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귤 생산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중소기업현장을 가다_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감귤제1가공공장 - 제주도민의 가치 창출, 안전으로부터 시작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43
    • /
    • pp.20-21
    • /
    • 2009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에서는 제주의 청정자원 가치를 창출하여 도민을 위한 사업이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중 우리나라 시장점유율과 선호도, 만족도에서 최고 1위 자리를 차지하며 2009년 가치 브랜드로 선정된 먹는 샘물 "제주삼다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제주도 총 생산의 18%를 차지하는 감귤에 있어서도 감귤농가 소득향상에 기여하는 사업이 있다. 상품가치가 없는 감귤 때문에 손실을 볼 수 있는 감귤농가에 감귤을 전량 사들여 새로운 제주도 특산품으로 가공하는 사업, 바로 음료사업이다. 그 선두에 제주도민의 행복한 삶을 제공하고 있는 감귤제1가공공장이 있다. 감귤제1가공공장에는 농축액공정과 주스공정이 있다. 1일 400톤의 가공된 농축액과 주스가 생산되는 제1공장은 5개의 공장동과 관리동에서 감귤, 녹차 가공공정이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되어야 제주 도민을 위한 일도 할 수 있는 것이고, 수익 또한 창출 된다는 것이 이곳 사람들의 생각이다. 안전을 위해서는 나부터 시작하여 나와 동료의 안전을 지킨다는 감귤제1가공공장을 둘러본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var. okitsu) According to Harvest Areas and Altitude in Cheju (생산지역과 고도별 흥진조생 온주밀감의 품질특성)

  • Jwa, Chang-Sook;Kim, Yong-Whee;Koh, Jeong-Sam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2 no.2
    • /
    • pp.147-151
    • /
    • 1999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var. okitsu) harvested in early December according to production areas and sea level altitude of Cheju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s and flesh ratio were $9.06{\sim}12.98,\;77.32{\sim}81.27%$ on citrus fruits harvested in orchards located below 100 m sea level (lower area), and were $10.16{\sim}12.26,\;75.00{\sim}81.55%$ in orchards 150 m sea level altitude (higher area), respectively. Acid content of citrus juice was $0.83{\sim}1.21%$ in fruits harvested in lower area, and was $0.94{\sim}1.34%$ in higher area except Hankyung-myun area. The differences of soluble solids and acid contents by harvesting periods for 10 days were 0.91 and 0.82 for soluble solids; 0.15 and 0.13% for acid contents, respectively. In proportion to late harvesting, Brix/acid ratio and fruit quality were improving. Soluble solids of fruits harvested from lower area were higher than those of fruits from higher area, but acid contents were lower in fruits from lower area than in fruits from higher area. In sensory evaluation on fruit appearenc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altitudes were not clear, but panelists marked higher points on fruits harvested in main production areas, Seogwipo-si and Namwon-eup which are southern areas. Fruit quality harvested in Seogwipo-si areas showed better quality than fruits from other harvested areas.

  • PDF

제주산 온주밀감의 특성과 관능평가

  • 고정삼;고정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1994.07a
    • /
    • pp.13-14
    • /
    • 1994
  •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품종인 궁천조생과 흥진조생에 대한 품질에 관여하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고 과일의 크기, 색깔, 생산지역에 따른 감귤의 맛등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확적기에 수확한 조생온주으 가용성고형물은 10.7, 11.0 였으며 산함량은 1.04%, 비타민 C함량은 41.19-44.94mg/100g였다. 당은 절반이 자당하이였고,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1/4씩 함유하고 있었다. 과일 크기에 따라 과중, 껍질두께, 가용성고용물, pH, 산함량, 산비는 각각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경도와 과육율과의 유의성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중간정도의 크기의 감귤을 선호하며. 껍질의 색깔은 진한 홍등색일수록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품종이라고 할지라도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감귤일수록 선호도가 높아 직선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과즙의 경우 당산비가 높을수록 성호하여 고품질 감귤생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졌다.로 여겨졌다.

  • PDF

Vitalizing strategies and analyzing the conditions of Jeju citrus export-specialized organization (제주 감귤수출단지의 여건분석과 활성화방안)

  • Kang, S.K.;Lee, Y.C.;Jung, H.W.;Yang, J.H.;Kim, J.S.;Han, S.G.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13 no.1
    • /
    • pp.47-6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vitalizing Jeju citrus export-specialized organization.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and standardization for fruit production practices that can keep a steady supply of high quality citrus fruit for export market, and followed by systematization of farms using the practi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t is desirable that the high quality fruit production manual such as the Global GAP must be established, developed and prepared to train farm households.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quality fruit production manual is focused on the items as follows : 1) labor productivity enhancement by structural improvement of farm layout, 2) the practices for high-sugar-fruit production such as thinning out,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and mulching with a poromeric sheet 3)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quality improvement of fruit by cultivar improvement and virus-free nursery trees, 4) standardization of cultural practices throughout the citrus fruit production.

효과적인 과일저장 대책 (사과-배-감귤)

  • 김성달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4 no.10
    • /
    • pp.67-74
    • /
    • 1983
  • 금년은 근래에 보기 드문 각종 농작물의 대풍의 해이다. 과실류의 작황 역시 풍작을 알리고 있다. 거기에다 농가소득증대 사업으로 특용작물의 재배가 권장됨에 따라 과실류생산은 해마다 증가되어 왔으나 가공처리는 이를 뒤따르지 못해 생산물의 대부분이 생식용으로 소비되어온 실정이다. 풍작으로 다량생산된 과실류의 안전 저장과 적기출하를 위한 각종 저장법을 사과$\cdot$$\cdot$감귤류를 중심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 PDF

Pilot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에 의한 Bacterial Cellulose의 Pilot 생산)

  • Jeong, Ji-Suk;Kim, Jong-Sun;Choi, K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6 no.10
    • /
    • pp.1341-1350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ultimately develop a highly efficient mass production technology of bacterial cellulose isolated from the citrus gel fermented by G. hansenii TL-2C. Pilot equipment made with FRP vessel length (665 mm) ${\times}$ width (375 mm) ${\times}$ height (210 mm) was developed for mass production of the citrus gel. To develop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citrus gel, comprised of citrus juice (6,000 mL) diluted 100 times, containing 5% seed bacteria, 10% sucrose, and 1% ethanol, citrus juice was fermented at $30^{\circ}C$ for 14 days, and gel productivity in pilot system was examined. BC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citrus gel,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Separation of Limonen from Waste Citrus Peels by Venturi Vacuum Drying and Production of Bioethanol (벤튜리 진공건조에 의한 폐 감귤박으로부터 리모넨 분리 및 바이오 에탄올 생산)

  • Seung-Geon Kim;Ho-Won Lee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5 no.1
    • /
    • pp.42-47
    • /
    • 2024
  • Limonene was separated from waste citrus peels by a vacuum drying process with a venturi, and bioethanol was produced from dried citrus peels. Vacuum drying using venturi was very effective in removing moisture and limonene compared to hot air drying and natural drying. Citrus peels prepared by venturi vacuum drying were the most suitable for ethanol fermentation. The moisture and limonene content of the citrus peels dried for 15 hours were 17.0% and 3.2%, respectively. By venturi vacuum drying, essential oil containing limonene and floral water were obtained, respectively. The amount of essential oil separated by venturi vacuum drying was 4.21 mL essential oil/kg citrus peel, 79.9% of the separated essential oil was limonene.

감귤과피 유색미의 취반 특성

  • 서성수;노홍균;윤광섭;김순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7-157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감귤은 지리적 기후 조건으로 내한성이 강한 만다린계 온주밀감이 주종을 이루나 최근 과잉생산으로 인한 가격하락과 수입자유화에 따른 대처의 일환으로 경쟁력이 높은 품종을 장려 보급하고 있다. 감귤의 국내 연간 생산량은 56만 톤으로 과일 전체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과실의 약 20%가 과피로서 그 일부가 한약재로 쓰이나 대부분이 버려지고 있다. 감귤의 과피에는 carotenoids, bioflavonoids, pectin 및 terpenes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천연에서 발견되고 있는 약 300여종의 carotenoids계 색소 중 115종이 감귤에 존재한다. 감귤 과피의 주요 carotenoids로는 비타민 A의 역할을 하는 $\beta$-carotene과 cryptoxanthin을 비롯한 $\beta$-citraurin이며 천연 착색제로 활용되고 있다. 또, 주요 bioflavonoids로는 모세혈관의 수축을 촉진시켜 고혈압 예방과 이로 인한 각종 질환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진 hesperidin과 혈액내 LDL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는 작용이 알려진 naringin이 있다. 그 외의 감귤 flavonoids도 항산화작용, antimutagen 활성, 항암, 항알레르기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알려져 있다. 밀감 과피의 bioflavonoids는 약 60여종이 분리되어 그 구조가 밝혀져 있으나 90% 이상이 hesperidin이다. 또 과피유에는 $\delta$-limon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성 향미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향미 개선제로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쌀 위주의 식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와 쌀 소비량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반면 기능성을 가미한 쌀의 소비가 늘고 있음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생산되고 있는 감귤 과피의 물 균질액을 쌀에 코팅하여 아름다운 색상과 기능성을 지닌 유색미를 제조함과 동시에 그 취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색미의 색상은 진노랑(L*; 63.6, a*; -7.87, b*; 46.35)으로 취반 후에도 유사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Total carotenoids는 감귤과피에서는 10.74mg%, 과피의 물 균질액에는 0.46mg%이었으며 유색미에는 0.l2mg%, 유색미 취반에는 0.05mg%를 나타내었다. Hesperidin은 과피, 물 균질액, 유색미 및 유색미 취반에서 각각 2173.l2mg%, 108.65mg%, 21.73mg% 및 8.67mg%이었으며, naringin은 각각 1468.40mg%, 73.38mg%, 14.62mg% 및 5.87mg%를 나타내었다. 감귤과피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4.22mg%로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이 24.88mg%, alanine이 19.64mg%, ${\gamma}$ -aminoisobutylic acid가 15.37mg%로 이들 4종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아미노산함량의 70%를 나타내었다. 유색미 취반에는 백미 취반에 비하여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15%정도 증가되었으며, 그 중에서 glutamic acid는 2.5 배가 증가되었다. 감귤과피의 주요 무기질은 K(652.60mg%)와 Ca(222.50mg%)로 전체 무기질 함량의 86%를 차지하였으며 유색미 취반은 백미 취반에 비하여 K는 2.3배, Mn는 76%, Ca, P, Mg은 16~26%, Fe는 13%가 각각 증가되었다. 취반의 경도, 점착성 및 깨짐성은 유색미 취반과 백미 취반간에 차이가 없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 구수한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으며 단맛, 쓴맛은 백미 취반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An Economic Review on the Short-run Storability of Field Citrus in Jeju (노지감귤 단기 저장가능성에 대한 경제적 효과 검토)

  • Ahn, Kyeong Ah;Moon, Tae Wan;Kim, Bae 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8
    • /
    • pp.392-402
    • /
    • 2018
  • Citrus fruits can be classified as field citrus, greenhouse citrus, citrus produced by rain proof cultivation and late-harvested citrus such as Hallabong, Chunhaehyang, and Jinjihyang according to cultivation method or variety in Jeju province of Korea. The consumption of late-harvested citru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1990 because the sugar content of the fruits is ordinary higher than field citrus. The cultivation land of citrus produced by rain proof cultivation has been also enlarged continuously aided by Korean government support program and quality increasing effect of this cultivation method. However, the cultivation land of field citrus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0. In spite of such a decrease of cultivation land, recently the price of field citrus rather declin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yield per 10a. For the estimation and forecast of the long-term supply-demand model in the field citrus, we constructed a partial balance model for the individual field citrus and estimated individual equation in each item's model by using the econometric method. As a result of the production storage scenario analysis, the cultivation area is expected to store 5%(14.49ha), 10%(14.97ha). 15%(15.50ha) of citrus production in 2027. This study reviews the structure of storage, and storability in Jeju field citrus and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