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변수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Human Sensibility and Emotion in Sensibility Ergonomics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 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13-122
    • /
    • 1998
  • 인간의 감성은 감정과는 구분되는 심리적 현상으로, 감정이 강도가 높으며 생리적, 신체적 반응을 동반하는데 비하여, 감성은 강도가 낮으며 겉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가 없다. 감정은 외부의 감각자극에 대하여 두뇌에서 단계적인 정보처리의 결과로 나타나지만 감성은 반사적이고 직관적으로 발생된다. 감정은 하나의 대상에 대하여 여러사람이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공통성과 객관성을 갖지만, 감성은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도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시간과 환경에 따하서도 변화한다. 감정은 일반성, 객관성, 반복성과 같은 학문적 연구대상으로서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나, 감성은 그 특성이 학문이나 연구의 대상이 되기 위한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연구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감성이 감정에 비하여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감정의 종류가 외부자극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반면 감성의 발생은 개인의 재부상태, 즉 생활경험에 의한 기억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감성의 개인성, 변화성, 불확실성, 애매모호성등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문이 갖는 폐쇄성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변수를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학문과 연구대상에 대한 조건의 확대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감성은 해당 시점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심리상태와 함깨 연령, 성별, 교육정도, 건강상태와 같은 개인요소뿐만 아니라 개인의 의식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사회특성, 나아가 전통과 관습, 종교, 환경등와 같은 문화적 특성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그리고 이들 요소들을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많은 요인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감성은 감성의 영향을 받는 생활환경과 결합되고,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 기억은 두뇌의 Limbic system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hypothalamus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감성의 측정평가를 위해서는 생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파악과 함께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Effect of Visual Factor on Subjective Evaluation of Frictional Fabric Sounds (직물 마찰음의 주관적 평가에 시각적 변수가 미치는 영향)

  • Han, A-Reum;Yang, Yun-Jeong;Jo,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2-65
    • /
    • 2009
  • 본 연구는 동작 속도별 마찰음의 주관적 평가에 있어서 시각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79 종의 스포츠웨어용 투습발수직물 중 음향 특성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에 의해 나누어진 3 개의 군집에서 각각 하나씩 추출한 총 3가지 시료를 대상으로 walking, jogging, running의 속도로 마찰시켜 총 9가지의 소리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직물 소리에 대한 주관적 평가 시 시각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직물 소리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는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실험 진행자가 피험자에게 직물소리를 들려주면서 설문을 하게 하였다. 두 번째는 녹음된 직물의 소리와 함께 모니터를 통해 해당 자극물의 마찰 속도에 따라 인체 모델이 움직이는 동작을 보여줌으로써 청각과 시각 자극을 동시에 제시하여 주관적 평가의 자극물로 사용하였다. 주관적 평가는 8개의 형용사 쌍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고, 두 가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 옷을 착용하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직물 소리와 유사하게 들린다.' 와 '옷을 착용하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리라고 느껴진다.' 두 문항을 추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각 자극의 유무에 의한 감성평가 결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피험자가 소리만으로 직물이 마찰되는 장면을 의식적으로 상상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었고, 주관적 평가 몰입도를 향상시켰다고 사료된다.

  • PDF

An emotional study on the pattern of men's trunk pants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연구)

  • Gwon, Yeong-A;Gong, Ji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1-234
    • /
    • 2009
  • 남성 속옷은 신체 보호의 기능이 중요하지만 운동이나 거실 생활에서 속옷노출이 일반화됨에 따라 개성과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남성 속옷 시장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과 이미지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감성요구에 부합하는 소재 특성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져 소비자가 원하는 속옷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용 속옷 문양디자인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판하는 트렁크 팬티 중 문양의 형태 및 크기, 색상을 달리한 50 종을 수집하였고, 이중 25 종의 트렁크 팬티용 문양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감성평가를 2009년 4 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 대 남녀 22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관적 감성평가를 위해 직물 문양 선호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빈번하게 출현되는 26 개의 감성 형용어를 추출하였다. 감성 형용어를 7 점 척도로 문항화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설문지와 함께 25 종의 팬티 자극물을 보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요인분석 분간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성용 트렁크 팬티의 문양에 관한 감성 형용에는 '고급성', '활동성', '단순성', '호화성', '성숙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으며, 문양의 고급 감성 및 활동적 스타일이 트렁크 팬티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렁크 팬티의 색상 및 문양 유형이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남성 트렁크 팬티에 사용될 수 있는 무채색 계열의 고급스러우면서 단순한 도형 문양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Terms Based Sentiment Classification for Online Review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의 용어기반 감성분류모형)

  • Lee, Taewon;Hong, Taeh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7 no.1
    • /
    • pp.49-64
    • /
    • 2015
  • Customer reviews which include subjective opinions for the product or service in online store have been generated rapidly and their influence on customers has become immense due to the widespread usage of SNS. In addition, a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opinion mining to analyze the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and get a better solution for customer support and sale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key terms which reflected the customers' sentiment on the reviews for opinion mining. We proposed a document-level terms-based sentiment classification model by select in the optimal terms with part of speech tag. SVMs (Support vector machines) are utilized to build a predictor for opinion mining and we used the combination of POS tag and four terms extraction methods for the feature selection of SVM. To validate the proposed opinion mining model, we applied it to the customer reviews on Amazon. We eliminated the unmeaning terms known as the stopwords and extracted the useful terms by using part of speech tagging approach after crawling 80,000 reviews. The extracted terms gained from document frequency, TF-IDF, information gain, chi-squared statistic were ranked and 20 ranked terms were used to the feature of SVM model.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SVM model with four POS tags is superior to the benchmarked model, which are built by extracting only adjective terms. In addition, the SVM model based on Chi-squared statistic for opinion mining shows the most superior performance among SVM models with 4 different kinds of terms extraction method. Our proposed opinion mining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customer service and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online store.

Comparison of the Explanation on Visual Texture of Cotton Textiles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ANFIS - on Warmness (회귀분석과 ANFIS를 활용한 면직물의 시각적 질감에 대한 해석 비교 - 온난감을 중심으로)

  • 주정아;유효선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3
    • /
    • pp.15-25
    • /
    • 2004
  •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daptive -Network based Fuzzy-inference system (ANFIS) were applied to the explanation on human's visual texture of cotton fabrics with 7 mechanical properties. The ANFIS uses the structure with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neural network. The results obtain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texture had a linear relationship with mechanical properties. But It had a relatively low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was difficult that the statistical analysis explained other relationship with the exception of a lineality and interaction among mechanical properties. Compar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FIS was an effective tool to explain human's non-linear perceptions and their interactions. But to apply ANFIS to human's perceptions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effective input variables through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samples.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Consultant and Consulting Service Quality (컨설턴트의 감성지능이 컨설팅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Doo-Yul;Lee, Sun-Kyu;Kang, Eun-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41-50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Consultant and Consulting Service Quality.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questionaries of 260 were inspected to the PM have received consulting experience at the compan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0 for Windows. This study us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of Consultant presented a meaningful result(+) with Consulting Service Quality. but self emotional appraisal didn't present a meaningful result with Consulting Service Qu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onsultant didn't present a meaningful result with tangible.

Sentiment Analysis for Public Opinion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기반 여론 감성 분석)

  • HA, Sang Hyun;ROH, Tae Hyup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111-120
    • /
    • 2020
  • As an application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this study proposes an atypical language-based sentimental opinion poll methodology, unlike conventional opinion poll methodology.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sentimental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existing statistical analysis was to collect real-time Twitter data related to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erform empirical analyses on the Polarity and Intensity of public opinion using attribute-based sensitivity analysis. In order to classify the polarity of words used on individual SNS, the polarity of the new Twitter data was estimated using the learned Lasso and Ridge regression models while extracting independent variables that greatly affect the polarity variables.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friends on SNS suggested a way to identify peer group sensitivity. Based on what voters expressed on social media, political opinion sensitivity analysis was used to predict party approval rating and measur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ve model polarity analysis,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the sensitivity analysis methodology in the political field.

A Study on Visual and Auditory Emotion under Color and Music Stimuli (색과 음악 자극에 의한 시청각 감성지표에 관한 연구)

  • 김남균;김지훈;유충기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9 no.5
    • /
    • pp.539-54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human emotion quantitatively under colors and music stimuli and to examine the for correlation between color and music sensibility. Physiological signals(electroencephalogram, electrocardiogram, Galvanic skin conductivity and respiration rate) were measured to compare color with music sensibilities. The personality of the subject were investigated using factor analysis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of 20 items(7 interval scaled). The results showed that red, yellow and violets color provoked active and exciting senses mainly as dance, rock and blues music. While blue, cyan and pink colors ware involved in tranquil and resting emotions deeply as classic and ballade music.

  • PDF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 Oh, Jin-Wook;Park, Jong-Hyun;Jo, Jang-Hyeon;Lee, Cheol;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Emotion Evaluation using Autonomic Response (자율신경계 반응에 의한 감성 평가 연구)

  • 황민철;장근영;김세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3
    • /
    • pp.51-56
    • /
    • 2004
  • Arousal level has been well defined by autonomic responses. However, entire emotion including both valence and arousal level is often questioned to be completely described by only autonomic responses. This study is to find the autonomic physiological parameters which were used emotion evaluation, 1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watch eight video clips from diverse movies and comedy shows for experiencing emotions. The subjectively experienced emotion were grouped by three factors. Two dimensional emotion model having the pleasant-unpleasant and arousal-non arousal factors were mapped with three physiological responses(GSR, PPG, SKT).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PPG and GSR may be used as arousal index while SKT may pleasant index. And the complex rel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to emotional experiences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