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질환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4초

Diabetes Guide - 당뇨병과 간

  • 사단법인한국당뇨협회
    • 월간당뇨
    • /
    • 통권239호
    • /
    • pp.56-58
    • /
    • 2009
  • 당뇨병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간질환에 걸릴 위험이 2배에도 불구하고 간 합병증에 대한 위험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당교병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간질환은 대개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간혹 다른 이유의 검진을 통해서 우연찮게 간의 이상을 발견하기도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간질환이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이다. 간질환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간염, 간경변증 및 간암에 까지 이어져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다. 당뇨병과 간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자.

  • PDF

건강검진 후(後) 건강수치 읽기 - 간염, 미리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하자

  • 김남희
    • 건강소식
    • /
    • 제36권10호
    • /
    • pp.30-31
    • /
    • 2012
  • 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해마다 2만여 명에 가깝다. 이는 전체 사망자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단일 장기로 따지면 만성 간질환은 뇌혈관질환에 이어 사망 원인 2위다. 특히 40~50대 사망원인 중 3위를 차지한다고 한다. 간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B형 간염이 약 70%, C형 감염이 약 10~15%를 차지하고 있다.

  • PDF

초음파검사에 의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s Analysis of Alcoholic Liver Diseases by Ultrasonography)

  • 이만구;한남숙;임청환;정홍량;조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85-194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5월까지 경기도 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K영상의학과의원에서 간 초음파검사에 의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령, 성별, 음주빈도, 체질량지수, 콜레스테롤 및 GPT 등 6개의 요인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 69세 미만의 353명을 대상으로 간 초음파검사에 의한 간질환과 음주양태 등과 생활습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질환에 걸릴 확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2.1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 3회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이 간질환에 걸릴 확률은 주 2회 이하로 마시거나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약 2.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체질량지수인 사람이 비정상 체질량지수인 사람보다 간질환에 걸릴 확률이 0.52배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비정상인이 간질환에 걸릴 확률이 정상인보다 약 9.1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PT 수치가 비정상인 사람은 정상인보다 간질환에 걸릴 확률이 약 4.6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간질환을 진단하기 위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간 초음파검사가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

초음파 검사에서 성인의 다낭성 간질환에 대한 고찰 (Review of Adult Polycystic Liver Disease on Ultrasonography)

  • 심현선;정홍량;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17-223
    • /
    • 2008
  • 성인형 다낭성 간질환(adult polycystic liver disease, PLD)은 양성 질환으로 매우 드물고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신장질환(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eny disease, ADPKD)을 동반한다. 다낭성 간질환(PLD)은 간실질에 여러 개의 미만성 낭성질환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우성 유전성 질환이다. 간과 관련된 중요한 증상 또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복강경 또는 간을 절제하거나 또는 절제 없이 천공설치술을 포함하는 치료가 이루어지며 간이식도 할 수 있다. 본 고찰에서는 복부 불쾌감이 있는 성인형 다낭성 간질환을 경험하였기에 초음파 검사와 복부 CT 소견에 대해 참고 문헌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당뇨병과 간질환은 어떤 관계인가?

  • 백순구
    • 월간당뇨
    • /
    • 통권168호
    • /
    • pp.56-57
    • /
    • 2003
  • 당뇨병과 간질환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높은 발생 빈도를 갖는 만성질환이다. 두가지 질환을 같이 갖고 있는 환자를 많이 접할 수 있는데, 두 질환이 인과관계로 병존하기도 하고, 서로 관련 없이 각각의 질환을 앓는 경우도 있다.

  • PDF

흉부 영상에서 간질성 폐질환 검출을 위한 컴퓨터지원진단 시스템 연구 (A Study on Computer-Aided Diagnosis System for Interstitial Lung Disease in Chest Radiograph)

  • 김진철;송종태;이우주;이배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316-318
    • /
    • 2003
  • 간질성 폐질환(Interstitial Lung Disease) 컴퓨터지원진단(Computer-Aided Diagnosis: CAD)시스템은 방사선의사들이 흉부 X-ray영상에서 석회화와 섬유화를 탐지하고자 적용하였다. 진단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진율을 줄이고 간질성 폐질환이 존재하는 폐야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출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흉부영상에서의 간질성 폐질환을 검출하기 위해 폐 텍스처(texture)의 물리적 척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2차원의 푸리에 변환으로부터 얻어지는 파워스펙트럼(power spectrum) 분석에 기반을 두는 방법으로 각각의 ROI(Region Of Interest)에서 구한 평균제곱자승오차(Root Mean Sguare: RMS)와 파워스펙트럼의 첫 번갠 모멘트(Moment)는 폐 텍스처의 밀도변동의 크기(magnitude)와 섬세함(fineness)을 나타낸다. 실험결과 다양한 간질성폐질환을 가진 비정상 폐 텍스처의 RMS와 첫 번째 모멘트와는 차이가 있었다. 디지텔 흉부영상으로부터 계산되어진 정량화된 텍스처의 척도는 방사선의사의 간질성 폐 질환을 진단함에 효율적인 질환 탐지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특집 - 간수치가 높은 당뇨병환자의 관리법

  • 원규장
    • 월간당뇨
    • /
    • 통권220호
    • /
    • pp.10-11
    • /
    • 2008
  •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증가되어, 여러 장기에 합병증을 초래하여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만성 대사 질환이다. 당뇨병과 간기능의 효소 수치를 높이는 질환들인 비알코올성 간질환, B형 및 C형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등은 종종 병존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원인 및 임상적 의의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 PDF

알코올 남용자에 대한 Underwriting 선진화 방안 (A proposal for advanced underwriting method of heavy drinker)

  • 이범수;이경모
    • 보험의학회지
    • /
    • 제25권
    • /
    • pp.103-118
    • /
    • 2006
  • 근래에 한국의 생명보험 시장에는 주요 질병의 보장을 위한 상품들이 연일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증가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대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간질환에 의한 급부발생이 타질환에 비하여 현격하게 높은 국내 실정에 맞게 언더라이팅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간질환 유발인자로 대표적인 것은 B형 간염이지만, 과다한 알코올 섭취에 의한 간질환 역시 매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알코올에 의한 질환의 종류와 이와 관련된 보험금 청구 통계, 그리고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의 폐해에 대해 살펴보고, 알코올 남용자를 사전에 판별할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알코올 관련 질환으로는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이 있으며, 이로 인한 급부발생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음주로 인한 폐해는 단순히 간질환에 그치지 않고 있으며, 교통사고의 상당수가 음주와 관련이 되어있다. 이러한 리스크에 대해 국내의 상당수 보험사들은 혈액검사를 통하여 간기능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여 언더라이팅을 하고 있다. 현재 주로 시행되고 있는 간기능 검사들에 대한 정확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검사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보험을 가입하고자 하는 보험 대상자들은 직업이나 흡연, 위험 취미뿐만 아니라 알코올과 관련된 일정한 양식의 질문표에 대하여 성실하게 고지하도록 하고 있다. 국내에도 알코올과 관련된 자세한 고지항목을 첨부하여, 일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가입자에 대하여 표준미달체로 분류하여 보다 정밀한 검진을 통해 세밀한 언더라이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와 아울러, 알코올로 인한 사회적 폐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한 각 보험사 및 유관기관의 노력이 전개된다면, 음주에 대한 진사 절차가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의 정신사회적 측면 (The Psychosocial Aspect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김진성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1호
    • /
    • pp.3-10
    • /
    • 2000
  • 연구목적 : 저자는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의 정신과학적 측면과 사회학적 측면을 관찰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저자는 1966년부터 1999년까지의 Medline database에 등록된 B형 간질환에 관한 모든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와 관계되는 정신과학적 측면은 섬망, 전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기인하는 정신병(특히 조증), 불안, 우울, 적응장애, 알코올 남용과 의존, 및 약물남용과 의존 등이다.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와 관계되는 사회학적 측면은 간염보균자로서의 낙인문제, 감염과 연관된 죄책감, 증가된 가족들의 부담에 대한 죄책감, 대인관계의 소외와 철수, 성장애, 직업상실 및 의료진의 치료 거부등이다. 결론 : 만성 경과를 거치는 B형 간염환자의 여러 가지 정신과학적 사회학적 문제로 볼 때, 적절한 조기의 교육적 상담 개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적절한 교육적 상담 개입은 간염으로부터 간경화 간암으로의 진행과정에 B형 간염환자의 치료의 순응도를 높이고 나아가 악화의 과정을 예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