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제품 디자인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Human Sensibility Ergonomic Design Supporting System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 한성배;양선모;정기원;김형범;박정호;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29-135
    • /
    • 1996
  • 본 논문은 제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고객의 감성을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로 변환하는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은 감성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 디자인 요소변환 서브시스템, 형상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 등 크게 세 가지의 서브시스템으로구성된다. 감성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은 고객의 제품에 대한 정성적 감성을 분석하여 디지인 요소와 상관성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품을 표현하는 감성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로 변환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디자인 요소변 환 서브시스템은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와 연결하는 추론 시스템으로서 감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휘 중에서 고객이 선택한 감성어휘에 대해 퍼지 추론을 이용하 여 디자인 요소와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형상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은 제품의 아이템/카테고 리에 대한 형상을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 요소변환 서브시스템에의해선정된 제품정보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고객이 원하는 제품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상을 가지게 되는가를 보여주게 된다.

  • PDF

The Design?Marketing Strategy through emotion-oriented categorization(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sauce)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디자인?마케팅 전략(장류제품을 중심으로))

  • Lee, Yu-Ri;Yang, Jong-Yeol;Park,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64-66
    • /
    • 2007
  • 범주화(categorization)은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 및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 안에 유사한 하위 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장류제품전체와 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의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류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한 것은 장류제품이 한국인의 식탁에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제품 중의 하나이고 또 현대화시대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의 변화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증연구는 전북지역과 서울지역의 소비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퍼지기반 감성 디자인 추론기관 구축에 관한 연구

  • 정기원;한성배;양선모;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41-145
    • /
    • 1996
  • 본 논문은 고객의 감성과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을 퍼지논리을 통해 추론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퍼지기반 추론기관은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고객의 감성정보를 설계자에게 제품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디자인 정보로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이다.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의 일 부인 추론기관은 고객의 감성과 제품형상의 연관성을 퍼지논리를 이용하여 전향추론하도록 하였다. 출 력은 추론기관을 통해 선정된 부품 카테고리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베이스의 그래픽화일을 화면에 디스플 레이하게 한다. 고객 자신의 감성에 대한 불명확함과 제품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고객감성 반영의 어려움 등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추론기관의 개발은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의 감성을 적용하는데 활용되리라 본다.

  • PDF

다변량해석기법을 활용한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박정호;한성배;양선모;김형범;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36-140
    • /
    • 1996
  • 제품개발의 개념이 기능이나 성능중심에서 인간의 감성중심으로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감 성은 정성적 언어로 표현되며 이것을 물리적 디자인요소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정량화하는 것이 선결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변량해석기법 을 활용하여 고객의 제품에 대한 정성적 이미지를 정량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감성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데 있다. 감성 데이터베이스는 감성어휘와 이의 제품에 대한 정량적 수치 데이터로 구성되고, 이를 위해서는 감성어휘 선정, 디자인 요소에 의한 제품의 분류, 감성어휘와 디자인요소간의 상관도 도출 등이 필요하다. 감성어휘는 요인분석에 의해 선정하고, 제품은 아이템/카테고리에 의해 분류하며, 감성어휘와 디자인요소간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다변량해석기법 특히, 수량화이론 1류를 사용해서 정량화 한다. 이렇게 구축된 감성 데이터베이스는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시스템의 감성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의 핵심 역활을 한다.

  • PDF

감성제품의 형상데이터 처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김형범;한성배;이동길;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46-150
    • /
    • 1996
  • 본 논문은 감성제품 및 부품의 형상데이터 처리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한다. 감성공학적 디자인요 소변환 지원시스템의 전체구조는 다변량해석형기법을 활용하여 인간의 감성과 디자인과의 관련성을 분 석하고 이 결과들을 데이터베이스로구축하는 부분과 퍼지논리을 이용하여인간의 감성과 제품형상을 연결하는 추론기관 그리고 감성제품 및 부품의 구조를 지원하는 형상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상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형상데이터 처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여 보았다. 최근에 와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실세계의 데이터를 더욱 충실히 표현하기 위해 이를 객체 (object)를 사용하여나타낸 후, 이 객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련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 이스를 설계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품 세분화 과정에 객체지향 모델링기법을 고객의 감성이 잘 반영되는 가전제품 중 전화기에 적용하여 감성제품 및 부품의 형상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형상데이터 처리시스템은 제품설계 및 디자인 분야에 다양하고 폭넓게 적용 및 응용될 수 있을 것이며감성을 중시하는 미래의 제품설계분야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기대된다ㅣ.

  • PDF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Product Design Process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위한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S) 적용성에 대한 연구)

  • Huang, Chao;Go, Ju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80-88
    • /
    • 2019
  • With more emphasis on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users in product design field, designers' clear and prompt grasp of user's emotion has become the core activity in product design research. To increase the flexibility applying emo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this study has used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 of behavioral emotion measurement method in product design evaluation. To select specimens, it has flexibly used the emotional product Image Map. Then this study has selected six product irritants inducing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s, and conducted FACS experiment with ordinary product users of 20 generations as the experimental subject, and analyzed users' emotional state in response to the irritants through their facial expressions. It also analyz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ACS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such as "recording users' unconscious facial expressions" and puts forward some applicable schemes, such as "choosing a product stimulus with high user response".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an be helpful to the flexibility of FACS as a method to predict user's emotion in advance at the trial stage of product design before launching them to the market.

Three-dimensional sensitivity design pattern development of Mobile Metal Case which used EF(INNET) (E/F(INNET)을 이용한 Mobile Metal Case의 3차원 감성 디자인패턴 개발)

  • Cheon, Sang-Hyeon;Ji,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0-24
    • /
    • 2009
  • Mobile의 기술발달과 보편화에 따라 소비자들은 Mobil이 자기 개성 표현인 액세서리화되고, 더욱 감성적이고 차별화된 디자인을 요구함에 따라, 기업들은 이런 소비자들의 개성화 감성화의 니즈를 표면처리 디자인 기술로 효율적으로 적용해 소비자의 감성만족을 시키려 하고 있다. 국내외 Mobile 시장에서 Metal Case 외장의 2차원적인 디자인패턴은 다양한 표면처리 가공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고, 패턴디자인의 한계에 이르렇다. E/F(INLET)의 도금 가공 기술의 Concept은 "원활한 모재의 제품 박리성" 에 있으나, 역발상으로 "Metal 모재와의 밀착성"으로 제품디자인을 구현하여, 제품의 도금 두께층 및 신뢰성 기술 확보함으로, 표면층에 사진, 그림, 인물 풍경, 자연물이미지 등의 다양한 감성디자인패턴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산업기술자원부의 디자인혁신센터로 중소기업디자인개발 지원을 위해 설립된 중앙대학교 디자인경영센터와 SR I-TECH의 기술력으로 3차원 감성디자인패턴을 개발하게 되었다.

  • PDF

Evaluation Method for the Creativity Elements and Emotional design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 Lee, Sung-Pil;Hong, Jung-Py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1
    • /
    • pp.259-268
    • /
    • 2010
  • This modern society is said to be more typical of an emotional society. In such a society, emotional design adds value to products, hence bringing about value-enhanced products. Despite many claims of little substance about emotional desig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hat have identified what criteria to be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products and generic products or even have clearly defined what emotional products are. This leads to a clear need for providing more definite criteria for defining and classifying design elements useful and available for users. To fill the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elements for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design, and, based on that, identify some of the most importantly valued elements, and secondly, to examine how the images importantly used for expression relate to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design. In this study, chosen products were presented to selected users so that they can choose what they think possesses emotional design elements. Then the products so chose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esign type for examination of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of perceived design images about the selected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mages and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essential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can vary depending on changing times, environments, and users, and as well, to offer an insight into what images design should be possessive of for it to be preferred by consumers.

  • PDF

Regarding a Sensitivity Design Application Method from Product Feature Extraction (Focused on MP3 Player) (제품특성 추출을 통한 감성디자인 적용 방법 (MP3 제품을 중심으로))

  • Kwon, Jong-D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6
    • /
    • pp.126-133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hat kind of creative thinking has as factors for emotion design products for consumers focusing on the successful cases of emotion products. For the design creativity attribut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design evaluation creativity tools revealed in Kim Eun-Ju's 2007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tool development were used mostly MP3s, which have various forms, functions and siz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for experiment.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for design creativeness items for MP3 as single products, uniqueness, favorableness and convenience were relevant. Accordingly, the common features of design creativeness items for emotional product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 for emotional designs, the interest level of uniqueness for the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items and the functional items for practicality had a high relativ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design creativity items for products other than MP3s in the future.

A comparison of sensibility image across nations : The evaluation of product image based on the color and concept image scale (국가 간 감성이미지의 비교 연구 : 색채와 언어 이미지 척도를 이용한 제품 이미지의 평가)

  • 신수길;한광희;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61-169
    • /
    • 1998
  • 제품의 “감성이미지”란 제품의 기능과 함께 제품의 전달하는 감각적 요소 그리고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적 표상을 통합하는 이미지이다. 감성이미지의 국제 비교 연구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구가나 문화의 맥락 속에서 해석하고, 이들 이미지를 상호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생활문하 속에서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해 가지는 감성이미지를 계량적으로 규명하고 비교 평가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각국의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활동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었다. 먼저, 각 문화 집단을 특징 지울 수 있는 표상개념으로 “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구성하였다. 이 언어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자인 요소로 색채를 활용하여, 언어 개념과 색채 요소에 상응하는 자동차 제품의 감성 이미지가 각 문화 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각 문화 집단들이 특정 제품에 대해 적용하는 감성 이미지는 언어와 색체 요소로 구체화 될 뿐 아니라, 이들 집단이 형성한 사회적 표상(social representation)의 개념으로 비교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