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척지 토양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9초

석고처리에 의한 간척지토양의 제염효과 분석 (Analysis of Desalinization Effects ofn Gypsum Treatments in Reclaimed Tidelands)

  • 구자웅;최진규;손재권;이기성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162-168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dealinization effects on gypsum treatments in reclaimed tidelands and to obtain the basci data for developing prediction techniques f desalinization to be applicable in the begining of tideland reclamation. In this study , the reclamation experiments with 4 treatmen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leachig method, using the samples of silt soil and silt loam soil collected in 5 units of tideland reclamation project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an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salinizatino for reclaiming the tidelands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 PDF

새만금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증비 효과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ment on Forage Crops Cultivation in Saemangum Reclaimed Land)

  • 양창휴;김선;이장희;백남현;김택겸;최원영;정재혁;이상복;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0
    • /
    • 2012
  •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 (광활지구) 신간척지에서 조사료의 안정생산을 위하여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 증비효과,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코자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동계 사료작물로 청보리 (영양), 하계 사료작물로 옥수수(광평옥), 수수${\times}$수단그라스 (G7)를 재배하여 토양화학성, 양분흡수량,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였다. 공시토양은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칼슘 함량이 매우 적었고 치환성 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이 많은 강알칼리성 염류토양 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토양염농도 변화는 0.1%이하를 나타냈고 염피해는 없었다. 동 하계작물 경엽 및 곡실 중 무기양분 함량은 질소증비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옥수수에서 높았다. 특히 청보리 무기성분 중 T-N, CaO, MgO 함량은 일반농경지에서 재배된 것에 비하여 2배정도 낮은 반면에 $P_2O_5$, $Na_2O$ 함량은 2배정도 높았다. 청보리는 질소증비로 초장이 길고 경수 확보가 많았으며 $10,740{\sim}13,170kg\;ha^{-1}$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또한 하계작물은 질소증비로 초장이 길고 경직경이 굵었으며 옥수수 $13,120{\sim}15,050kg\;ha^{-1}$, 수수${\times}$수단그라스 $14,400{\sim}19,440kg\;ha^{-1}$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간척지토양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분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종합적인 토양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품종들의 생장특성 (Physiological Response of Potato Variety to Soil Salinity)

  • 김선;양창휴;정재혁;최원영;이규성;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5-90
    • /
    • 2013
  • 제염중인 간척지 토양에 감자재배 가능성을 검토코자 새만금 간척지 토양을 대조구를 포함한 4수준의 염농도로 조정하여 충진한 포트에 5개의 감자 품종을 식재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입모는 4.8 dS $m^{-1}$까지 결주없이 균일하게 입모 되었다. 염농도별 감자 출현소요일수는 숙전토양 비하여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3-4일이 지연되었고, 3.2 dS $m^{-1}$에서는 6-10일이, 4.8 dS $m^{-1}$에서는 7-13일이 지연되었다. 2. 토양염농도에 따른 경수는 숙전토양에 비해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각각 14%-58%가 감소되었으며, 이후 토양염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가 심했다. 초장은 주당 경수가 적었을 때 커지는 경향으로 염농도보다 경수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3. 괴경 수량은 대조구 대비 1.6 dS $m^{-1}$일때 33.7%, 3.2 dS $m^{-1}$일때 59.5%, 4.8 dS $m^{-1}$에서는 79.3% 가 감소되었다. 4.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수량의 감소가 시작되는 염농도를 분석한 결과 추동은 1.2 dS $m^{-1}$, 추백은 1.8 dS $m^{-1}$, 추강과 추영은 1.9 dS $m^{-1}$, 그리고 수미는 2.0 dS $m^{-1}$ 이었고, 수량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추백은 2.4 dS $m^{-1}$, 추동 2.45 dS $m^{-1}$, 추강 2.81 dS $m^{-1}$, 추영 3.03 dS $m^{-1}$, 수미는 3.29 dS $m^{-1}$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간척지 재배에 적당한 감자품종은 수미로 판단된다.

에너지작물 재배를 위한 간척지 토양의 토양복토재로써 하수슬러지 고화물의 이용효과 (The Effects of Solidified Sewage Sludge as a Soil Cover Material for Cultivation of Bioenergy Crops in Reclaimed Land)

  • 안기홍;구본철;최용환;문윤호;차영록;박선태;김중곤;윤영미;박광근;김장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38-247
    • /
    • 2012
  • 1. 각 시험구에서 재배 2년째 시기별 에너지작물의 초장을 조사한 결과,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시험구에서의 에너지작물 중 거대 1호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원지반토에서는 생육이 미비하였다. 2. 원지반토의 거대 1호 초장은 재배 1년차 97 cm에서 2년차 229 cm로 141% 증가하여 성장폭이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두 시험구의 거대 1호에 비해 우수하였다. 3. 각 시험구의 토양 pH는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후 2년이 경과하여도 일정하게 pH 7.2~8.4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원지반토의 염농도는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두 시험구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지반토의 평균 염농도(0.27%)는 1년차의 염분 농도(0.31%)와 비교하여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원지반토의 평균 치환성 나트륨(Ex. Na) 함량은 8.99 $cmol^+\;kg^{-1}$으로 하수슬러지 고화물 혼합구의 평균치(0.7 $cmol^+\;kg^{-1}$)에 비해 약 12배 높았으며,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두 시험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하수슬러지 고화물 처리 후 에너지작물 재배 1년차와 2년차 동일시기(5월, 11월)의 토양 유기물 함량은 1년차에 비해 2년차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하수슬러지 고화물 복토구의 유기물 함량의 증가폭이 가장 우수하였다. 6. 간척지 토양에 하수슬러지 고화물 처리는 토양 무기양분의 공급, 염류의 상향이동 완충 효과, 작토층 및 근권확대로 인한 지하경의 정상적인 번식이 이루어져 원지반토에 비해 에너지작물 생육이 우수하여 하수슬러지 고화물처리는 토양복토재로써 간척지 토양의 화학성 및 물리성 개선에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간척지 토양환경 조건별 토양내 질소 동태와 영향 요소 (Fate of Nitrogen Influenced by Circumstances of a Reclaimed Tidal Soils)

  • 한상균;김혜진;송진아;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45-751
    • /
    • 2011
  • In most agricultural soils, ammonium ($NH_4^+$) from fertilizer is quickly converted to nitrate ($NO_3^-$) by the process of nitrification which is crucial to the efficiency of N fertilizers and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However, nitrification studie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agricultural soils, not in a newly reclaimed tidal soil which show saline-sodic and high pH.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ate of nitrogen species transformed from urea introduced into reclaimed tidal soil is important for nutrient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quality. This paper reviewed studies regarding to transformation and fate of nitrogen sources such as urea under the circumstances of a reclaimed tidal soils located in a western coastal area.

새만금 방풍림 조성을 위한 식생기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composition for making of windbreak forest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지달님;최강원;노경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7-177
    • /
    • 2020
  • 새만금 간척지는 1989년 '새만금간척사업'이 발표된 이래 1991년에 방조제 공사를 시작으로 2006년 물막기 공사를 완료하였고, 2009년 이후 방조제를 완공하여 현재는 40,100ha의 간척지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간척지는 장기적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간척으로 인한 해안경관의 가치 상실, 생태계 파괴 및 교란에 따른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식생의 도입이 그 대책의 하나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적으로 식물천이를 유도하고 동물들을 유인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간척지의 대표적인 수목생육 제한 요인으로 판단되는 염분, 배수 및 통기성에 대한 시험연구를 진행하고자 '09~'11까지 초기에 김제광활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였고, '12부터는 군산옥구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고 있다. 수목을 심을 포지를 구획하기 전에 토양의 염분값을 낮추기 위해서 군산옥구의 경우, 2ha의 시험포를 포함한 전체 묘목장 부지(100ha) 중에서 일부구간(38ha)을 '09 부터 자연강우 담수제염을 통해서 제염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염분 값이 18ds/m~20ds/m에서 8ds/m~10ds/m로 낮아졌다. 이렇게 수목이 자랄 수 있는 정도의 제염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배수 및 통기성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포지를 구획하였다. 단지1의 경우, 사전제염작업을 하지 않고, 5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고, 단지2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10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다. 단지3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그 위에 0.4M의 준설토를 성토하여 포지를 조성하고 일부구간에 5M, 10M암거를 설치하였다. 2년 간의 수목 생존률 및 생장 모니터링을 통해서 각 단지에서의 수목생장의 적합성의 정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단지3이 암거설치 간격 및 설치유무에 관계없이 수목이 자라는데 가장 적합했다. 다음으로 단지2, 단지1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 값을 낮추기 위한 자연강우 담수제염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배수 및 통기성 개선을 위한 암거설치의 경우는 새만금 전체 식재구역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배수 및 통기성을 위한 별도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각 단지에서의 수목 생장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식재기반 조성기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계화도(界火島) 간척지(干拓地) 토양(土壤)의 연도별(年度別) 염분함량(鹽分含量) 변화(變化) (Studies on the Changes of Soil Salinity in the Kyehwa Saline Paddy Soil)

  • 황남열;유정;나종성;오동훈;박건호;최봉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5-271
    • /
    • 1991
  • 계화도(界火島) 간척지내(干拓地內)의 토양염분(土壤鹽分) 변화(變化)를 1978년(年)부터 1988년(年)까지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면적(調査面積)2,500ha중(中) 면적분포비율(面積分布比率)은 문포통(文浦統)52.2%, 염포통(鹽浦統)30.2%, 광활통(廣活統)16.2%, 하사통(下沙統)1.0%이였다. 2. 수도경작답(水稻耕作畓)의 제염율(除鹽率)은 문포통(文浦統)세사양토, 광활통(廣活統), 하사통(下沙統), 염포통(鹽浦統) 순(順)으로 높았으며, 무경작답(無耕作畓)의 경우에는 6년차(年次)에 80%이상(以上)의 제염(除鹽)이 이루어 졌으나 그이후(以後)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3. 토심별(土深別) 염농도(鹽濃度)의 변화(變化)는 경작(耕作) 초기(初期)('72~'82)에는 표토(表土)보다 심토(深土)(20~40cm)에서 14.9%, 심토(深土)(40~60cm)에서 33.4%가 높았으며 후기(後期)('84~'86)에는 20~40cm와 40~60cm 심토(深土)에서 각각 26.4%, 66.9%가 높았다. 그러나 무경작답(無耕作畓)은 초기(初期)('72~'82)에는 심토(深土)(20~60cm)의 염분(鹽分)이 표토(表土)의 80% 수준(水準)이었다. 4. 계절(季節)에 따른 토양중(土壤中) 염분(鹽分)의 변화(變化) 경작답(耕作畓)에서 영농중(營農中)(여름)과 영농후(營農後)(가을)가 각각 영농전(營農前)(봄)의 52.3%, 62.5% 수준(水準)이었으며, 무경작답(無耕作畓)은 영농중(營農中)와 영농후(營農後)가 각각 영농전(營農前)의 74.8%, 89.9% 로 경작답(耕作沓)보다 높은 경향(傾向)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