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정보

검색결과 992건 처리시간 0.03초

무선 이동 환경을 위한 PDA 기반의 방문형 간호정보 시스템 설계 (Design of Roving Nightingales Supporting System based on PDA for Mobile Computing)

  • Kim, Hyo-Ju;Joo, Kyung-Soo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5-188
    • /
    • 2003
  • 오늘날 많은 병원이 전산화를 통해 병원 경영을 개선하고자 병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병원정보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간호사들의 업무수행을 지원하는 도구인 간호정보시스템은 환자 간호에서 효율성의 증가와 환자의 안전과 만족도가 증가하는 데 한 몫을 한다. 그러나 기존의 의료정보시스템에서는 전산 시스템과 실제 간호업무가 분리되어, 업무가 이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런 비효율적인 사례의 개선방법으로 PDA로의 업무 전환을 연구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Online 시스템과, 데이터 동기화 기반의 Offline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모든 업무처리를 방문한 간호 현장에서 실시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신속한 의사전달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간호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업무의 중복과 오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PDF

가정간호사업의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Activity Based Costing Management System in Home Care)

  • 이수정;임정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427-429
    • /
    • 2004
  • 진료 및 간호서비스는 다른 제조업과는 달리 무형의 서비스에 대한 간접비의 비율이 두드러지는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의료기관의 전략적 계획수립, 수익성 분석, 경제성 분석, 의료서비스 제공의 질 관리 등의 의사결정에 적극 활용되어야 하는 원가 분석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전문 간호 분야인 가정간호는 1회 방문 시에 다양한 활동들이 모여서 가정간호서비스가 수행되므로 가정간호의 원가분석에는 각 행위들이 모인 활동에 대한 분석에 근거한 정확한 원가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활동기준원가의 기본 요소는 자원, 활동, 자원 동인, 활동 동인, 원가 대상이며 이에 따라 가정간호사업에서 활동기준원가의 각 요소를 정의하고 전통적 원가 계산이 아닌 활동을 중심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업무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을 설계한다. 가정간호사업의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은 가정간호의 효율적 운영과 의료기관의 경영 개선과 항께 실질적 원가계산을 통해 정부가 건강 보험 수가를 결정하고, 보험 수가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인터넷 윤리의식, 자기통제력,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Internet ethics awareness, self-control,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patient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 김외남;오재우; 김정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93-70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윤리의식, 자기통제력,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개인정보보호 인식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보화 시태의 흐름을 반영하여 환자개인정보 보호 인식 향상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11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이며. 대전광역시와 청주시 소재 D대학교 및 C대학교에 재학중이며 본 연구에 참여 동의한 간호대학생 142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통제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4%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넷 윤리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간호전문직관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개발이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온톨로지에 기반한 간호진단 지식모델의 설계 (Design of Knowledge Model of Nursing Diagnosis based on Ontology)

  • 이인근;김화선;이성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68-475
    • /
    • 2012
  • 간호사는 NANDA, NIC, NOC과 같은 간호과정의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간호 실무를 수행하고, 간호과정에 대한 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기록하고 있다. 특히, NANDA는 간호진단 분류체계로써 간호진단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고 있어, 상세한 간호진단 내용의 표현에 어려움이 있다. 그로 인해, 국내 병원에서는 자체적으로 간호진단 목록을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표준이 적용되지 않아 간호기록의 전산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ANDA와 SNOMED-CT와 같은 표준 용어체계를 참조하여 간호진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온톨로지로 구축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은 각 병원 및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간호진단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이 가능하고 지식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안한 방법에 따라 경북대학교병원의 여성건강 간호기록 진술문을 분석하고, 간호진단 정보의 추출 및 정련을 통해 112개의 간호진단 용어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 용어를 이용하여 여성건강 간호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하였고, 전문가 평가 및 실험을 통해 개발한 온토롤지의 타당도와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o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조민정;구미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95-507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임상수행능력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6월 4일부터 6월 1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은 문제해결능력(${\gamma}=.70$, p<.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gamma}=.53$, p<.001)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직접(${\gamma}=.31$, p<.001) 및 간접효과(${\gamma}=.31$, p=.007)를 나타냈다. 이들 변수들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46.2%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정보활용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권장한다.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 조현;강인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26-1132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간호사의 표준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진단과 연결된 중재를 분류하고 프로토콜을 전산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료기관간, 또한 의료인간의 격차를 없애고 서비스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가정간호 표준중재 개발과정과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나누었는데, 가정간호 표준중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가정간호사의 직무분석, 대상자 사정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진단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중재 프로토콜 개발의 4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 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크게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을 위한 전략수립과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의 분석, 설계, 운영 및 평가 등의 4개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P시에서 가정간호사업 실시 기관에 근무하는 가정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정간호 정보시스템 매뉴얼을 사용하여 직접 시범, 교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 가정간호중재에 속하는 구성요소를 가정간호정보조사지, 가정간호경과기록지, 가정간호경과요약서, 가정간호종결 요약서 양식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표준 가정간호중재가 개발됨으로써 가정간호사업부서 간의 정보교환이 용이하고 기록의 누락 및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EMR, HMR 개발시 병원용어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실습 경험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 이현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53-60
    • /
    • 2018
  • 본 연구는 18주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 정도를 확인하여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간호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정도(4.62점/5점)가 실천 정도(3.84점/5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인식 정도와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향후 일부 간호학생으로 제한되었던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학제간 융합연구가 필요하고, 간호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기관과 대학 측의 공동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urses's Communication style and Health Literacy on Self-care Behaviors that Elderly diabetic patients Acknowledge in comprehensive nursing-care Service wards)

  • 임은영;신주현;이예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117-127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가간호행위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질 높은 자가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자가간호행위 능력을 향상시켜 당뇨병으로부터의 조기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적 요소와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정보자원이용, 문제해결능력, 간호정보활용역량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Resources Use, Problem Solving Ability,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in General Hospital Nurses)

  • 하영미;조정의;양승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89-297
    • /
    • 2016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자정보자원이용, 문제해결능력, 간호정보활용역량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간호정보활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사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정보활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제해결능력과 전자정보자원으로, 이들의 설명력은 38.0% (F=43.73,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전자정보자원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