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표현요소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Features musical studies in Korea pop music for gloomy emotional expression (어두운 감성 표현을 위한 한국 대중가요의 음악적 특징연구)

  • Eunji, Park;Lee, Seny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93-94
    • /
    • 2014
  • 본 논문은 음악과 감성에 대한 논문이며 다양한 인간의 감성 중 어두운 감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따른 가사에 대한 감성표현과 음악적 요소를 활용한 감성표현의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어두운 감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Digital Eye Content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눈 콘텐츠 표현 연구)

  • Lim, Yoon-Ah;Lee, Eun-Ah;Kwon, Ji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2
    • /
    • pp.563-57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n emotional expression factors of digital eye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environments. The emo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mart doll is derived and we suggest guidelines for expressive factors of each emotion. For this paper, first, we research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ression are shown in eyes by the publications, animation and actual video. Second, we identified six emotions -Happy, Angry, Sad, Relaxed, Sexy, Pure- and extracted the emotional expression factors. Third, we analyzed the extracted factors to establish guideline for emotional expression of digital ey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to distinguish and represent each emotion are classified four categories as eye shape, gaze, iris size and effect. These can be used as a way to enhance emotional communication effects such as digital contents including animations, robots and smart toys.

A study on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Quotient in Cartoon Learning (만화학습에 있어서 창의성개발과 감성지능의 관계에 관한 연구)

  • Choi, Mi-Ran;Cho, Kwang-S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2
    • /
    • pp.183-192
    • /
    • 2012
  • This study aims at expressing the correlation of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artoon expression learning through literary research and correlation analysis. Analyses were made on each sub-factor for the self emotional intelligence evaluation and the creativity evaluation made by experts through cartoon expression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Studies on preceding research showed that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correlation and that it is common preception that higher creativity is equivalent to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there is a relation between creativity evalu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artoon expression learning, not all factors were correlat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emotional evaluation of the upper and lower group learners did not show similar results in the creativity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factors, finding the appropriat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method would be the way to enhance creativit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cartoon expression learning,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for extracting the relative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 PDF

Study of the interaction of emotion dimensions according to music recognition by the creators and listeners (창작자 및 청취자간 음악 인지에 따른 감성차원의 상호작용 연구)

  • Kim, Jin Woong;Lee, Seungyon-Seny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01-102
    • /
    • 2014
  • 현재 인간의 감성표현을 위한 수단중의 하나인 음악이 인간의 감성반응을 자극하는데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작자 입장에서 감성 표현 시 음악의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분석하고 각 의도된 정서 및 요소가 청취자의 감성반응으로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대표적인 음원 사이트인 네이버, 멜론, 엠넷에서 두 달 이상 5위안에 랭크된 곡들을 선정하였다. 선전된 각 곡들을 음악 전문가집단 대상에게 설문 조사하여 각 곡에 사용된 음악적 특징과 분석하고 각 요소 별 감성을 수집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창작자가 의도하는 감성과 청취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A lexical structure of adjectives for the sensibility of visual design elements in Textile (직물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

  • 박수진;조경자;장준익;김길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63-6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모형을 제안하고, 아울러 감성 모형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ㅅ는 대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와 관련 잡지, 신문, 사전 등을 통한 광범위한 어휘 수집이 이뤄졌으며 수집된 어휘는 1,000여 개였다. 수집된 어휘에 대해 이해도 및 적절성 평가를 실시하여 직물 제품과 관련된 감성을 표현하기에 부적절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들을 제거하여 360개의 감성 어휘로 정리하였다.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 108개를 이용하여 자유 연상과제를 실시하였으며 그결과 어휘들 간 관계에 대한 연결망을 그려낼 수 있었다. 어휘망에서 중심적인 대표어 역할을 하는 18개 어휘를 추출하여 1차로 유사성평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차원 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어휘들 간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차원은 네 개였다. 1차로 구성된 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로 각각 20개씩의 어휘를 새로이 추출하여 2회에 걸쳐 유사성 평정을 실시한 결과,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을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세 개차원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the Human Sensibility Ergonomic Design Supporting System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 한성배;양선모;정기원;김형범;박정호;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29-135
    • /
    • 1996
  • 본 논문은 제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고객의 감성을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로 변환하는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은 감성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 디자인 요소변환 서브시스템, 형상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 등 크게 세 가지의 서브시스템으로구성된다. 감성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은 고객의 제품에 대한 정성적 감성을 분석하여 디지인 요소와 상관성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품을 표현하는 감성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로 변환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디자인 요소변 환 서브시스템은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와 연결하는 추론 시스템으로서 감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휘 중에서 고객이 선택한 감성어휘에 대해 퍼지 추론을 이용하 여 디자인 요소와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형상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은 제품의 아이템/카테고 리에 대한 형상을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 요소변환 서브시스템에의해선정된 제품정보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고객이 원하는 제품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상을 가지게 되는가를 보여주게 된다.

  • PDF

The study on physical factors related with emotional reaction on the flying path (나는(flying) 궤적(path)에 있어서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물리적 속성(요소)에 대한 연구)

  • Kim, Do-Yun;Jeong, Jea-Wook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4 s.62
    • /
    • pp.139-146
    • /
    • 2005
  • Animation works have been peformed by the objective sensitivity and experience so far. Software designs have been also manufactured based on intelligent data because they are easy to objectify and digitalize. In contrast, there are many elements, which human senses are hard to objectify and digitaliz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digitalize and objectify human senses and how to use them as the quantitative data and its subject is a flying path. In the experiment, this study collects some sensitive words for how human beings express the living path. The evaluation words for sensitivity through the collected sensitive words are extracted and the sketch images for the flying path are collected from the extracted evaluation words for sensitivity. Based on the collected sketch images, the samples of real moving image, which are the core of this study, are manufactured. Then, quantification theory III and I a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itive words representing the flying path and the samples of moving image. As a result, this study can figure out the structure of sensitive words and the samples of moving image and analyze the physical stimulating elements for the flying path. The flying path corresponds to the path that the object has passed. Some unique sensitive words are expressed by means of interacting some sensitive stimulating elements after looking at such a path. There are some elements that stimulate the senses and they include the physical elements such as speed, rotation, pattern and length of ar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fy and quantify the animation works that are created by animators' subjective thought and experience and to use them in animation works in the future.

  • PDF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성개발을 위한 만화표현학습

  • Choe, Mi-Ran;Jeong, S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3-126
    • /
    • 2009
  • 본 연구는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창의성개발을 목적으로 만화의 창의성 평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실험대상의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만화의 창의성 요소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더불어 흥미성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각 요소를 통하여 객관적인 창의성 평가를 얻기 위해 각 요소에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이 후 1 차 실험은 실험대상의 4 컷 만화제작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의성 요소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기본적인 창의성 요소를 확인한 결과 수업 전의 창의성이 높은 요소는 유창성, 낮은 요소는 독창성을 들 수 있었다. 또한 1 차 실험 후 실험대상의 작품평가에 대한 창의성 결과에 대해 정교성과 흥미성의 요소를 더욱 개발하기 만화 표현학습이 이루어 졌으며 이후 2 차 실험이 이루어졌다. 2 차 실험 또한 4 컷 만화제작을 통하여 창의성 변화요인을 살펴 보았으며 만화학습 후의 창의성 개발요소 중 높은 요소는 정교성, 낮은 요소는 독창성의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 창의성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만화표현학습이 실험대상의 창의성 변화에 대해 영향을 끼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nsideration on the Analogue Emotion and Design Factor in Digital Age : Focused on Architecture Design (디지털시대의 아날로그적 감성 및 디자인요소에 관한 고찰 : 건축공간을 중심으로)

  • Kim, So-Yeon;Kim, Se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584-593
    • /
    • 2016
  •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eople's liv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fortable and convenience. But with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people feel tired of a modern society, so they became interested in basic human value and the design with human emotion This design is defined as the analog design concept to stimulate human emotions in previous studies, this approach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has been attempted. This study is to consider about the concepts and consequent design elements for analog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the prior analysis of the study In particular, understanding the architecture environment transformed into objects that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humans, this study focused on architectur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dvice on the basic research of the field by analyz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analog design in the digital society.

다변량해석기법을 활용한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박정호;한성배;양선모;김형범;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36-140
    • /
    • 1996
  • 제품개발의 개념이 기능이나 성능중심에서 인간의 감성중심으로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감 성은 정성적 언어로 표현되며 이것을 물리적 디자인요소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정량화하는 것이 선결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변량해석기법 을 활용하여 고객의 제품에 대한 정성적 이미지를 정량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감성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데 있다. 감성 데이터베이스는 감성어휘와 이의 제품에 대한 정량적 수치 데이터로 구성되고, 이를 위해서는 감성어휘 선정, 디자인 요소에 의한 제품의 분류, 감성어휘와 디자인요소간의 상관도 도출 등이 필요하다. 감성어휘는 요인분석에 의해 선정하고, 제품은 아이템/카테고리에 의해 분류하며, 감성어휘와 디자인요소간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다변량해석기법 특히, 수량화이론 1류를 사용해서 정량화 한다. 이렇게 구축된 감성 데이터베이스는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시스템의 감성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의 핵심 역활을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