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치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근해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알과 자어, 성숙어의 분포에 의한 산란해역 비교

  • 김진영;연인자;홍병규;박영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2-303
    • /
    • 2003
  • 갈치는 한국 동해남부, 남해, 서해 및 동중국해를 비롯하여 남중국해의 아열대해역까지의 광범위한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중 한국 연근해 어선에 의해 주로 이용되는 갈치자원은 황해 및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군이다. 갈치는 한국 연근해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는 안강망류어업에 의해 70∼80%가 어획되었으나, 최근에는 저인망류어업 및 연승어업에 의해 각 50%, 20%가 어획되고 있다. (중략)

  • PDF

RAPD-PCR 분석에 의해 결정된 갈치 (Trichiurus lepturus) 2 집단의 유전적 차이와 변이 (Genetic Differences and Variation in Two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Populations Determined by RAPD-PCR Analysis)

  • 박창이;윤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3-186
    • /
    • 2005
  • 한국과 대서양산 갈치 (Trichiurus lepturus) 2지리적 집단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 추출하였다. 선택된 8개의 RAPD primer를 이용하여 common, polymorphic 그리고 specific fragment를 얻어냈다. 2지역으로부터 primer간 banding patterns 의 복잡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DNA fragment 의 분자적 크기는 150 bp에서부터 3,000 bp까지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갈치 집단에서는 947개의 fragment가 나타났고, 대서양산 갈치 집단에서는 642개의 fragment 가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산 집단에서는 148개의 specific fragment (15.6%) 가 확인되었으며, 대서양산 갈치집단에서는 61개의 specific fragment (9.5%)가 발생되었다. 한국산 갈치집단에서는 638개의 common fragment가 나타났으며, 이는 primer 당 평균적으로 79.8개의 fragment 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서양산 갈치집단에서는 429개의 common fragment 가 확인되었고, 평균해서 primer 당 53.6개의 common fragment 가 나타났다. 한국산 갈치집단과 대서양산 갈치집단의 polymorphic fragment는 각각 76개와 27개로 확인되었다. 모든 갈치시료의 평균적인 bandsharing value를 기초로 해서 한국산 갈치집단의 similarity matrix를 조사해 본 결과 0.784 로부터 0.922까지 나타났고, 대서양산 갈치집단의 값은 0.833로부터 0.990까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대서양산 갈치집단내 개체의 bandsharing value 평균값은 한국산 갈치집단의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8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얻어진 dendrogram은 cluster 1 (KOREAN 01~KOREAN 11) 및cluster 2 (ATLANTIC 12~ATLANTIC 22)와 같이 2개의 유전적 클러스터로 나뉘어졌다. 한국산 갈치집단내의 10번째 개체(KOREAN no. 10)와 11번째 개체(KOREAN no. 11) 사이가 가장 가까운 유전적 관계(genetic distance = 0.038)를 나타내었다. 궁극적으로 볼 때 한국산 갈치집단의 1번째(KOREAN no. 01)와 대서양산 갈치집단의 16번째(ATLANTIC no. 16) 개체 사이가 가장 먼 유전적 거리(genetic distance = 0.708)를 나타내었다.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 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1-197
    • /
    • 1999
  • 갈치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가덕도 동쪽 낙동포 해역에서 채집된 갈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갈치의 주요 먹이생물은 어류 (Pisces),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 새우류 (Caridea) 및 요각류 (Copepoda) 등의 갑각류, 그리고 모악류 (Chaetognatha)로 나타났다. 그 외에 두족류 (Cephalopoda) 등이 소량 섭이되었다. 갈치는 성장하면서 먹이조성이 달라졌는데, 크게 3단계의 섭식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전장 30cm 이하의 소형 크기 군은 플랑크톤 섭식기 (planktivorous stage)로 주로 요각류를 먹었다. 30~50 cm의 크기군은 혼합 섭식기 (mixed feeding stage)로 난바다곤쟁이류, 곤쟁이류 (Mysidacea), 새우류, 화살벌레류, 어류 둥 다양한 생물을 골고루 먹었다. 50 mm 이상의 크기군은 어류 섭식기 (piscivorous stage)로 어류를 주로 잡아 먹었다. 특히 멸치가 대형 갈치의 위내용물 중 많이 발견되었다.

  • PDF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갈치꼬치과(Gempylidae) 어류 1 미기록종, Gempylus serpens (New Record of the Snake Mackerel, Gempylus serpens (Perciformes: Gempy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명세훈;유정화;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8-181
    • /
    • 2013
  • 농어목 갈치꼬치과에 속하는 Gempylus serpens 1개체가 2013년 4월 18일 제주도 동부지역에서 채집되었다. 본종은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되어 있고 위턱에는 3개의 송곳니가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에는 각각 5개 및 7개의 토막지느러미를 가지며, 측선은 첫번째 등지느러미 제1극조에서 2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본종의 새로운 속명 및 종명으로 "세장갈치꼬치속" 및 "세장갈치꼬치"를 제안한다.

한국산 갈치과 어류 1 미기록종, Benthodesmus tenuis (First Record of the Cutlass Fishes, Benthodesmus tenuis (Perciformes: Trichiuridae) from Korea)

  • 김맹진;최정화;오택윤;김정윤;이동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2012
  • 갈치과에 속하는 Benthodesmus tenuis 2개체(표준 체장 332.0~377.6 mm)가 흑산도와 여수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125~126개(B. pacificus는 144~155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I, 73 (B. pacificus는 91~101개), 양안 지역에 평평하며 (붕동갈치는 볼록함), 아가미 뚜껑에 검은 반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는 양엽형이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세장갈치속", "세장갈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한국산 농어목(Perciformes) 홍갈치과(Cepolidae) 어류 1 미기록종, Acanthocepola indica (First Record of a Bandfish, Acanthocepola indica (Cepo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박정호;유정화;이준모;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0-223
    • /
    • 2008
  • 농어목 홍갈치과에 속하는 Acanthocepola indica 1개체(체장 220.4 mm)가 경남 거제도 남부 매물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본종은 전새개골 후단에 거치 모양의 가시가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에 1개의 검은 반점을 가진다. 또한, 체고가 다소 높고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88개, 뒷지느러미 연조수가 101개인 점에서 이미 알려진 먹점홍갈치(A. limbata)와 점줄홍갈치(A. krusensternii)와 잘 구분된다. 본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으로서, 신한국명을 "남방홍갈치"로 제안한다.

갈치 채낚기의 연속식 자동 어구 어법 개발 1. 연속식 자동 어구의 모형실험

  • 박용석;이창헌;김고환;김석종;서두옥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0-51
    • /
    • 2000
  • 갈치는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난류성 어류로 비교적 깊은 곳에서 서식하나 연안의 얕은 곳에 와서 산란하고,$^3$ 연직이동이 매우 심하여 해가 들기전에 저층으로 가라앉기 시작하고 밤에는 중층으로 떠올라서 분산한다. 제주도 연근해에서는 소형선박으로 수동식 채낚기 어구와 선상 집어등으로 갈치를 유집하여 어획하고 있다. (중략)

  • PDF

제주도 연안 갈치 채밖기의 연속식 자동어구 어법 개발 3. 연속식 채낚기 어구의 해상실험

  • 서익조;오승훈;이창헌;박용석;김석종;서두옥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3-54
    • /
    • 2001
  • 제주도 연근해에서는 소형선박으로 수동식 채낚기 어구와 선상 집어등으로 갈치를 유집하여 어획하고 있다. 총톤수 10톤의 갈치 채낚기 어선에는 6명의 선원, 수입산 냉동미끼, 대출력의 선상 집어등 등 조업경비의 지출이 심하여 조업선원의 감소를 할 수 있는 연속식 채낚기 어구 개발, 대출력 선상 집어등을 소출력의 수면 집어등, 어육미끼를 인공미끼로 대체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제주도 연안 갈치 채낚기의 연속식 자동어구 어법 개발 4. 자동식 채낚기 어구의 해상실험

  • 박용석;서익조;오승훈;이창헌;정용진;서두옥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5-56
    • /
    • 2001
  • 제주도 근해는 대마난류, 황해 난류, 황해 냉수, 한국 남ㆍ서해 연안수, 중국대륙 연안수 등이 출현하여 이질 수괴들이 시기와 계절별로 복잡한 해황을 형성하여 갈치, 고등어, 오징어, 삼치 등을 어획하는 좋은 어장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 연근해에서는 소형선박으로 수동식 채낚기 어구와 선상 집어등으로 갈치를 유집하여 어획하고 있으나, 많은 선원, 수입산 냉동미끼, 대출력의 선상 집어등 등 조업경비의 지출이 심하여 생력화 된 자동식 채낚기 어구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 성숙과 산란 -

  • 차형기;김주일;이동우;박차수;김순송;황강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0-301
    • /
    • 2003
  • 갈치 (Trichiurus lepturus Linnaeus)는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 동중국해, 발해, 일본 서부 및 류슈 연안 등 한국 주변 수역에 넓게 분포하는 난류성 저어어종이다. 우리나라 갈치의 주어장은 EEZ 설정 후 어장이 많이 축소되어 최근에는 흑산도, 제주도 인근의 서해남부 및 제주도 서방해역에서 근해안강망, 쌍끌이기선저인망, 대형트롤, 대형선망, 근해채낚기 등에 주로 어획된다. 우리나라 갈치의 어획량은 1970년대 초반에는 급격한 증가추세로 1974년에 17만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후 1977년에 7만톤 수준으로 떨어졌고, 1997년부터 다시 높은 수준으로 회복 되면서 1983년에 다시 15만톤의 어획을 기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