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업무분석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2초

일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김영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호
    • /
    • pp.52-59
    • /
    • 1992
  • 본 연구는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와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요인분석하여 산업장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이끌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틀을 세우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도구는 참고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만든 설문지를 사전 조사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기계제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였으며 1989년 5월 5일부터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탈락 및 기재가 불충분한 질문지를 제외한 284명의 응답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의 평균은 122.1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분포를 나타냈으며, 실천정도의 평균은 87.6점으로 필요성 인식정도 보다는 낮은 실천정도를 나타냈었다. 2)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 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9개 예방적 건강행위 중 20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을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정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반영하고 있다. 3) 요인분석결과 29개의 예방적 건강행위 항목들은 7가지의 요인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각 범주들은 요인부하량이 높은 것들을 참고로 하여 보건의료자원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개인위생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작업과 관련된 건강행위, 식습관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휴식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기호습관(금연, 금주)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등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나, 실천정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에서 29개 항목중 20개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인식정도가 높을 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중 보건교육에 대한 업무가 보다 중요한 비중으로 수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수 있다.

  • PDF

상급학위과정에 등록한 간호사들이 느끼는 역할갈등과 역할관련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Interrole Conflict and Role-related Stress among Registered Nurses Pursuing Advanced Nursing Degrees)

  • 김태숙;수리주안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2
    • /
    • 201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또는 RN-BSN과정에 등록하여 학업을 계속하는 간호사들이 학업과 직업, 가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역할갈등과 역할관련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4개 간호대학 RN-BSN과정 또는 대학원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간호사 149명을 대상으로 역할갈등, 역할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서술통계,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함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work-school to family 갈등은 평균 $2.77{\pm}0.93$점, family-school to work 갈등은 $3.27{\pm}0.77$점, family-work to school에 대한 역할갈등은 $3.08{\pm}0.83$점이었다.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평균 $5.99{\pm}1.66$점이었으며, 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가정스트레스 $4.77{\pm}2.62$점, 직장스트레스 $6.66{\pm}2.12$점, 학업스트레스 $6.84{\pm}1.87$점이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중에서 직위가 스트레스변인의 2%를 설명하였고, 2단계에서 갈등요인 3변수가 추가 입력되었을 때 스트레스 변인의 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업과 근무, 가정으로부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간호사는 다양한 역할에서 오는 갈등과 스트레스의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근거로 업무만족과 성취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 김정희;이현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4호
    • /
    • pp.205-211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40문항,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는 각각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높았으며, 영역별 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에게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4점이었으며, 인지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였으며, 법적 측면, 진실통고에 대한 윤리적 근거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5점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소진관리, 임종 전 관리, 의사소통 방법, 임종준비에 대한 의사소통, 마약성 진통제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고, 암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인지정도는 낮으며,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Nursing Studies Related to Humor)

  • 김신정;김성희;이정은;김혜영;유소영;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58-66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고찰, 비평, 탐색, 논의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속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아동을 대상으로 간호현장에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결과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 13편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유머와 관련된 간호의 속성을 긴장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도구의 사용, 즐거운 기분 유발로서 환자의 증상 완화, 유머를 활용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업무향상이라는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머는 스트레스, 질병 등의 위기상황에 놓인 아동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임상상황에서 간호사들이 아동간호 시, 유머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대상자의 안녕과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유머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시대와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고 발달되어 간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기본간호술 수행 빈도 및 중요성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Basic Nursing Performance abilit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versus General Ward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41-553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간호술의 수행 빈도 및 중요성 인식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99명, 일반병동 90명 총 18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8년 2.1-2.28일까지 였다. 자료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간호술 수행 빈도는 일반병동이 2.43회로 더 높았고, 개인위생, 영양 및 배설, 활동과 운동, 입 퇴원 및 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이 4.24점으로 조금 더 높았고, 개인위생, 활동과 운동, 입 퇴원 및 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기본간호술의 중요성 인식에 비해 수행 빈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어 수행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간호사들이 전인간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정한 간호인력 배치와 간호업무 수가개발에 대한 연구를 반복적으로 수행해 볼 필요가 있겠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무경험 (Work Experience of Irregular Clinical Research Nurses)

  • 김혜옥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23-634
    • /
    • 2015
  • 지방 종합병원 임상 시험센터에서 근무하는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함이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은 어떠한가?" 임상연구 간호사의 업무 역할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Spradley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제는 다음과 같다.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업무 역할 경험에 있어 기존 간호업무와 관련하여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사회화 되어 가는 과정', '연구 대상자들을 통한 애환'이었다. 임상연구 업무전문성은 전문교육부재', '연구 총 기획자의 역할'이었다. 근무환경 측면은 '자신만의 공간', '여유와 배려 속에서 주도적인 근무 환경'이었다. 복지 측면은 '비정규직만이 가진 고충'이었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로서 근무경험은 간호사 역할 확대와 더불어 사회화 학습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업무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하려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결론은 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른 간호 전문직론에 임상연구 간호사의 직무분석과 역할이 추가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사회적으로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로조건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생산성 영향요인 구조모형 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Nursing Productivity of Nurses in Korea)

  • 김세영;김은경;임헌만;이미영;박광옥;이경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0-2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test a predictive model that could explain and predict nursing productivity. Method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60 nurses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18.0 and AMOS 19.0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constructed model,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Whil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Conclusion: Th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 i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ed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nursing productivity. Comprehensive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nursing productivity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ppropriate strategies to decrease nurse turnover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spectively verify these causal relationships with larger samples.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전문직 자율성 및 안전분위기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ption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fessional Autonomy and Safety Climat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on Hospital Nurses)

  • 김슬기;강다해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15-724
    • /
    • 2022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전문직 자율성 및 안전분위기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종합병원 간호사 211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5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은 안전분위기(β=.297, p<.001),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β=.287, p<.001), 근무부서(β=.169 p=.004)이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증진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근무부서의 업무고려 및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환자안전관련 중요성 인식의 향상, 긍정적인 안전분위기의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증진의 방안마련에 토대가 되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비교 (A Comparison of the Nurses Image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강미란;정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42-3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시 소재 일 간호대학 학생 40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2일부터 9월 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로,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임상실습 경험군 평균평점 $3.5{\pm}0.5$, 임상실습 미경험군 평균평점 $3.7{\pm}0.5$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750.2, p<.001). 또한 간호사 이미지 하위영역의 전통적 이미지(F=3631.5, p<.001), 사회적 이미지(F=2872.5, p<.001), 전문적 이미지(F=4022.9, p<.001), 개인적 이미지(F=1812.9, p<.001)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후 간호사 이미지를 높이기 위하여 임상현장과 간호대학 뿐 만 아니라 간호사의 독자적 업무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 Study on Relations among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t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 Young-ok Yoon;Sun-Yeun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81-19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93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92명이다. 연구결과 집단 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적정인력 배치, 간호의 명확한 업무경계, 적절한 보상 등을 통해 직무만족을 향상시킴으로써 숙련된 간호인력의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