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교육 요구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학생을 위한 웹기반 수술간호 학습콘텐츠의 효과 (Effects of a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Operating Room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 박은희;황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84-394
    • /
    • 2011
  • 최근 임상현장은 소비자의 질적 간호에 대한 요구로 인해 임상실무 중심의 간호교육을 목표로 교육현장의 변화가 일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계의 변화에 발맞춰 임상실습 강화를 목표로 웹기반 수술간호 콘텐츠 학습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수술실 관련 지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측면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교육요구도를 바탕으로 6개 모듈로 구성하였고 4년제 간호학과를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시행되었다. 그 결과 본 예비학습 프로그램이 수술실 임상실습 전 간호학생에게 수술실 관련 지식, 학습동기 측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수가 누락률 감소활동 (Activity to reduce the record missing for nursing care charge)

  • 김난자;이용교;김혜진;정옥주;송남경;전미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78
    • /
    • 2009
  • 문제: 오늘날 간호사는 과거와 달리 현대적 보건의료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훈련된 고급 전문 인력이고, 간호행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생산원가 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으로서의 훈련 및 유지비용 등도 투입되어야만 가능하게 함으로서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간호행위 중 수가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생기게 되었고 간호행위의 중요성과 더불어 간호를 시행 후 받을 수 있는 수가에 대한 간호사들의 입력에 대한 의무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빈번히 누락되고 있는 간호수가 관리를 통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개선활동을 하고자 한다. 목적: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 행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문제 분석과 간호 현장에서의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간호수가 누락률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의료기관: 대구파티마병원 내과 중환자실. 질 향상 활동: 업무개선의 방법으로 환자 개인별 간호수가 입력 누락 방지 체크 리스트 사용 및 처방 전달 시스템의 간호수가 재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의 용이성 도모하였고 입력된 간호수가를 처방 전달 시스템 간호수가 조회 프로그램을 이용해 익일 누락여부를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교육 및 홍보활동으로는 간호수가 입력누락 방지를 위한 간호수가 입력 지침을 제작하여 전체간호사는 년 2회, 신규간호사는 개별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월별 간호수가 누락통계를 실명 공고 하여 간호수가 다 빈도 누락 간호사는 추가 개별교육을 실시하였다. 개선효과: 간호수가 입력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간호수가 평균 누락률이 개선 전 6.5%, 개선 후 1.2%로 5.3%의 누락 감소율을 보였으며 역치 5%를 달성하였고 간호수가 누락금액은 개선 전 2,992,752원, 개선 후 590,787원으로 2,401,965원의 누락 효과 비용을 구할 수 있었다. 본 QA활동으로 중환자실 간호수가 전산입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부재와 신규간호사들의 잦은 전산누락이 있어왔으나 표준화 된 체크리스트 지침과 입력확인 작업으로 전산입력 누락률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추후 심평원 청구 작업을 하는 부서와 연계되어 실제 청구 누락률에 대한 비교와 간호사 근무연수와 간호수가 입력 누락률에 대한 상관관계 조사를 제언 해 본다.

  • PDF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서비스 수행빈도 및 교육요구 (The Health service performance frequency and educational needs among the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s)

  • 김진학;송민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3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health service delivery level and educational needs by work experiences and types of public health center among the nurses who work as visiting health services workers at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Data collected from 484 nursing staff for 2 week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test, ANOVA, and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Nurses with more than 2 years experience were 79.1%; and 43.6% of the subjects worked within Gun type public health centers. Results: The health service performance frequency of metropolitan city type public health center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areas of education, behavior pattern, chronic disease, pregnant women & infants, and multi-cultural family. The health service performance frequency of Gun type public health center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areas of type of test, fundamental nursing, and basic rehabilita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frequency and educational needs was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subjects with greater educational needs performed more. Conclusion: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health centers rather than work experiences, especially in systematic training for frequently performed items after reviewing the practice precisely.

일부지역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성지식과 태도 및 교육요구도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Sexuality in the Elderly)

  • 한혜자;이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7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regarding the sexuality of elderly individual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st}$ to $22^{nd}$, 2016. One hundred ninety-three nursing students in Daejeon city and Chungcheongnam-do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s: Mean scores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measures were 15.74/29, 28.45/40, and 36.67/50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needs for sexual education of the elderl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depending on students' age and year in school. Higher levels of knowledge of sexua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and higher educational needs. Positive attitudes were also correlated with higher educational needs. Conclusion: Nursing students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and poor attitudes towards sexuality in the elderly.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on the sexuality of the elderly in the nursing curriculum. This education would guide nursing students to obtain correct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s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provide effective and appropriate sexuality care for elderly patients.

간호사의 난임 간호에 대한 실무 교육 요구도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Nurses' Practical Educational Needs Scale for Women with Infertility)

  • 박점미;신나연;이경미;최정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11
    • /
    • 2019
  • Purpose: To develop nurses' educational needs scale for woman with infertility. Methods: A total of 201 nurses in charge of infertility health services in 4 infertility hospitals and 1 public health center were enrolled for this study. The scal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development of secondary items,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and extraction of final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ronbach's ${\alpha}$. Results: Nurses' educational needs scale for women with infertility consisted of 41 items. Three factors (education for disease and symptom of infertility, supporting and counselling for infertility patients, and education for daily life of infertile patients) explained 63.7%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Nurses' educational needs scale for woman with infertility demonstrated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Its items could be used to assess the level of educational needs for nurses in charge of infertility health services.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의사소통 상황 관련 교육 요구도 조사 (A Survey on Situation-related Communication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Intensive Care Unit Nurses)

  • 황원정;하정민;박다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9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novice nurses'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 This study identified communication challenges in clinical settings to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that enhances communication competencies based on educational requirements. Methods :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he latter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21 novice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the ICU at various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via the online open chatroom from June 24th to July 28th, 2023. The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were identifi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IPA, 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Text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communication experience.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mmunication with nurse on another shift" domains contained the most substantial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s. Conclusion :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ICU nurses. This valuable information could help ICU nurses and educators improve new nurses' communication skills, which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간호전문직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nurses as a profession in Korea)

  • 이정애;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47-453
    • /
    • 2001
  • 연구목적 : 전문직으로서 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집단별로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다. 연구방법 : 설문지를 이용한 비교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은 간호사, 간호학교수, 의사, 약사, 간호조무사, 병원행정직원, 행정관료, 정당활동가, 일반시민 등을 포함한 총 584명이었으며, 설문지는 12개 하부항목으로 범주화된 3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 간호사에 대한 인식은 의사가 가장 긍적적이었으며, 병원직원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모든 집단에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항목은 '사회적 요구'였으며, 그 다음은 '직무기술', '사회적 인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부정적인 것은 '간호교육'이었고, 그 다음은 '간호조직체 활동', '직무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간호사들은 다른 집단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어린이집 원장의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 및 자기효능감 (Educational Needs and Self-efficacy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of Day Care Center Administrators)

  • 유선영;주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909-918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감염병 예방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는 G, J, S시 소재 어린이집 원장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는 손 씻기 방법 및 시기, 세척과 소독 방법이 높았고, 감염병 예방 자기효능감은 영유아 손 씻기 교육과 시기가 가장 높았다.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와 자기효능감(r=.528, p<.001)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예방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β=.53, p<.001), 감염병 예방 교육의 경험(β=.25, p<.001)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에 대한 감염병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감염병 예방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다.

국내 상급종합병원의 간호단위 및 임상경력별 핵심간호실무와 교육요구도 (Core nursing practice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according to nursing unit and clinical career in tertiary hospital)

  • 김연희;정영선;최진선;이혜영;정혜련;김지수;김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nurses' core competences, and to improve the curriculum in nursing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This study, based on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19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Among 47 core nursing practice items, core nursing practices 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nd relevant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measured on a four-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Duncan test as post-hoc test. Results: Regarding the core nursing practice perceived as by the nur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43 out of 47 items according to nursing unit, and in 15 item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Regarding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core nursing practice,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ame items as percep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nursing unit and clinical care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rther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advance the clinical expertise of nurs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reflect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requirements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fields.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Practice Regarding Urinary Incontinence)

  • 김은영;김진선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53-71
    • /
    • 2005
  •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 태도 및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정도를 조사하고,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사용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의 보건진료원 330명 전수였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으로 우편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에 응한 170명(응답률: 51.5%)의 보건진료원 자료가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보건진료원들이 정규교육 또는 보수교육에서 요실금에 대해 받은 교육은 부족하였으며, 요실금 관련 지식 설문지의 정답률은 68.96%였다.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환자를 돌보는 것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는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요실금 관련 지식은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의 예측요인이 아니었다. 요실금 관련 태도와 요실금 관련 교육필요성 여부가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의 예측요인이었으며, 이들 두 변수가 보건진료원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변이의 9%를 설명했다.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리 능력 및 실무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단순한 지식향상에 중점을 두지 말고 태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