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호정보표준화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Communication of Students in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 Patient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의 의사소통)

  • Son, Hae Kyoung;Kim, Dong 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267-27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tegories and frequencies of communication of students in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 pati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video recording of communication process of 41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related to pediatric enteritis from March to June, 2017. The data were analyzed the contents and frequencies of completed communication forms by trained researcher based on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In result, students used communication skills in task area frequently.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orientation, open question, identification, giving information, opinion, and suggestion, and eye contact, were used frequently. In an uncomfortable atmosphere such as listening to the nursing client's complaints, students showed tension and stiff appearance. Students used high quality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empathic understanding and therapeutic touch restrictively. In conclusion, we need education strategies relating to therapeutic communication fo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nursing service.

The Nursing Minimum Data Set (NMD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NMMDS): significance, development, and future of nursing profession (Nursing Minimum Data Set (NMDS)과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NMMDS) 과의 관계)

  • Lee, Eunjoo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31 no.3
    • /
    • pp.401-416
    • /
    • 2001
  • 현재의 보건의료체계에서는 모든 것이 급박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또 구체적인 자료를 요구한다.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간호학에서도 표준화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Nursing Minimum Data Set (NMDS)은 간호학분야에서 개발된 최초의 표준화된 대규모 데이터 베이스로서, 간호가 일어나는 모든 상황에서 반드시 수집되어야 할 핵심적인 간호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MDS 개발의 역사적인 배경, 목적, 요소, 그리고 간호계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NMDS가 이루어야 할 방향, 그리고 NMDS를 완성하기 위해 선행되어 할 문제로 표준화된 분류체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미국이외에도 몇몇나라에서 NNDS나 혹은 유사한 데이터베이스가 개발 중이거나 이미 수집되고 있는 나라들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비교와 분석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최근에 개발된 데이터 베이스로 주로 행정적인 목적을 위해 개발된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NMMDS)을 소개하였다. 즉 NMDS가 임상적인 자료의 수집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NMMD는 효과적인 간호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포함시켰다. 그래서 간호행정가들이 의사결정에 필요한 재정적자원, 환경적자원, 간호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며, 다른 학문분야와도 연계되어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만약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들이 한국에서도 개발되고 사용되어 진다면 환자간호에 더욱 비용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NMDS나 NMMDS 같은 대규모데이터 베이스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됨을 강조하였다.

  • PDF

A Design of Nursing Diagnosis System using Case-Based Reasoning (사례기반 추론 방식을 이용한 간호진단시스템 설계)

  • 이혜자;정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37-339
    • /
    • 2001
  • 간호진단, 중재, 결과로 이어지는 간호 프로세스에서 가장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간호진단 업무를 지원하는 전산시스템에 대해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연구와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기록만 전산화되었거나 부분적으로 표준화된 데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간호진단업무에 능숙하지 않은 간호사의 경우 전산화를 통한 진단업무효율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우리는 간호진단의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서 간호 프로세스의 표준데이터와 사례를 기반으로 추론하는 간호진단시스템을 제안한다. 표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간호진단을 1차적으로 검색한 후, 다시 사례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1차 검색의 결과를 보완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 PDF

산업보건관련 기록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중심으로 -

  • Go, Bong-Ryeon;An, Min-S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52-77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보건관련기록의 표준화를 위하여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수집하여 기록의 종류, 내용과 양식을 비교 분석하므로써 간결하고 유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록을 개발코자 조사연구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총 32개 산업체로써 조사기간은 1991년 2월 4일부터 4월 6일까지이며 자료 수집 방법은 우편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건강관련 정보기록으로 일일업무기록은 모두 쓰고 있었으며, 의약품 보호구 수불현황은 65.6%에서 사용하였고, 개인건강기록부, 매월업무보고서, 진료의뢰서는 각각 40.6%, 21.9%, 28.1%에서 사용하였다. 2. 간호사의 건강관리 업무관련정보기록은 일일간호 및 처치기록은 84.4%가 사용하였고, 현장순회일지, 환경위생점검일지 사용이 가장 낮았으며, 건강상담일지, 보건교육일지, 건강관리대상자 관리현황, 공상자 치료 및 관리현황은 제조업인 경우에는 21~26%가 사용하였고 기타 사업장인 경우에는 업거나 사용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사업장의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사항이나 작업환경개선 및 유지, 관리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순회일지나 환경위생점검일지에 대한 기록이 정확히, 철저히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담 및 보건교육일지 작성도 보건교육이 전반적인 산업보건 사업계획과 통합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기록양식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양식의 내용을 업종별 중요성에 따라 표준화된 기록지 개발을 제언한다.

  • PDF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Contact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s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 Ji, Eun Joo;Seo, Hyung 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1
    • /
    • pp.87-9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contact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cluding 67 nursing student A university from October to December 2019. This study was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related to multidrug resistant organism(MDRO) infection control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pre and post test,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reflection sheet was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After intervention, two variabl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ere were 39 significant statemen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13 catego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on simulation program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contact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is effective strategy to enhance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related to MDRO infection control and practical nursing infection control skill, patient centered car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 Review of Minimum Data Sets and Standardized Nursing Classifications (보건의료정보 자료 세트의 비교 및 간호정보 표준화에 대한 고찰)

  • Yom Young-Hee;Lee Ji-Soon;Kim Hee-Kyung;Chang Hae-Kyung;Oh Won-Ok;Choi Bo-Kyung;Park Chang-Sung;Chun Sook-Hee;Lee Jung-A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5 no.1
    • /
    • pp.72-85
    • /
    • 1999
  • The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ree data sets(Uniform Hospital Discharge Data Set, Nursing Minimum Data Set, and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and six major nursing classifications(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es Association Taxonomy I, Omaha Syste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ursing Intervention Lexicon and Taxonomy,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atient Outcome). The reviewed data sets and nursing classificatio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structure, and user.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were linked to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but others not. The data set and nursing classifications need to be linked to other data sets and classifications.

  • PDF

Development of Detailed Clinical Models of Nursing Information for Initial Assessment (초기사정을 위한 간호정보조사지의 임상내용 모델 개발)

  • Kim, Younglan;Park, Hyeoun-Ae;Min, Yul Ha;Lee, Myung Kyung;Lee, Young Ji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17 no.1
    • /
    • pp.101-11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tailed clinical model for recording initial nursing assessment items, and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facilitate semantic interoperability for sharing and exchanging nursing information. Methods: First, the researchers extracted items by analyzing initial nursing assessment records. Second, defin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nursing records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Third, value sets for defin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types and cardinalities of defining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based on the value sets. Finally, the detailed clinical model was tested through evaluation by experts and comparison with the initial nursing assessment in a clinical setting. Results: Sixty-one detailed clinical models were developed with 178 defining characteristics and value sets. The experts evalu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initial nursing assessment in a clinical setting showed that the detailed clin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 Conclusion: Use of this detailed clinical model can ensure that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contains meaningful and valid information and supports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nursing information. This use will promote quality in the nursing records and eventually quality of nursing care.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 Cho, Hyun;Kang, In-S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5
    • /
    • pp.1126-1132
    • /
    • 2009
  •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reduce the gaps between medical institutes and between medical personnels and help to improve medical service quality, by classifying diagnoses and related interven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andard nursing intervention and by computerizing protocols. We considered two processes: one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home nursing standard intervention, and the other is the process of computerizing its related protocols. For the former, research covered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practices, development of client assessment protocol, of patients diagnosis protocols, and of patients intervention protocol. For the latter, strategies for home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set up and it constituted four research contents of analysis, desig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systems. We also trained and educated home nurses who work at home health service center, by making them use the manual of home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at a certain city of P. In this study, therefore, we developed elements of standard home health care mediation so that they could be included in the forms of home health information note, home health progress note, and home health progress summary, home health discharge summary. Because standard home health care intervention has been developed, it became easier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home heath service center offices, can prevent from missing or redundant information, and contribute to standardization of hospital terminologies when EMR and HMR are develope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eurologic and Orthopaedic Nurses (신경기계와 정형외과 근무간호사의 간호중재에 대한 국제적 비교)

  • Lee, Eunjoo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3 no.4
    • /
    • pp.517-528
    • /
    • 200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된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을 사용하여 신경기계 병동과 정형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가장 빈번히 수행하는 간호중재를 파악함으로서 이러한 부서의 간호중재 리스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그리고 확인된 간호중재의 리스트를 미국 간호협회의 핵심 간호중재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양국간의 간호중재의 유사성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간호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방법: 8개의3차병원 및 종합병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NIC을 번역하여 소개한 뒤 가장 자주 수행하는 간호중재 30개를 선택하게 하였다. 선택된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미국의 핵심간호 중재목록과 영역(domain)별, 분류군 (class)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신경기계 병동은 30개의 간호중재를 정형외과 병동은 34개를 핵심간호중재로 확인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간호중재를 비교해본 결과 신경기계 병동의 간호중재와 미국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AANN) 의 핵심간호중재 목록과는 단지 5개의 간호중재가 일치하였지만 정형외과 병동의 간호중재목록은 미국의 National Association of orthopaedic Nurses (NAON) 의 핵심중재목록과 27개의 간호중재가 일치되어 더 많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두 나라의 간호중재를 영역(domain)별로 비교해보면 한국 간호사의 간호중재는 미국간호단체의 핵심간호 중재 목록보다 신체적 간호에 보다 많은 편중을 보였다. 결론: 한국간호사의 간호중재가 신체적 간호중재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환자간호에 보다 전인적인 간호중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핵심 간호중재 목록은 병원의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호지식의 확장이나 staffing, 간호 수가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의 효과성 연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Traits On Work Stres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간호사의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 Mi L.;Shake ketefi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3 no.3
    • /
    • pp.417-430
    • /
    • 1993
  • 이 연구는 환경적 요소(간호사의 자율성, 조직의 표준화)와 개인의 특성(통제위, 나이, 경험. 간호역할개념, 도덕성),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의사결정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틀을 구성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그 인과관계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모형은 1) Katz와 Kahn의 조직에 대한 개방체계 이론(open systems theory of organization) ; 2) Kahn. Wolfe, Quinn, Snoek의 스트레스 이론 (theory of stress) : 3)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theory of moral develop-ment): 그리고 4) 여러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2가지의 주요 종속변수(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간호행위), 2가지 매개변수(간호 역할개념, 도덕성 발달정도) 그리고 여러 독립변수들(조직의 표준화, 자율성, 통제위, 교육, 나이, 경험 등)로 구성되었다. 간단히 말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윤리적 간호행위 를 개인 자신과 환경이라는 두 요소의 결과로 간주한 것이다. 미국(2개주)의 여러 건강관리기관에 근무하는 224명의 정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1)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LISREL)기법과 2) 나이, 경험, 교육이 변수간의 관계에 미치는 중간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LISREL결과를 보면 제시된 모델이 각 내재 변수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면서 자료에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가장 뚜렷한 점으로 나타난 것은 개인의 특성보다 환경적 요소로서의 자율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데 훨씬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중간영향(moderation effect)을 보면, 젊고 경험이 적은 간호사일수록 나이가 많고 경험있는 간호사보다 환경적 요소(자율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간호사의 윤리 적 간호행 위 는 2, 3년제 를 졸업 한 간호사 보다 환경적 요소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율성의 부족은 2, 3년제 졸업 간호사보다 4년제 졸업 간호사에게 더 심한 스트레스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제적인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환경적요소로서의 자율성이 다른 어떤 개인적인 요소보다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간호행정가들에게,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선 “자율성”이 아주 중요히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 개인의 복지에 큰 해가 되고 환자를 간호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계된다면, 간호행정가는 그 조직의 직무체계를 다시 평가해서 일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무를 다시 설계할 경우, 누구에게 먼저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는지를 밝혀주고 있다. 즉, 젊고 경험이 미숙한 간호사들에게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며, 작업환경의 가장 중요한 차원중의 하나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행위를 높히기 위해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두 개념들이 간호사의 바람직한 간호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험이 많을수록 일에 싫증을 느껴 바람직한 윤리적 간호행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건강관리체제 (health care system) 안에서의 간호사의 역할이-전문직으로서의, 그리고 환자를 위한 옹호자로서의-학교와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간호사들의 역할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이 학생은 물론 임상 간호사들에게도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로 연구의 일반화를 높히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표본을 반드시 한번에 전부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여러 표본들을 연속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는 여러 construct들(윤리적 간호행위, 직무 스트레스, 간호 역할개념 등)에 대한 적절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풍부하고 세세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질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험설계 및 종단적 연구(expel-imental, longitudinal design)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할 수 있는 이론적 탐구(theoretical exploration), 즉 이론정립을 위하여,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질적 연구들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