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마케팅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Case Study of Emotional Marketing by visual design (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의 실증적 성공사례 연구 - 마블 프라이팬 사례 조사를 통한 -)

  • Kang, Bum-Kyu;Ye, Mi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74-76
    • /
    • 2007
  • 기업 디자인과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중의 하나는 인간의 감성이 기업의 중요한 마케팅의 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을 전략적인 도구로 사용한 감성 마케팅 사례를 연구,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론적인 고찰 보다는 실증적인 사례로써 감성 디자인을 통한 감성 마케팅을 적용한 마블 코팅 프라이팬 제품 매출과 시장 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선행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한 감성 디자인과 감성마케팅의 정의를 알아보았다. 둘째, 경험적 조사(Empirical research method)에 의한 연구 가설과 연구문제들을 설정하고, 셋째, 기업의 실증적 자료, 기업의 임원 및 매니저들과의 인터뷰(Interview)와 제품 사용자의 설문조사(Questionnaire)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인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연구문제들'의 결론을 돌출하는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감성디자인을 통한 전략적 감성 마케팅의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그 가치를 재평가하여, 앞으로 감성 디자인과 감성 마케팅의 전략적 차원에 도입하려는 기업인이나 연구자에게 도움을 주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 PDF

The Myths and Realities of Experiential Marketing (체험마케팅의 허와 실)

  • Chang, Dae Ry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8 no.2
    • /
    • pp.93-99
    • /
    • 2006
  • 최근 국내외로 각광을 많이 받은 마케팅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체험마케팅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체험마케팅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었기에 체험마케팅의 여러 개념과 적용사례가 부각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체험마케팅에 관련된 주요 오해가 무엇이고 그 실상이 또한 무엇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체험마케팅의 첫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이 획기적인 개념이라는 것인데 사실 체험마케팅의 근원이 되는 소비자 반응의 계층, 감성 마케팅, 그리고 통합마케팅 등은 다른 선행 이론에서 잘 정립되었다. 하지만 체험마케팅의 공헌은 이처럼 분할된 여러 개념을 한 틀 속에 응용할 수 있게끔 체계화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의 뜻이 감각마케팅과 통용된다는 것이다. 체험마케팅의 유수 사례 중에는 오감마케팅만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데 성공적인 체험마케팅을 꾀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전체적인 체험의 향상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이 감성마케팅만을 강조하고 이성적 마케팅을 간과한다는 생각이다. 체험마케팅은 실제로 소비자의 상황분석에 근거하여 이성과 감성적 마케팅을 둘 다 포괄하는 접근방식이다. 넷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의 개념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실무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체험마케팅의 실무적인 프로세스를 충실히 따르면 여러 가지의 마케팅 및 조직상의 긍정효과가 나타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 Activation of management of the start-up Small Business (창업 소상공인들의 경영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 Jung, Doo-Si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1
    • /
    • pp.105-115
    • /
    • 201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emotional marketing on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coffee shop and investigates how SNS usage play moderating effect roles between motional marketing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especially, taste factor and visual facto).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motional marketing on brand awareness, th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were the taste factor, tactile factor, visual factor and auditory facto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brand awar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age between emotional marketing and purchasing intention is to be positive(+) influence in the all detail factors. Therefore, In the start-up stages, it may be helpful to actively use emotional marketing and SNS usage for business activation.

The Case Study of Emotional Marketing by Visual Design (감성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의 실증적 사례 연구 - 마블 프라이팬 사례 조사를 통한 -)

  • Kang, Bum-Kyu;Go, Jung-Wook;Ye, Min-Ju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355-366
    • /
    • 2007
  • The human's emotion has been used as a key factor in the design area and a marketing technique in a company. Therefore, a company is very interesting in human' emotional factor for the marketing and the design development recently.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arried out on enhancing how to use the emotional design and the emotional marketing in the kitchenware industry. Besides, almost all of the research works, which attempted to encourage how to use emotional factor for the design and the marketing, was carried out in the theory research level rather than a practical research.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oth a qualitative research and a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The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studied what is the emotional design and the emotional marketing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works. second, the researchers set up the hypothesis and research aims through the previous empirical research works from the researchers who are doing this research. Third, as the main body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companies' data, the data come from the interviews by managers, and the data from questionnaire by the users. The results was produced after analyses of the above all the data. As a results, this research has introduced the successful case study which used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and the emotional marketing as a strategic level in the kitchenware industry. This research results would be able to help some one who wants to use the emotional design as a strategic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ir market share.

  • PDF

Defining Essence and Research Scope of Design Marketing (디자인마케팅의 본질과 연구영역에 관한 연구)

  • Lee, Jin-Ry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9 no.spc3
    • /
    • pp.197-208
    • /
    • 2006
  • Modern corporations are changing their strategies from 4P-based marketing strategies which have been used for logic-based consumers in the past to perception-based marketing strategies which will be performed for current emotion-based consumer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marketing, which means the integrated strategies approaching consumers by combining logic-based marketing strategies and emotion-based design strategies, has been increased. However, existing researches have not tried to suggest the essence and research scope of design marketing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each research sectors but only tried to apply some marketing tools in design process. Regarding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sence of design marketing has to be defined first then various and systematic academic reviews have been performed on each research sectors of it before design marketing tools are applied in design practic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3 research categories of design marketing based on traditional marketing. They are first, understanding consumer's decision making precess for design and next, introducing and applying various research tools ant last, applying various strategic tools for strategy-making based on situation understand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3 research categories mentioned above.

  • PDF

Experiential Marketing Exploratory Study for Application of the Festival (체험마케팅의 축제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Lee, i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9-400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체험마케팅을 중심으로 이론적 내용을 살펴봄과 동시에 지역축제 적용을 위해 요인분석을 통한 축제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체험마케팅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중 감각마케팅, 감성마케팅, 인지마케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 감성에 기초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의 제시

  • Lee, Ju-Hyeon;Jang, Jin-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83-2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1)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2)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디자인 기획의 지침을 제시하며 3) 디자인기획의 지침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미겐타로의 디자인평가인자 이론을 개념적 모형으로 하여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이미지를 20개의 디자인 세부요소로 분해하여 디자인 특징을 기술하는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경기용 여자 수영복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의 주요 하위 차원으로는 참신함, 발랄함, 심플함, 강함 차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 세부 요소들 중 로고와 색체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선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보다 감성에 더욱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스포츠 마케팅에서 로고를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온 것은 타당함을 의미하였으며,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에서는 로고 뿐 아니라 색채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낸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스포츠마케팅 및 디자인 마케팅 분야에서 경기용 수영복 디자인 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소비자 평가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edical Service Countermeasures Following Aging in Japan (일본의 고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 대책)

  • CHOI, SUNG BAI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2
    • /
    • pp.79-88
    • /
    • 2016
  • Modern society is living in material affluenc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Meanwhile, consumer needs, in conformity with product diversification, are also being diversified. Modern consumers, unlike those of the past, are trending towards individual consumption that satisfies emotion and values instead of simple goal-oriented consumption. A model case is that of Starbucks. Starbucks has grown into the global coffee franchise it is today through emotional marketing that sells an atmosphere that is unique to Starbucks, consisting of store decorations, store music, employee service, and charming coffee aromas that are identical in every store anywhere in the world. Because this method is marketing that stimulates human emotion, it is assigned to and appeals to human senses and sensitivity. In other words, the charm of emotion marketing is that it draws out consumer emotion, produces positive reactions towards products, and leads to consumption. The utilization of emotions for products or service differentiates brand image and is becoming a key method in reinforcing brand royalty. In particular, more importance is being placed on customer service to strongly impress consumers. Intangible service is becoming the best way to impress customers.

A Study on the Case Study of Space Marketing for improving the Corporate Image (기업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간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 Kim, Sin-Hyeong;An, Se-Yun;Lee, H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30-33
    • /
    • 2008
  • 현대 소비사회에서는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활용하는 문화 마케팅을 통하여 기업은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새로운 문화 경영의 패러다임에 따라 기업은 소비자에게 문화 공간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예술 체험이 가능한 갤러리 공간은 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간 마케팅의 주요한 대상으로서 기업과 예술인, 소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예술의 사회적 공헌 및 발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