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어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Dynamic Search Ranking Model for Information Search Tasks: The Evaluation of Users' Relevance Judgement Model (정보 검색 과제별 동적 검색 랭킹 모델 구현 및 검증: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 평가를 중심으로)

  • Park, Jung-Ah;Sohn, Young-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3
    • /
    • pp.367-38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mplement and verify an information retrieval(IR) system based on users' relevance criteria for information search tasks.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an IR system with a dynamic ranking model using users' relevance criteria varying with the types of information search task and evaluated this system through user experiment. 45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information search tasks on both IR systems with a static and a dynamic ranking model. Three Information search tasks are fact finding search task, problem solving search task and decision making search task. Participants evaluated top five search results on 7 likert scales of relevance. We observed that the IR system with a dynamic ranking model provided more relevant search results compared to the system with a static ranking model.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designing IR system for information search tasks, in testing the validity of user-oriented relevance judgement model by implementing an IR system for actual information search tasks and in relating user research to the improvement of an IR system.

  • PDF

Category-based Feature Inference in Causal Chain (인과적 사슬구조에서의 범주기반 속성추론)

  • Choi, InBeom;Li, Hyung-Chul O.;Kim, Shin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4 no.1
    • /
    • pp.59-72
    • /
    • 2021
  • Concepts and categories offer the basis for inference pertaining to unobserved features. Prior research on category-based induction that used blank properties has suggested that similarity between categories and features explains feature inference (Rips, 1975; Osherson et al., 1990). However, it was shown by later research that prior knowledge had a large influence on category-based inference and cases were reported where similarity effects completely disappeared. Thus, this study tested category-based feature inference when features are connected in a causal chain and proposed a feature inference model that predicts participants' inference ratings. Each participant learned a category with four features connected in a causal chain and then performed feature inference tasks for an unobserved feature in various exemplars of the category. The results revealed nonindependence, that is, the features not only linked directly to the target feature but also to those screened-off by other feature nodes and affected feature inference (a violation of the causal Markov condition). Feature inference model of causal model theory (Sloman, 2005) explained nonindependence by predicting the effects of directly linked features and indirectly related features. Indirect features equally affected participants' inference regardless of causal distance, and the model predicted smaller effects regarding causally distant features.

A Study o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dentity Using the Keywords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주제어 프로파일링 및 동시출현분석을 통한 지능정보시스템 연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Yoon, Seong Jeong;Kim, Min Y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2 no.4
    • /
    • pp.139-15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search identity of the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through the profiling methods and co-word analysis in the most recent three-year('2014~'2016) study to collect keywor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identity for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 we need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tudy will be to compare identity by collecting keyword and research methodology of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nd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as well as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for the similar. Also,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is focusing on the four research area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data mining, Intelligent Internet, knowledge management and optimization techniques. So, we analyze research trends with a representative journals for the focusing on the four research areas. A journal of the data-related will be investigated with the keyword and research methodology in Korean Society for Big Data Service and the Korean Journal of Big Data. Through this research, we will find to research trends with research keyword in recent years and compare against the study methodology and analysis tools. Finally, it is possible to know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a study area that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only be pursued through a unique reveal its legitimacy and identity. So, this research can suggest future research areas to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pecifically. Furthermore, we will predict convergence possibility of the similar research areas and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in overall ecosystem perspectives.

A Study on Promotion Strategies for Examining Platforms of Convergence Contents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츠 육성 전략)

  • Park, Soo-Ile;Shin, Dong-Pil;Chun, Sa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97-202
    • /
    • 200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 문화적 트렌드의 변화는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해 주며, 정보통신기술은 통신과 방송, 통신과 콘텐츠 등 영역간의 경계를 허물며 융합을 가능하게 하고, 우리의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새로운 문화적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은 방송 통신 융합이라는 이름으로 방송과 통신, TV와 PC 온라인과 오프라인 등의 모든 영역에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마치 역사상 신대륙의 개척 과정처럼 새로운 제품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는 물론 세계의 모든 비즈니스 업체들은 이 기회의 땅을 향해 전력 질주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르는 콘텐츠의 융합 역시 괄목할만하며, 게임과 영화,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등의 콘텐츠 간의 융합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모바일에서 영화를 제작하고, 게임과 소설 네트워크가 결합하고, 심지어는 게임 안에서 음악을 유통시키는 유통의 융합까지도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융합의 확산은 미디어와 플랫폼의 등장뿐만 아니라 플랫폼 간 교차와 연결 및 통합이 가능한 미디어 전경(landscape)을 창출해 내고 있으며, 인터넷과 TV의 결합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전송 메커니즘을 서로 연결시켜 수많은 형태의 다중 플랫폼을 등장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가 네트워크나 전송 플랫폼의 구별 없이, 그리고 디바이스의 선택과 상관없이 활용되는 통합 플랫폼 환경이 폭 넓게 조성되고 있다. 따라서, 방송 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츠는 사용자의 요구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텔에 대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어야 하며, 일관된 기술로 통선 및 서비스간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한다. 방송 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츠는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및 IP 멀티캐스트 기능을 활용한 서비스들과 연계하여, 관련된 소재 산업들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며, 관련 분야에 미치는 효과가 막대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육성전략을 고찰해보도록 한다.

  • PDF

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 Park, Jo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1
    • /
    • pp.53-71
    • /
    • 2015
  • Geographical travel(Geotravel) is new theme tourism based on geographical fieldwork. Geotravel is an emotional journey to explore physical and human landscapes, and is also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one beyond the scope of historical tourism. Geotravel provides an optimized regional content and programs for experiential tourism of the family. Taking advantage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spatial tourism, the geotravel methodology in catchment unit is strongly recommended. The geotravel content has to be developed in convergence standpoint. The integrated key words of geotravel are human and water. Geotravel is a pattern of specialized edutainment tourism for the public and elementary,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well.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travel courses is necessary for the popularization of geotravel. Mobile apps will be the medium that delivers easy geographical travel information. And geotravel curator has to be raised quickly for the generalized easy and interesting geotravel.

  • PDF

Study of Design for Digital Appliance Interlace Using Analog Metaphor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Shim, Jae-Hee;Yang, Jeong-Hwa;Jang, Sae-H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34-339
    • /
    • 2008
  • 요즈음 각종 미디어를 통해 '디지로그' 라는 신조어가 주목 받고 있다. 디지로그의 핵심은 디지털 기반의 이분법적인 사고의 틀을 보완하기 위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도입을 의미한다. 이는 기능중심적인사고로 해결할 수 없는 인간과 컴퓨터의 간극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HCI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생활가전제품 인터페이스의 중요한 목적은 사용성, 유용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 이었다. 이는 제품자체의 목적을 그 기능에 국한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에어컨, 냉장고와 같은 생활 가전제품들의 위상은 기능을 넘어 집안의 인테리어의 요소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대변 할 수 있는 혹은 과시하고 싶은 명품 이미지로써 점차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또한 TFT Color LCD의 도입은 제품의 상태를 단순히 전달해 주는 단계를 벗어나 심미적인 표현까지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를 계기로 수채화 표현기법과 같은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감성적 인터페이스가 시도될 수 있었다. 아날로그 메다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인터페이스의 첫 번째 단계는 스타일이다. 아날로그적인 스타일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회화영역이다. 에어컨 공기청정기능의 프로그레시브 영역에 수채화로 표현된 산과 들을 보여줌으로서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풍경화로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정신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제품의 프리미엄의 이미지를 각인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스토리이다. 기능을 디지털의 On/Off에 의거하여 나열 하기보다 기능과 기능사이의 문맥을 스토리로 연결함으로서 아날로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토리의 기준은 사용자의 경험에 기인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는 컨텐츠이다. 이제는 한가지로 집중된 기능만으로는 사용자를 만족 시킬 수 없다. 사용자에게 인간적인 체온이 느껴지는 아날로그적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인터페이스 자체로 감동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디지털제품의 궁극적인 목표가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이제는 똑똑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넘어 사용자체가 감성적 만족감을 주는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로 진화 하고 있는 것이다.

  • PDF

Esthetic & Rsychology of Cosmetics (에스테틱과 화장심리학)

  • 김봉인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2 no.1
    • /
    • pp.3-4
    • /
    • 1996
  • 오늘날 화장품 산업은 역동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화장품은 한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욕구, 가치관 및 생할양식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는 국가의 정치적 기후나 경제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즉, 화장품 과학은 예방의학, 건강과학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미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상품개발이 진행되어갈 것이다. 지금 우리는 21세기를 향하여 1990년대의 중반기에 들어섰다. 80년대는 물질 문명의 중심으로 생활의 질의 풍요로움을 추구하였으나 90년대는 소비자 우선의 풍요로움을 향수하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여성이 사회진출,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 고 학력화, 개인의 가치관 존중 및 많은 생활패턴의 변화가 마음의 풍요로움을 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물질적 의존도로 부터의 탈피가 크게 강조되고 있다. 이에 마음의 풍요로움을 창조하여 연출하는 화장품산업의 역할이 고기능성에 의한 부가가치를 높이고 마음의 풍요로움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가고 있다. 화장품을 여성들의 치장이라고 하는 주체적 행위에 도움을 주는 하드웨어라고 한다면 소비자의 마음은 소프트웨어로써 소비자 입장에서 만족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하는 아이디어가 있어야 하는데 그에 상응하는 대책으로 스킨케어를 들 수 있다. 스킨케어란 병든 피부를 제외한 여러 가지 유형의 피부를 화장품과 미용기기를 이용하여 그에 맞게 예방관리 하여 건강하고 아름답게 보호 유지하는 전문 분야이다. 즉, 스킨케어는 화장품 이용을 통하여 미래의 소비자들의 다양한 비용 욕구 및 소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킨케어는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접촉을 통하여 안위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단순한 피부손질이라는 문제에 그치지 않고 접촉을 통해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꾀하는 생명현상의 심층과 연관되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스킨케어는 불어로 Soin Esthetique 라고 하는데 어원을 보면 손질, 처치, 보살핌 그리고 배려를 의미한다. 지금으로부터 200년전 독일의 미학자인 Baumgarten이 미는 인간에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대상이며 미는 보는 사람의 마음에 있다라는 감성의 미학에서 Esthetique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다시 말하면 Soim Esthetique는 인간의 마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배려 있는 조치로써 여성이 화장을 함으로써 외모의 조화에서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꾀하는 생명현상의 심층과 연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에스테틱과 화장의 심리는 매우 땔래야 땔 수 없는 불과분의 밀접한 관계라 볼 수 있다.

  • PDF

Trend of sound quality development in vehicles (자동차 음질 개발 동향)

  • Kang, Koo-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5a
    • /
    • pp.327-327
    • /
    • 2010
  • 자동차에서 실내음질은 구매결정 요소들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운전자가 기대하는 실내음질의 기대 수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소비자는 운전경험과 습관에 따라 기대하는 음질에 차이가 있고 소리에 대한 표현방식도 모호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관적 특성을 하나의 통일된 표현으로 정의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지난 이십여 년 동안의 음질개발과 차량 실내소음 주관평가의 통계처리로 통일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심리음향학 및 신호처리기술의 발달과 꾸준한 음질연구결과로 소리특성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소리의 시각화가 가능하였으며, 운전자가 인식하는 주관평가와의 상관관계를 높여 차량의 대표적인 음질인자로 정량화하여 음질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실내소음의 구성은 엔진 투과음, 흡배기 소음, 바람 소음, 도로 기인 소음 등으로 다양하므로 소음원에 따라 음의 균형을 맞추어 조화로운 음질개발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차량 판매되는 지역에 따라 선호음이 상이하여 지역별 실내음질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감성품질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음을 제어하여 브랜드 사운드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음질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음원과 전달경로에 대해 기여도를 분석하고, 경로를 구성하는 시스템 별로 세분화하여 시스템 목표를 설정하였다.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인자로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성능을 들 수 있다. 특히 디젤차량의 비중이 큰 유럽업체의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개발 능력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유럽의 부품전문회사가 가지고 있는 해석과 시험적인 개발 방법을 통하여 전달계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강성 및 흡차음 특성을 개발하고 있다. 차량음질 튜닝의 중요한 기법 중 하나로 흡배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차량, 전기차량 및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전기구동부품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음 발생을 최소화 했다. 보행자를 보호하고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하기 위한 가상사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 수익성 향상을 위한 원가절감 및 구조 경량화에 따른 음질악화와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고성능 고출력 엔진탑재에 따른 음질악화 요인을 극복해야 했다. 운전자의 청감은 차량의 운전성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엔진제어와 변속기제어를 통해 음질과 운전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향후, 소음원에 따른 시스템 최적화 개발, 운전성과 음질 연계 개발과 친환경차량의 가상사운드 개발 등이 자동차 음질 개발의 중요한 이슈로 생각한다.

  • PDF

Growth and Environmental Tolerances (Water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of Hybrid Female Red Sea Bream Pagrus major × Ma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regeli (교잡어, 참돔 (Pagrus major, ♀) × 감성동 (Acanthopagrus schregeli, ♂)의 성장 및 수온변화와 저염분 환경에서의 내성)

  • Kim, Yang-Su;Ji, Seung-Cheol;Biswas, Biswajit Kumar;Biswas, Amal;Jeong, Gwan-Sik;Murata, Osamu;Takii, Kenj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44 no.3
    • /
    • pp.276-283
    • /
    • 2011
  • The growth and tolerance for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compared among red sea bream Pagrus major (RSB)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regeli (BSB) and their hybrid ($F_1$), female RSB ${\times}$ male BSB. The growth of the $F_1$ fish did not differ until 27 days after hatching (dAH), after which the most rapid growth was observed until approximately 300 dAH, followed by RSB and BSB. However, the RSB had out grown the $F_1$ fish by approximately 303 dAH. By 480 dAH, the RSB were largest, followed by the $F_1$ and BSB groups. The tolerances for high and low water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species and growth stage. The largest tolerance spectrum was observed in the BSB group, and the tolerance spectrum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final body weight. During the salinity tolerance trials, all of the species started to die following transfer into freshwater (0 psu). BSB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hen kept in fresh water for an average of 29.9 hours, while the $F_1$ fish were more tolerant than the RSB fish. The fish were increasingly tolerant to fresh water and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s they grew, while the size of the temperature spectrum remained unchanged but shifted to a lower temperature range with growth.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F_1$ performed well in terms of growth compared to parental fish, with higher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s than RSB, and is thus suggested to be a suitable aquaculture species for Korea and northeast China.

A Study on Diversification of Hangul font classification system in digital environment (디지털 환경에서 한글 글꼴 분류체계 다양화 연구)

  • 이현주;홍윤미;손은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5-14
    • /
    • 2003
  • As the digital technology has improved, the numbers of Hangul font users have increased and their individual needs and taste are diversified. Therefore new and various Hangul fonts out of traditional form are developed and used. But under the present font classification system, it is hard to compare and analyze these various fonts. And the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 is hard to be the font user's guide for proper use of various Hangul fonts. For the better use of Hangul font, to diversify the font classification system is needed. So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these thru classification standards. First, structural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 of Hangul. Second,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isual images of each font. And third, usag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onts proper usage in various medi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ographically balanced fonts and for the suitable and effective use of the various font, we must try to build the fo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diversified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build Hangul font databas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ese studies, we can expect the development of good quality fonts and the better use of these fo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