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질발작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뇌전증 발작재발과 뇌파검사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izure Recurrence and EEG for Epilepsy)

  • 채경민;성현호;김대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8-393
    • /
    • 2016
  • 뇌전증의 개념은 간질발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뇌변병으로 2005년에 정의 되었다. 2014년 국제항뇌전증연맹에서는 새로운 정의를 내렸으며, 10년 이내 재발 위험이 높다고 하였다. 뇌전증 발작재발의 중요한 위험인자로서 뇌파에서 IEDs의 존재는 발작 증상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뇌전증 환자에서 뇌파검사 소견과 IEDs에 따른 발작재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뇌전증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뇌파검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뇌전증 질환의 남녀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의 분포 차이는 있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연령에 따라 발작재발은 음의 상관관계였으며, IEDs에 따라 발작재발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연령은 발작재발에 10.9%의 영향을 나타내었고, IEDs는 발작재발에 1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뇌파검사는 임상에서 사용하는 뇌전증 진단에 매우 중요한 검사로 판단되며, 향후 보다 의미 있는 임상 자료가 되기 위하여 발병률에 따른 뇌파결과와 치료 중 뇌파결과와 발작재발 그리고 치료 후 발작재발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피질성 간질에서 발작기 $^{99m}Tc$-HMPAO 뇌혈류 SPECT의 간질병소 국소화 성능 (The Performance of Ictal Brain SPECT Localizing for Epileptogenic Zone in Neocortical Epilepsy)

  • 김은실;이동수;현인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이상건;장기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5-450
    • /
    • 1995
  • 신피질성 간질에서 발작기 뇌혈류 SPECT는 발작기 표면뇌파도를 기준으로 국소화했을때 67%의 국소화성능을 보였다. MR에 병변을 찾지 못한 57%(12예)에서도 혈류증가부위를 9예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리드삽입을 위한 수술부위 결정에 도움을 받은 경우가 MR에 나타난 병변유무와 상관없었다. 반면 MR에서는 43%에서 병변을 찾았다. 일부예에서 혈류증가부위의 확산을 관찰할 수 있었고 드물게 확산이 반대쪽 반구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국소화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수술후 간질발작이 가라앉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준거로 성능비교 연구를 확장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 PDF

신경망과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뇌전도의 간질 극파 검출 (The Detection of Epileptic Spikes in EEG using Neural Network)

  • 최혜원;이성수;윤영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5-560
    • /
    • 1999
  • 간질은 신경세포의 일부가 짧은 시간동안 과도한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일어나는 신경계의 발작적 증상으로 배경 활동파와는 구별되는 극파, 예파, 예파와 서파를 동반한 극서파 복합(sharp and slow complexes)의 뇌파 특징파를 갖는다. 장시간의 뇌파기록에서 시간의 절약과, 정량화를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간질 파형의 자동 검출은 객관성을 높이고 정량적인 해석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질 뇌파를 검출하기 위해 웨이브렛 변환과 신경망을 사용하였다. 웨이브렛 변환은 잡음을 제거하고 간질 뇌파의 특징을 강조하며 신경망의 입력노드수를 줄였다. 전문가에 의해서 분류된 간질특성과 정상뇌파를 신경망에 입력시켜 최적의 신경망구조를 선택하였고, 검출 문턱치를 설정하였다. 신경망은 200ms(26개의 데이터포인트)신호의 웨이브렛 결과와 웨이브렛 변환후 데이터 상의 최대, 최소 기울기가 입력되어 전체 28개의 입력 노드로 구성하였다. 은닉층은 18노드, 문턱치값은 민감도와 선택도가 일치하는 0.65가 사용되었다. 결과로 임상 환자 데이터에 입력되어 78.54% 의 검출률을 보였다.

  • PDF

VRML을 이용한 융합 영상에서 간질환자 발작 진원지의 3차원적 가시화와 위치 측정 구현 (Visu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Fusion Image Using VRML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Epileptic Seizure Focus)

  • 이상호;김동현;유선국;정해조;윤미진;손혜경;강원석;이종두;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1호
    • /
    • pp.34-42
    • /
    • 2003
  • World Wide Web (WWW)에서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를 이용하는 3차원 (3D)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제공해 준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해부학적 영상과 융합되는 기능적 영상의 3D 가시화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2D 영상들과 함께 웹에서 VRML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3D 해부학적 표면 영상들과 기능적 표면 영상들을 동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하고 VRML을 통해 만들어진 거리 측정 도구를 가지고 관심영역의 공간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간질 환자로부터 Magnetic Resonance (MR) 축면 영상과 발작기 및 발작간기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축면 영상들을 각각 획득하였다. 발작 진원지의 확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subtractionictal SPECT coregistered to MRI (SISCOM)을 수행하였다 SISCOM 결과로 나타난 각 2D 영상들은 모든 voxel들의 평균값 위로 1-표준편차와 2-표준편차에 해당하는 문턱 이상의 영상 값을 갖도록 하였다. SISCOM으로 나타나는 간질 발작 진원지들과 MRI 영상에서 회색질, 백색질 및 뇌척수액의 경계들을 각각 분할하고 marching cube 알고리즘에 의해 VRML 표면 영상들로 나타내었다. 축면 영상에서 실제 거리를 나타내는 x, y축의 길이를 획득하고 z축선의 길이를 계산하였다. VRML을 이용한 거리 측정도구를 만들어 이전의 VRML 표면 영상들과 융합하였다. MRI 영상을 이용하여 3D 표면 영상들의 단면을 나타내고 3D 표면 영상들의 투명도를 설정하기 위해 Java Script 루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로서 삽입하였다 웹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3D 표면 영상들의 투명도와 관찰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모델들 사이의 공간적인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다. 간질 발작 진원지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3D 표면 영상들을 가로지르는 MRI 평면 영상들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간질 발작 진원지는 뇌의 오른쪽 측두엽에서 나타났고 공간적으로 발작 진원지의 실제 위치를 VRML 거리 측정 도구에 의해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웹에 근거한 3D 융합 영상의 가시화와 위치 측정은 진단 및 치료 방사선학과 외과학 등의 분야에서 온라인 방식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수면시 발생하는 비간질성 발작 - 간질 발작과의 비교 - (Non-epileptic paroxysmal events during sleep - Differentiation from epileptic seizures -)

  • 이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26-731
    • /
    • 2007
  • This review describes the wide spectrum of paroxysmal events during sleep in infancy and childhood.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sleep-related non-epileptic paroxysmal events and epileptic seizures is difficult in special occasions. The nocturnal frontal lobe seizure and of the more common nonepileptic paroxysmal events during sleep are described. The main differentiating features characterizing parasomnias are: onset in early childhood, rare episodes of long duration, relatively lower frequency per night, absence of stereotypy, gradual disappearance of older age. Video-polysomnography is the gold standard to diagnosing and differentiating parasomnias from nocturnal frontal lobe seizures.

소아에서 급성 복증으로 오진될 수 있는 복성 간질 (Abdominal Epilepsy Misdiagnosed as Acute Surgical Condition in Childhood)

  • 심우신;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권2호
    • /
    • pp.170-176
    • /
    • 1995
  • 저자들은 발작적인 복통 혹은 주기적인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8~11세의 소아 4명에서 임상 및 뇌파 소견을 종합하여 '복성간질'로 진단하고 항경련제로 치료하여 증상이 호전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소아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작적인 복통 혹은 구토가 계속될 때 복성 간질을 고려하여 뇌파 검사를 시행하고 항경련제의 투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Kainate 유발 간질중첩증 모델에서 topiramate가 해마 신경세포사와 glutamate 수용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piramate on Hippocampal Neuronal Death and Expression of Glutamate Receptor in Kainate-induced Status Epilepticus Model)

  • 박민정;하세운;배혜란;김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05-512
    • /
    • 2005
  • 신경흥분독성과 간질발작발현은 glutamate 수용체활성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a-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ate (AMPA), kainate 수용체에 대한 glutamate 활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전을 가진 항전간제인 Topiramate는 신경보호작용을 가진다는 증거가 제시되어 Topiramate가 간질발작 후 해마의 glutamate 수용체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흰쥐에 kainate를 복강 내 주사하여 간질중첩증을 유발시킨 후 Topiramate를 1주일 주사하였다 Apop tag in situ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세포손상을 관찰한 결과 kainate 유발 간질중첩증 1주일 후 해마의 CA1, CA3에서 심각한 세포사를 보였으나, Topiramte 처리 군에서는 세포사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질중첩증 이후 NMDA 수용체 아형 1,2a, 2b 발현이 현저히 증가했으나 Topiramate 처치에 의해 NMDA수용체의 발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AMPA수용체에서는 GluR1이 간질중첩증 이후 현저히 상향 조정되었고 GluR2는 현저히 하향조정 되었다 Topiramate 1주일 처리 시 간질중첩증으로 인해 변화된 CluR1과 GluR2의 발현이 역전되었다. 결론적으로 Topiramate는 간질중침증에 의한 CluR1/CluR2 발현비의 증가로 유발되는 흥분성 신경세포사를 억제시킴으로써 신경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세 여아의 심인성 발작 1례 (A CASE OF 11-YEAR-OLD GIRL WITH PSYCHOGENIC SEIZURE)

  • 노경선;손석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144-149
    • /
    • 2000
  • 심인성 발작은 신경과 및 정신과 임상에서 가끔씩 접하게 되는 질환으로서 진성 간질성 발작과의 감별진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정신과의사는 면밀한 환자의 병력청취, 임상양상 관찰 등을 통하여 확진 전 단계에서 심인성 발작을 어느 정도 진단내릴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11세 여아의 심인성 발작 증례를 경험했는데, 심리환경적 스트레스가 명확했고, 임상특징이 일치 했으며, 신속한 검사와 정신과적 중재에 의해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증례로 볼 때 소아기 심인성 발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뇌파 검사 외에도 철저한 가족배경 조사 및 병력청취와 정신교육학적 중재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복합 열성 경련 후 간질 발생 환아의 임상적 고찰; 단기 추적 관찰 결과 (Unprovoked seizures in children with complex febrile convulsion; short-term outcome)

  • 최지연;천은정;이영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57-760
    • /
    • 2007
  • 목 적 : 열성 경련은 간질과는 구별되는 양성 질환이지만 복합 열성 경련에서는 간질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 열성 경련의 정의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간질 이행의 발생률이 증가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열성 경련으로 건양대학교 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정보는 의무 기록 분석과 부모와의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2000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열성 경련으로 본원을 내원한 환아는 314명이었으며, 이 중 복합 열성 경련으로 진단받은 환아는 63명(20.0%)으로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은 44명(44/63, 70.0%)에서 가능했다. 평균 $34.2{\pm}11.6$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동안 10명에서 간질이 발생하였고, 부분 발작(57.1%)을 한 경우가 2회 이상(26.7%) 또는 15분 이상의 경련(24.1%)과 비교하였을때 더 높은 간질 발생률을 보였다. 결 론 : 복합 열성 경련이 있는 환자에서 첫 열성 경련의 양상이 부분 발작의 형태로 나타난 경우에 이후 간질 발생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