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평가 척도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an Emotion Scal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motion Induced by Odors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 분석)

  • 손진훈;박미경;이배환;민병찬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5 no.1
    • /
    • pp.61-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motion Rating Scale induced by Odors'an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induced by odors. At first 37 adjectives that describe odor to develop a rating scale were selected. Subjects were to rate odor emotion on a 7-point bipolar scale. 304 subjects participated and were as a group instructed to rate odor emotion. 53 out of 304 subjects were retested to test for reliability of the scale two weeks after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finally 25 adjectives were then selected based on high test-retest reliability and factor loading, high contributing to one factor. 24 subjects each in 10s, 20s, 30s & 40s were to rate odor emotion induced by 5 different odors on the scale developed.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consisted of 'Esthetics', 'Intensity', 'Romance', 'Nature'and 'Character'.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by age appeared quite similar but that by different odors was little bit different.

  • PDF

The Development of Kamsung Evaluation Index of Life Environmental Noise (생활 공간음 환경의 감성 평가 지표 개발)

  • 손진훈;권윤주;민윤기;최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21-126
    • /
    • 1999
  • 본 연구는 생활 소음이 유발하는 유해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감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를 이용하여 생활 소음과 소음에 대한 감성간 관계를 반영하는 감성 지수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소음에 대한 주관적 느낌을 잘 기술해주는 27 개의 형용사를 선정한 뒤, 세 가지의 실제 주거 소음을 들려주며 소음에 대한 감성을 27 개의 형용사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이 결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지배성', '쾌/불쾌', '각성' 차원의 세 개 차원으로 구성되는 14 개의 최종적 소음 감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주거 생활에서 소음과 감성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4 가지의 주거 소음을 들으면서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소음에 대한 느낌을 소음 감성 척도상에 평가하게 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소음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소음에 대한 감성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직선적 관계가 얻어졌고. 이를 기초로 일차 방정식 형태의 소음-감성 지수를 도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 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05-113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어휘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천박한, 신선감-답답함, 편안함-불편함, 순수함-가식적인, 세련미-촌스러운, 진취성-보수성, 여성성-남성성,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엇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 황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10-317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 어휘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 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Factor Structure of Imagery on Odors :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향(香)의 이미지 인자구조: 남녀차에 관한 연구)

  • 민병찬;정순철;김수진;김혜주;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17-422
    • /
    • 1999
  • 지금까지 향의 이미지에 따른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 특히 성별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향의 이미지에 따른 성별 감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향 (Jasmin abs, Rose oil bulgalian, Lavender oil france, Lemon oil misitano)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분석하였다. 후각 실험 및 주관적 평가는 20-26세의 남자10명, 여자10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주관적 평가는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후각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여, 양극의 7점 척도 25문항, 단극의 5점 척도 40문항, 그리고 각 향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묻는 양극의 7점 척도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 모두 Lemon향을 가장 쾌한 감성의 향으로, Rose향을 가장 자극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심리척도의 보편적인 정서인 쾌/불쾌, 자극/진정의 감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별로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Rose향을 정열적이고 화려한 향으로 느낀다거나, Jasmin 향에 대하여 남성은 여성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Jasmin 향을 남성적인 향으로 평가하는 등 각 향에 대한 세부적인 이미지에는 여성과 남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or Sensibility Scale and its application (색채 감정 척도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 황상민;김경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95-30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적인 색채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색채감성척도(PCS)를 개발하고 이것을 색채 감성 이미지의 평가에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색채심리에 기초한 색채감성척도(PCS)는 NCS와 ISCC-NBS 색명법에 의거한 색상과 톤의 개념으로 구성되었으며 기본형과 상세형의 두 가지가 개발 되었다. 표준화된 색채감성척도는 각 사람들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색에 관한 이미지나 색에 대한 심리적인 선호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호색, 선호의상색, 선호 화장품 색을 나타내는데 PCS가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보여주었다. PCS를 이용한 색채 감성 이미지는 Color Image Palette를 이용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제시되기도 하였다. 색채 경험에 대한 광학적이거나 물리적인 속성이 아닌 심리적인 특성을 평가하고 서로 다른 집단의 반응을 비교 평가하는데 PCS와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a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사용자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 Jeong,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117
    • /
    • 2007
  •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 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형용사와 같은 어휘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즉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되는 인간의 감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들과 대표감성들을 추출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에는 감성어휘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외에도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을 제안하였다. 향후 제안한 평가스케일에 대한 신뢰도(reliability) 및 타당도(validity)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함으로써 제품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do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방향성 소재 디자인을 위한 향과 색의 복합 감성 연구)

  • 우승정;조길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6 no.2
    • /
    • pp.37-47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factory sense such as perfume and sense of sight and how it affects the sensibility based on the fact that ,senses are compound feeling from detective parts of human body. First, to build the emotional rate stale we selected the 19 pairs of adjective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overlaps smell, color, and clothes and added one pairs of related clause. Then each pair was divided into 7 level of emotional stage. In the experiment by the selected 15 man and woman from the visual design major student of Hong-ick Univ each student was given floral, jasmin, lavender, papaya and asked them to pick one color from I.R.I Hue & Tone chart for each smell. Then, analyzed the emotional rating of selected color for given smell. The emotional structure of smell and color consists five parts; 'Esthetics', 'Romance', 'Character', 'Intensity', 'Nat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selected colors for each given smell and gender difference also affected the color selected. Average value of emotional rating scale of smell and color was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smell and emotion.

  • PDF

Development a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while using a product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 Jeong, Sang-Ho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03-410
    • /
    • 2007
  • The most common method in the psychological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is to indirectly measure the user's emotion by using adjectives, called emotional words.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observe user's emotional changes while they interact with a product, has extracted some emotional words and representative emotions, and made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In addition to adjective checklists,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s have been extensively used to assess user's emotions. This research sugges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using the representative emotions and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made in the previous research. Also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Therefor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extracted through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measure a user's user's emotions naturally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