color image scale captures the knowledge of colorists and represents both adjectives and colors in the same adjective image scales in order to select color(s) corresponding to an adjective. Due to the difficulty of psychological experi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in general, only a limited number of colors are located in the color image scales. This can make color selection process hard especially to non-exper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polation of color image scale based on the fuzzy K-nearest neighbor method, which provides continuous colors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sca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nterpolated image scales can be practically useful for color selection process.

  • PDF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 Oh, Jin-Wook;Park, Jong-Hyun;Jo, Jang-Hyeon;Lee, Cheol;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vie Rating Inference by Construction of Movie Sentiment Sentence using Movie comments and ratings (영화평과 평점을 이용한 감성 문장 구축을 통한 영화 평점 추론)

  • Oh, Yean-Ju;Chae, Soo-Ho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6 no.2
    • /
    • pp.41-48
    • /
    • 2015
  • On movie review sites, movie ratings are determined by netizens' subjective judgement. This means that inconsistency between ratings and opinions from netizens often occur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sentiment sentence sets which affect movie evaluation, and apply sets to comments to infer ratings. Creation of sentiment sentence sets is consisted of two stages, construction of sentiment word dictionary and creation of sentiment sentences for sentiment estimation. Sentiment word dictionary contains sentimental words and its polarities included in reviews. Elements of sentiment sentences are combined with movie related noun and predicate from words sentiment word dictionary. In this study, to make correspondence between polarity of sentiment sentence and sentiment word dictionary, sentiment sentences which have different polarity with sentiment word dictionary are removed. The scores of comments are calculated by applying averages of sentiment sentences elements.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s that sentence scores from sentiment sentence sets are closer to reflect real opinion of comments than ratings by netizens'.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do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방향성 소재 디자인을 위한 향과 색의 복합 감성 연구)

  • 우승정;조길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6 no.2
    • /
    • pp.37-47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factory sense such as perfume and sense of sight and how it affects the sensibility based on the fact that ,senses are compound feeling from detective parts of human body. First, to build the emotional rate stale we selected the 19 pairs of adjective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overlaps smell, color, and clothes and added one pairs of related clause. Then each pair was divided into 7 level of emotional stage. In the experiment by the selected 15 man and woman from the visual design major student of Hong-ick Univ each student was given floral, jasmin, lavender, papaya and asked them to pick one color from I.R.I Hue & Tone chart for each smell. Then, analyzed the emotional rating of selected color for given smell. The emotional structure of smell and color consists five parts; 'Esthetics', 'Romance', 'Character', 'Intensity', 'Nat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selected colors for each given smell and gender difference also affected the color selected. Average value of emotional rating scale of smell and color was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smell and emotion.

  • PDF

A Study on MCC Development for Color Design (색체디자인을 위한 MCC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Eun-Ba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2 s.60
    • /
    • pp.219-232
    • /
    • 2005
  • Moderns are living within flood of web contents, animation, reflex data etc. as well as sight, product, environment design. There fore, modern consumer has much options. Designer must provide various result for consumer for this reason. And must invent new sensitivity and propose to consumer. As purpose of this MCC sensitivity palette research takes advantage of the most sensitive color, do. Because applying correct sensitivity more than when design with matter already settled, rid private prejudice, and is thing to convey design intention exactly to user. Excellent culture contents must be able to equip international color design sensitivity. MCC sensitivity palette research studies and carries on the head emotion and sensitivity language that is nationality first, and collect End arranged sensitivity adjective through data analysis and picture data analysis that is the next time research leader Munheonjeok. And distributed collected adjective equally, and arrange distributed adjective by field of each sensitivity and collect system. Do 3 colors, 4 colors color scheme in selected sensitivity adjective and completed Simheom version. Result of beta version research to color specialist and designer last digital palette through question and inquiry compose. Through this process, completed more real and correct digital color sensitivity palette. Completed color scheme is operated in www.mcdri.net on web, and also programs to windows base and developed to software. MCC color scheme palette that research result is made includes sensitivity data database. This database can use directly in industry and continuous development is available. Software can search color scheme in language and idea development through classification search that use 3 attributes of color is available there is cough data of each output device different color error.

  • PDF

A Study on the Hand and Sensibility Image of Textiles for Underwear According to Season (계절별 언더웨어용 소재의 태와 감성이미지 연구)

  • 김희숙;조신현;나미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12-312
    • /
    • 2003
  • 최근에 내의는 디자인 및 소재의 다양화로 기능성과 패션성을 지향하는 등의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계절별로 선호하는 언더웨어용 소재의 태와 감성요인을 추출하고 이의 계절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며, 태와 감성이미지가 소재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H대학의 남ㆍ녀 대학생 109명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여름철 내의용 소재인 13가지의 편성물 중 가장 선호하는 소재의 태와 감성이미지를 7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태와 감성 형용사를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중략)

  • PDF

Emotion Recognition of Sentence by using Speech Act (화행 정보를 활용한 문장에서의 감정 인식)

  • Kim, Ki-Tai;Ryu, Pum-Mo;Choi, Yong-Seok;Lee, Sa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9-200
    • /
    • 2009
  •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대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문장에 내재된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만 한다. 또한 상호간의 대화를 통해서 풍겨지는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마치 인간과 대화하는 듯한 자연스러움을 느끼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대화에서 감정은 언어적인 표현뿐 아니라 비언어적인 표현으로도 표출되지만, 본 논문은 텍스트 상에서 언어적으로 표현되는 감정 정보를 인식하는데 초점을 둔다. 언어적인 표현으로 한정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감정을 직접 표현하고 있는 형용사나 동사가 중심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형용사를 중심으로 하여 화행 정보와 결합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문장에 내재되어 있는 숨겨진 감정이나 분위기 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선행 연구로서 텍스트 상에서 직접 드러나는 감정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