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분석 모형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201 seconds

An Analysis of Emotion and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Color-combinations applied to Living room (거실공간의 배색기법에 따른 감성효과 분석)

  • 강선아;조현승;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4-6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1) 인테리어에 대한 감성어휘모형을 도출하고, (2)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한 후, (3)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으며, (4) 연구결과를 토대로 거실 인테리어 디자인을 위한 배색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테리어를 기술하는 감성어휘를 수집하고 이들로부터 대표적 감성어휘를 추출, 감성어휘척도를 구성하였다. 감성조사분석을 통해 '따뜻하다-차갑다'(제 1차원), '고급스럽다-소박하다(제 2차원)', '현대적이다-고전적이다'(제3차원)의 세 차원축이 도출되었고, 이렇게 도출된 감성공간 상에 감성어휘들을 대응시키고, 9개의 감성 범주로 구분함으로써 감성어휘모형을 개발하였다. 한편,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하여 배색자극물을 개발하고, 감성어휘모형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색 감성모형에서 도출된 9개의 감성범주와 그에 대응하는 배색을 기반으로 하여 거실용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미지에 따른 배색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streetscape using the Model of Emotion Evaluation (가로경관에 대한 감성평가모형 적용 분석 연구)

  • Lee, Jin-Sook;Kim, Ji-Hy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2
    • /
    • pp.149-156
    • /
    • 2013
  • In this study, the Model of Emotion Evaluation, an emotional analysis actively applied in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abbreviated model and the inferential model, through pilot study and experiment. In addi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experiment on the attributes of the evaluation vocabularies of two additional types of representative models, the EPA Model and PAD Model, and the results show a hug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approach and lexical constitution of the two models. It was also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that the vocabularies were abbreviat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models. Similarity relationships were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the results show that mutu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to some degree. Based on this, we can conclude that, rather than a biased use of the Model of Emotion Evaluation in emotion evaluation, a more objective image analysis is possibl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before applying it.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target was confined only t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streetscape a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Model of Emotion Evaluation that allows for the comparison of evaluation models in various areas is needed.

  • PDF

Sentiment Analysis and Star Rating Prediction Based on Big Data Analysis of Online Reviews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방한 관광객의 온라인 리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감성분석 및 평점 예측모형)

  • Hong, Taeho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3 no.1
    • /
    • pp.187-201
    • /
    • 2022
  • Online reviews written by touris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The star rating of online reviews is a simple quantitative evaluation of a product or service, bu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sincere attitude of tourists. There is also an issue; the star rating and review content are not matched. In this study, a star rating prediction model based on online review content was proposed to solve the discrepancy problem.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star ratings and sentiment by continent through sentiment analysis on tourist attractions and hotels written by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Korea.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TF-IDF vectorization and sentiment analysis results. Logit,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VM(Support Vector Machine) wer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were applied for the rating prediction model. The online review rating predic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solve inconsistency problems and also could be applied even if when there is no star rating.

퍼지논리를 이용한 마우스의 감성모형화 및 감성예측

  • 박문규;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2-7
    • /
    • 1996
  • 인간이 마우스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감성은 불확실하고 모호하여 정량화하고 모형화하는데 많은 어려 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퍼지로직을 이용하여 기존의 통계적 분석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좀 더 실제적인 감성예측을 위한 모형화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퍼지회구식을 이용하여 인간이 마 우스를 사용할 때의 감성을 모형화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모델에 대한 감성의 예측의 방법을 제 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볼마우스 9종,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퍼지회귀식에 의한 감성의 예측을 예측값의 중심뿐만이 아니라 개략적인 산포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예측이 가능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ext Analysis Using Meal Kit Product Review Data (밀키트 제품 리뷰 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분석 사례 연구)

  • Choi, Hyeseon;Yeon, Kyup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1-15
    • /
    • 2022
  • In this study,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ealkit product review data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the mealkit product.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scraping 334,498 reviews of mealkit products in Naver shopping site. After preprocessing the text data, wordclouds and sentiment analyses based on word frequency and normalized TF-IDF wer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the polarity of reviews on mealkit products.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derived for each product category, the main factors that cause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ext analysis can be a useful tool that provides a basis for maximizing positive factors for a specific category, menu, and material and removing negative risk factors when developing a mealkit product.

Affective Scale for Textile Image (직물 디자인 강성 이미지 스케일(image scale))

  • 박수진;장준익;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218-22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직물 디자인과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과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통합하여 직물 디자인 감성 이미지 스케일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차원으로 구성되었던 감성 어휘 모형을 수정하여 2차원-범주 모형으로 만들고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이용하여 개별 직물 표본에 대한 디자인 평가가 선행되었다. 두 체계를 토대로 33개의 직물 표본에 대해 76개의 감성 어휘를 사용한 감성 조사가 실시되었다. 직물관련 감성 평가시 개별 감성 어휘를 모두 비교, 판단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과제의 어려움을 줄이고자 범주 평가 후 범주 내 개별 어휘를 평가하는 방식을 취했다. 설문을 연령대가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실시되었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직물 표본을 2차원-범주 모형에 분포시키고 필수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해 확인하였다.

  • PDF

Reliability Analysis of Emotion Evaluation EPA.PAD Model in Each Design Field (디자인 분야별 EPA.PAD 감성평가모형의 신뢰도 분석)

  • Kim, Ji-Hye;Lee, Jin-Soo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7 no.1
    • /
    • pp.79-92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at minimizing the errors in using a sensitivity evaluation model that could occur when sensitivity analysis method is actively used for design evaluation. To extract words of a contrantion-type model by product, interior space, and streetscape design, primary word refinement was conducted with the words extracted from preceding stud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19 words were used in all three fields. A reliability analysis revealed that different words had a bad impact on the reliability in each field. The applicability was review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of EPA model as contraction-type and PAD model as inference-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reliability of the contrantion-type model was higher than that of inference-type model in all three fields, the differences in Cronbach's Alpha were small. Also, When the reliability was analyzed after deleting the words that had a bad impact on reliability, the differences in the reliability's coefficients were clear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words suitable for sensitivity evaluation target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can be boosted by using a proper model. Analysis of the sensitivity evaluation model suitable for future environmental evaluation should be analyzed with various statistical methods, beyo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 Model of Affectiveness on Textile Image (직물 디자인에 대한 감성 예측 모형)

  • 박수진;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77-80
    • /
    • 1999
  • 본 연구는 박수진, 장준익 및 정찬섭 (1998)에서 언급된 방식으로 조사된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측면에 대한 감성을 모형화하여 각각의 감성 발생에 기여하는 주요 디자인 요소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 감성별 주요 디자인 요소의 가산적인(additive) 결합과 디자인 요소들 전반의 승산적인(multiplicative) 결합에서 얻어진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Movement 동인(動因)과 감성변이 연구를 위한 애니메이션 분석모형

  • Lee, Sang-W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5
    • /
    • pp.485-489
    • /
    • 2001
  • 본 작품은 사실적 표현, 즉 실사에 근거한 분위기의 애니메이션에 관한 관점에서 시작한다. 물론 애니메이션에서는 생략과 과장이 자유로우며 풍자적이고 은유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사실성보다는 허구적이며 과장된 표현으로 왜곡을 가함으로써 관객들에게 극적 효과를 유발한다. 하지만 관객은 사실적이지 않은 허구인 것을 알면서도 자유로운 상상력의 오락적 분위기에 흥미를 갖는다. 아울러 본 작품은 애니메이션의 동인(動因)과 감성과의 관계를 전제로 한 애니메이션의 분석모형 작품이다. 이러한 모델 설계를 통해 대상물의 본질적인 면, 즉 사실성에 근거한 표현정도에 따라 인간의 감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프레임 수와 대상물의 단순화 정도에 따라 감성이 어떻게 반응하고 변화하는가를 웹사이트 상에서 조사할 수 있도록 분석모형을 제작하였다. 연구작품을 위해 애니메이션의 동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시간, 운동, 공간 중에서 움직임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타이밍, 즉 속도문제에 대해 프레임 수와 단순화 단계를 애니메이션의 Movement 동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에 독립변수로 보았다. 분석모형의 설계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대상물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Duration이 짧은 유형의 대상물(말)과 중간정도의 대상물(사람), 그리고 긴 유형의 대상물(거북이)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각 대상물마다 4단계의 프레임으로 나누어 좌표상의 Y축에 제작 배열하였다. 한편 단순화 단계는 대상물의 사실성에 선 드로잉에 이르기까지 4단계로 구분${\cdot}$제작하여 X축에 배열하여 각 클립별 감성언어 조사를 인터넷상에서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한편 각 클립에서 보여지는 표현향식에 대해 느끼는 감성조사는 디자인 관련 감성 형용사 중에서 본 연구에 적합한 감성언어들을 골라 조사 실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olarity of Apartment Price News Using Big Data Analysis Method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아파트 가격 관련 뉴스 기사의 극성 분석)

  • Cho, Sang-Yeon;Hong, Eun-Py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47-54
    • /
    • 2019
  • This study confirms the polarity of news articles on apartment prices using Opinion Mining which has widely been used for a big data analysis. The analyses were carried out utilizing internet news articles posted on the Naver for two years: 2012 and 2018. We proposed a sentiment analysis model and modeled a topic-oriented sentiment 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osed sentiment analysi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media companies in selecting social issues at the time of rising apartment prices. At the same time, we were able to find more affirmative articles in the media companies which share similar sentiment with the government in charg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entiment analysis model that can be used in real estate field and analyzed the polarity of unformatted data related to real estate.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sentiment dictionaries by themes, as well as to collect various unformatted data over extended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