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헐포기공정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간헐포기공정과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의 오염물질 제거특성 비교 (Comparison of Pollutants Removal between the Intermittently Aerated Bioreactor(IABR) and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IAMBR))

  • 최창규;이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119-12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헐포기공정(IABR)과 막결합 간헐포기공정(IAMBR)의 오염물질 제거능력과 영양염류 제거 mechanism을 비교 검토하여 막침적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질산화율 및 탈질율을 산정하였으며, 질소물질수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IAMBR과 IABR의 경우 유기물 제거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염류 제거능력은 IAMBR이 IABR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산소 상태에서 반응조 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IAMBR이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높은 탈질화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질소물질수지의 결과에서도 IAMBR에서 탈질된 질소성분이 40.9%로 IABR의 10.7%보다 4배 이상 높은 탈질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MLSS 농도의 유지와 간헐적 유입 유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막이 월등한 질소제거능력의 차를 보임으로써 간헐포기공정에 대한 막결합의 타당성이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하수슬러지의 호기성 소화시 영양염류 용출에 관한 연구 (Nutrient Release during the Aerobic and Alternant Aerobic Sludge Digestion)

  • 박종안;김성홍;허준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2-87
    • /
    • 2000
  • 생물학적 슬러지를 대상으로 간헐포기 소화와 호기성 소화의 회분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물학적 슬러지의 간헐포기 및 호기성 소화 초기단계에서 미생물의 감량은 주로 내생 호흡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질소는 곧바로 용출되지 않고 슬러지내에 잔존함으로서 슬러지의 질소함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소화후반에서는 최초의 질소함량수준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34일간의 회분식 소화에서 호기성 소화의 총질소 제거효율은 0.1%로서 거의 제거가 안된 반면, 포기 비율 0.25, 05 및 0.75인 간헐포기 소화에서는 각각 42.7%, 42.5% 및 17.6%로 나타나 간헐포기 소화가 호기성 소화보다 질소 제거측면에서 우수하였다. VSS의 감소에 따라 슬러지내의 인도 수중으로 용출하였으나, 인 용출율은 VSS 감소율 보다 훨씬 낮았고 그 결과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호기성 소화와 간헐포기 소화는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이 증가하는 공정이므로 반송수의 인 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는 하수의 영양염류 제거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간헐포기공정에서 포기/비포기 구간에 따른 질소제거 및 미생물 군집분석 (Nitrogen Removals according to Aeration/Non-aeration Periods in the Intermittent Aeration Reactor and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 최문수;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2-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단일반응조에서 포기/비포기 시간에 따른 하수 내 유기물질 및 질소화합물을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C/N비 3 : 1, 포기/비포기 20/40 min 구간에서부터 90% 이상의 안정적인 유기물 및 질소 제거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포기/비포기 구간의 비율을 길게 유지하는 것이 탈질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비포기 구간을 유지하는 동안 반응조 내 미생물의 군집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PCR-DGGE를 한 결과, 유기물 및 질소화합물의 산화에 관여하는 미생물로 Dysgonomonas mossii strain Melo40, Eubacterium sp. oral clone JN088, Uncultured bacterium clone SPESB2_718과 Bacterium enrichment culture clone LE이 관찰되었고 탈질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Uncultured Acidobacteria bacterium clone AKYG487, Lactobacillus harbinensis strain FQ003, Erythrobacter litoralis strain Gi-3, Phytobacter diazotrophicus strain Ls8, Mycobacterium sp. enrichment culture clone GE10037biofNNA로 나타났다.

축산유역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간헐 포기식 인공습지에서 산소수지분석 (Oxygen Mass Balance Analysis in an Intermittently Aerated Wetland Receiving Stormwater from Livestock Farms)

  • 구에라 하이디;박기수;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8-498
    • /
    • 2016
  • 축산지역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간헐 포기식 인공습지에서 산소공급 및 소비량을 산출하여 낮과 밤 동안의 산소수지(oxygen balance)를 분석하였다. 조류의 광합성 활동이 활발한 얕은 습지에서 주간에는 내부 생산되는 산소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조류에 의한 내호흡이 가장 큰 소비원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질산화와 탈질에 의한 소비량은 각각 전체의 약 5.35%와 6.43%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류에 의한 과도한 양의 산소소비는 포기조작에 의한 침전조류의 재부상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 후속 공정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더욱이 주간에 조류의 광합성 활동에 의해 생산된 풍부한 산소량은 습지에서 발생하는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간에 실시되는 인위적인 포기활동은 불필요한 조작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반면에 광합성 활동이 중단되는 야간에는 조류의 내호흡작용으로 습지내부의 산소농도가 크게 저하하였으며 이는 습지에서 탈질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인위적인 포기를 중단해도 유기물질 제거나 질소제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간에 혐기성 상태의 지속으로 악취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간헐적인 모드로 운전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헐포기MBR공정에서의 하수처리성능과 미생물의 군집구조해석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astewater in the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

  • 임병란;안규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79-685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treatment performance of domestic wastewater in lab-scal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operated with anoxic-oxic cycles. Respiratory quinone profiles were applied as tools for identifying different bacterial populations. The cycle time program of bioreactor was control under anoxic/oxic of 60/90 minutes with an hydraulic retention time of 8.4 hrs. The average $COD_{Cr}$ removal efficiency of domestic wastewater was as high as 93%. The results showed complete nitrification of $NH_4^+$-N generated during oxic period and up to 50% of the total nitrogen could be denitrified. The dominant quinone types of suspended microorganisms in bioreactor were ubiquinone (UQ)-8, -10, followed by menaquinone (MK)-6, and MK-7 for anoxic period, but those for oxic period were UQ-8, MK-6, followed by UQ-10 and MK-7. The microbial diversities of bioreactor at anoxic and oxic periods, calcula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all quinones were 10.4 and 12.2-11.8,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was slightly affected by intermittent aeration.

4단 간헐포기 공정의 운전조건이 고도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by Variations Operating Conditions of 4-stage Intermittently Aerated Activated Sludge process)

  • 최용범;이정규;한동준;권재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70-976
    • /
    • 2013
  • 본 연구는 간헐포기 공정을 이용하여 생활하수의 고도처리 효율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운전기간동안 유기물 제거효율 검토 결과, HRT 9hr 이상에서 TCODcr와 TBOD의 제거효율은 각각 91.1~96.3%와 91.4~97.5%로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나, HRT가 6hr에서는 각각 86.9~90.5%, 88.0~90.9%로 제거효율이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NH_3$-N은 HRT 9hr 이상에서는 95% 이상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T-N 제거효율은 HRT 9~12hr에서 67.6~76.7%, HRT 6hr에서는 50%로 감소되었는데 이는 탈질에 필요한 탄소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운전기간동안 T-P 제거효율은 평균 32%로 낮게 조사되었는데 강화되는 법적기준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반응조 후단에 화학적 인 제거 공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SBR 공정에서 유입수 주입방식과 비 포기 유입수 주입시간이 탈질효율과 슬러지 침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attern and Anaerobic Fill Time on the Denitrifcation and Sludge Settling Ability in the SBR Process)

  • 이상민;남세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19-725
    • /
    • 2005
  • 본 연구는 생물학적 질소제거공정에서 국내 하수의 저C/N비로 인한 총질소 저하현상을 최소화 하기위한 방안으로 SBR 공정에서 유입수 주입방식의 변화를 포함한 세가지 운전모드에 대한 질소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검토된 운전방식은 CO-SBR, IA-SBR, SF-SBR이며 lab-scale운전과 pilot-scale($2\;m^3/day$) 운전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질소제거를 위한 SBR공정에서 유입수량과 반응조의 비율과 유입수 간헐 주입비를 고려할 때 질소제거효율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개발하여 질소제거율을 실제 운전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유입수 주입방식의 변화가 탈질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운전결과 SF-SBR이 90% 탈질율로서 가장 높은 탈질율을 나타냈고 IA-SBR이 61% 그리고 CO-SBR이 19%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 포기 유입시간의 길이가 슬러지 플럭에 미치는 영향은 비 포기 유입시간이 1시간 및 2시간의 경우의 플록의 밀도가 3시간의 경우보다 높아졌고 양호한 침강성을 나타냈으며 플록의 입도분포는 1시간 및 2시간의 경우가 $100{\sim}300\;{\mu}m$이고 3시간의 경우 $200{\sim}400\;{\mu}m$를 나타내었다.

간헐포기 MBR공정에서 포기시간에 따른 운전특성 평가 (Evaluation of Operation Characteristics with Aeration Time in Intermittent Aeration Membrane Bioreactor)

  • 임봉수;최봉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3-359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with aeration time in intermittent aeration membrane bioreactor. The BOD removal efficiency rate of this process was over than 97% regardless of aeration on/off time. To get over than 82% of nitrogen removal efficiency rate, aeration off time needs more than 70 minutes in reactor. Specific denitrfication rate was 2.68 mg $NO_3-N/gMv/hr$ in 40/80 min aeration on/off time, was 2.6 times more than 60/60 min, and 1.4 times more than 50/70 min in 6,300 mg/L of MLSS concentration. Specific nitrification rate was 1.96 mg $NH_4-N/gMv/hr$ in 50/70 min, was 1.4 times more than 40/80 min, but it was effectded little upon nitrification. Microbial activity was effected little according to aeration on/off time, oxygen demend was reduced according to aeration off time increased and microbia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longer aeration off time become, the higher Extraceller Pollymeric Substance (EPS), 50/70 min and 40/80 min in aeration on/off time was increased 1.6 times and 2.7 times, respectively more than 60/60 min because of increase of operation pressure.

응집제를 활용한 간헐포기 MBR공정에서 순간플럭스 증가가 분리막에 미치는 영향 평가 (The Estimating an Effect of Rapid Flux Increase to a Membrane in the Intermittent Aeration MBR Process Using Alum Treatment)

  • 최송휴;조남운;한명수
    • 멤브레인
    • /
    • 제15권1호
    • /
    • pp.70-83
    • /
    • 2005
  • 폭기조를 간헐 폭기로 운전하여 호기/무산소(oxic/anoxic) 시간 비율과 무산소 조건에서 호기 조건으로의 전환시 공기세정이 투과플럭스 및 투과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호기조건에서 무산소 조건으로 전환 시 펌프의 회전력에 의한 흡인압력이 투과플럭스와 투과 압력에 주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긴 슬러지체류시간(SRT; Sludge Retention Time)과 고농도의 MLSS 유지시에 발생하는 미생물 대사산물이 분리막에 미치는 영향과 응집제를 투여하였을 때 분리막에 작용하는 플러스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호기/무산소(oxic/anoxic)의 시간비율에 따른 유기물 및 질소 제거효율을 조사해본 결과 폭기 40 비폭기 20분의 시간배분 조건에서 처리효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므로 호기/무산소(oxic/anoxic) 조건을 40/20분으로 한 조건(step-7)에서 약품주입 실험을 수행하였다. 액체 명반을 폭기조에 직접 투여할 경우 약품의 농도가 질산화 및 탈질 미생물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MBR공정에서 인 1 mg/L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약 0.7 mg/L의 액체명반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