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접 측정

검색결과 1,016건 처리시간 0.027초

드론 연계 무인 IoT 수질 측정기 개발 방향 (Development schemes of IoT Water Quality Metering device linked with a Drone)

  • 이동섭;성호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3-223
    • /
    • 2020
  • 하천 조사에 드론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시설 조사 및 하천 물리량 간접 계측 등에 있어서 활용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드론을 이용한 하천시설 및 하천 조사는 주로 광학 영상에 기초한 간접 계측을 중심으로 활발히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적용하는 임무장비를 확장하여 초분광카메리나 LiDAR 등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기술의 개발도 역시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통해 하천 조사에 있어서 간접 계측의 정확도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의 편리성이나 활용성에 비해 정확도 향상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으며, 간접 계측에 의한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직접 계측 결과와 비교를 통한 검보정이 필수적이다. 직접 계측은 첨단 계측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아직까지 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으며, 측정 효율이 여전히 떨어지고 있어 간접 계측의 편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의 간접 계측이 편리성 및 활용성, 정확도를 올리 수 있는 무인 IoT 수질 측정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무인 IoT 수질 측정기는 드론에서 측정한 자료 검보정 자료 획득을 목표로 하며, 드론으로 측정한 지역에 대한 데이터 검보정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측정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현재 이용 가능한 IoT 통신 모듈의 적용성 및 통신 거리를 고려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전송을 고려하여 개별 통신 규약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각종 표준을 검토하였다. 통신을 위한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저전력 통신 모듈을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하천의 특성을 고려한 수질 측정 지점 결정을 위한 측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 PDF

소형 왕복동식 압축기 셸에 가해지는 가진력의 간접적 측정

  • 김성진;강경식;심재술
    • 소음진동
    • /
    • 제7권6호
    • /
    • pp.899-908
    • /
    • 1997
  • 본 글에서는 소형 압축기 셸과 같은 비교적 복잡한 기계 구조물의 간접적 입력 측정에 대한 결과 및 직접 측정과의 비교를 기술하였고 다수 응답의 동시 측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코자 기준점을 이용한 전달함수의 측정 방법을 제시 하였다. 하부 빈 셸에 대한 실험 결과, 압축기의 셸과 같은 비교적 복잡한 구조물에 대해서도 간접 입력 측정을 상당한 신뢰성을 갖고 시도할 수 있으며 특히 공진점이나 영점 부근에서의 추정 오차는 측정점의 갯수를 증대시킴으로써 크게 개선 시킬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영양소와 열량측정법의 발달과정 및 간접 열량 측정법 (Historical Development of Nutrient and Calorimetry and Expired Gas Analysis Indirect Calorimetry)

  • 윤병곤;김종원;김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159-1165
    • /
    • 2010
  • 간접 열량측정법은 호흡 시의 산소 소모량이나 이산화탄소나 질소의 배출량을 측정해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고, 산화작용의 열 방출량(칼로리소비)을 산출하여 측정한다. 지난 20년 내에 간접 열량측정법에서 사용된 laboratory와 computerized 시스템은 현저하게 발전되었으며, 특히 매 호흡의 변인의 산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호흡당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되었다. 많은 이전의 연구에서 호흡당 시스템은 간접 열량측정도구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아 실험에 적합하다고 평가 하였다. 본 연구는 간접 열량측정법의 가장 적합한 호흡당 시스템을 분석하고자 한다. 하지만 다른 모든 호흡당 간접열량측정계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연구에서는 호흡당 간접열량측정계의 가장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적합한 측정도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전력선 통신 채널의 간접 잡음 측정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for Indirect Channel Noise Measurement in Powerline Communications)

  • 손현일;오휘명;이재조;이원태;김관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11-261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통신 채널의 간접 잡음 측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주위 환경에 의한 Noise 및 여러 통신매체에 의한 방해전파에 의해 전력선 통신 채널은 송신 측의 고출력 요구와 가능한 전력선 통신의 대역폭이 감소하는 악화된 통신환경을 보여 준다. 이러한 Noise를 측정하는 방법은 Coupling Capacitor를 이용한 직접 측정 방식과 이동 측정 장치를 이용한 간접 측정 방식이 있다. 전자는 광범위한 측정지역과 측정장비의 설치 등에서의 번잡함으로 효과적인 Noise 측정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식의 Noise 측정 결과의 비교 및 검토를 통해 이동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식의 장점과 보완할 점을 검토였으며, 특히 직접 측정 방식과의 결과 값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상관관계 분석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 PDF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에서의 간접접촉 오른발 구동 접지 성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of Indirect-contact Driven-right-leg Ground in Indirect-contact ECG Measurement)

  • 임용규;김고근;박광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0-287
    • /
    • 2008
  • 간접접촉 심전도(IDC-ECG) 측정에 공통 모드 잡음을 줄이기 위해 오른발 구동(Driven-right-leg) 접지 방법을 적용하고 그 접지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최근에 소개된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 기술은 전극과 인체 피부간의 직접 접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정에서의 장기간 무구속 심전도 측정에 적합한 측정방법으로서 현재 다양한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간접접촉 심전도는 전원선에 의한 60Hz 잡음이 기존 측정 방법보다 크게 발생하여, 응용 범위의 확대에 제약 조건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심전도 측정 방법에 사용되는 오른발 구동 접지 방법을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 방법에도 적용하여, 공통모드 잡음 성분을 반전 증폭하여 의자 좌판(seat)에 깔린 전도성 직물을 통해 인체에 feedback하였다. 이로써 피부와 직접 접촉이 없는 간접 접촉 방식의 오른발 구동 접지를 구현하였으며, 이 접지가 안정적으로 동작되고, 오른발 구동 이득이 약 1000정도에서 40dB 수준의 전원 잡음 감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간접접촉 심전도의 주파수 대역을 기존의 30Hz이하에서 100Hz 수준까지 높일 수 있게 되었으며, 접지 임피던스를 높일 수 있게 되어 간접접촉 심전도의 응용 분야를 더욱 넓힐 수 있게 되었다.

  • PDF

Spectrum Analyzer를 통한 미세 방전 플라즈마 밀도측정

  • 조태훈;윤명수;박인규;유하진;최은하;조광섭;권기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6-136
    • /
    • 2010
  • 일반적인 플라즈마의 밀도측정에는 랑뮤어(Langmuir)탐침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미세 방전 플라즈마는 이러한 방법으로는 측정이 너무 어려워서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간접측정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려진 간접 측정방법과는 다른 방식인 spectrum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해 보았다. LCD에서 사용되는 BLU(Back Light Unit)lamp와 PDP panel을 각각 측정하여 기존의 간접측정 방법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 PDF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재사용성 측정 메트릭 (Software Component Reusability Metrics)

  • 박인근;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6호
    • /
    • pp.760-772
    • /
    • 2004
  • 소프트웨어의 개발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생산을 위해서 현재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CBD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높여 주며 개발기간 단축과 개발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산업계에서는 맡은 부분을 컴포넌트로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해서 얼마나 품질이 좋은지, 또한 얼마나 재사용성이 있는가에 대한 검증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품질 중 재사용성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재사용성의 측정 방법은 크게 간접적인 측정 기준과 직접적인 측정 기준으로 구분한다. 직접적인 측정 기준은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클래스들과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들을 조사해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컴포넌트의 크기, 복잡도, 결합도, 응집도 등을 측정한다. 간접적인 측정 기준은 이러한 직접적인 측정기준을 가지고 측정이 되는 기준으로서 이해도, 적용가능성, 수정가능성, 모듈화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간접적인 측정은 궁극적으로 재사용성의 측정에 사용이 된다. 이러한 직접적인 측정기준과 간접적인 측정을 이용해서 재사용성에 대한 측정을 해본 결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측정값이 재사용성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량성 결합 능동 전극의 공통 모드 구동 차폐 (A Study on comnon-mode-driven shield for capacitive coupling active electrode)

  • 임용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1-206
    • /
    • 2012
  •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Indirect-Contact ECG)은 일상생활에서의 무구속 무자각 측정에 적합한 심전도 측정 방법이다. 본 연구는,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에서 크게 관측되는 60Hz 전원선 잡음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공통모드 구동 차폐 방식을 제안하였다. 공통 모드 구동 차폐 방식은, 간접 접촉 심전도에서 사용되는 용량성 결합 능동 전극(Capacitive coupling active electrode)을 둘러싼 전기적 차폐(electric shield)의 전압을 공통 모드 전압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공통모드 전압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의복 임피던스 차에 의한 공통모드 전압의 차동 모드 전환에 의한 잡음은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두 전극 사이의 의복의 임피던스 차이가 커서 공통 모드 전원 잡음이 심각한 간접 접촉 심전도 측정에서, 효과적으로 공통 모드 잡음을 줄일 수 있다. 실제 간접 접촉 심전도 측정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로 이론적 예상보다는 60Hz 잡음 감소비가 적었지만, 60Hz 잡음이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의복 임피던스 차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예상대로 잡음 감소비가 커짐을 볼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은 접지 특성이 좋지 않은 측정 조건에서 전원 잡음을 줄이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양가감정 탐색 (The Ambivalence of Adult Children Toward Elderly Parents)

  • 문정희;안정신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409-429
    • /
    • 2014
  • 본 연구는 기혼 성인남녀 410명을 대상으로 노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양가감정을 묻는 직접측정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고 그 다음 직접측정과 간접측정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 성별에 따라 부모특성, 자녀특성, 관계특성이 노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양가감정 직접측정 척도 개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이론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9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직접측정과 간접측정 간의 상관관계는 부모와 자녀 성별에 따라 r=.54(p<.000)에서 r=.62(p<.000) 범위를 나타내었다. 친밀감, 갈등, 관계만족도에 직·간접측정이 미치는 영향력은 아들, 딸 모두 갈등에는 간접측정의 영향력이 더 크고, 친밀감과 만족도는 직접측정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특성, 자녀특성, 관계특성이 양가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간접측정보다 직접측정의 설명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들의 경우 어머니에 대해서는 부양의무감이, 아버지에 대해서는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딸은 어머니에 대해서는 본인 나이, 아버지에 대해서는 아버지 나이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서구 및 중국의 연구결과와 비교했을 때 유사성 및 차별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한국적 상황에서 부모-자녀관계에서 양가감정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논의되었다.

Hydro-Geophone을 이용한 소류사 간접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bedload indirect measurement using Hydro-Geophone)

  • 최종호;전계원;윤영호;장창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1-181
    • /
    • 2016
  • 우리나라의 유사량 조사는 각각의 수문조사기관에서 자료의 이용 목적에 따라 간헐적으로 수행되고 있을 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타 수문자료에 비해 측정자료 구축 현황은 상당히 미비한 상태에 있다. 측정 자료 또한 부유사 실측자료는 있으나 소류사 측정자료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총 유사량을 산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소류사량을 산정하기 위해 경험식에 의한 방법과 실측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측에 의한 방법은 측정 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위험성이 동반되고 많은 인력, 경비, 시간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고, 경험식에 의한 방법 또한 대상 유역에 수많은 경험식 중 어떤 공식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결과 값이 수십에서 수백 배 이상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실제 그 결과 값을 활용하기에는 신뢰의 정도가 떨어진다. 최근 국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음향 및 진동의 원리를 이용하여 소류사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관측기기인 Hydrophone 및 Geophone이 개발되어 실용화를 위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류사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은 기존의 직접측정 방법에 비해 측정이 간소화되고 지속적적인 관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역의 소류사이동의 양과 질을 파악하는데 유효한 수단인 것으로 국외의 연구사례에서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류사 이동시 충돌에 의한 음향정보를 계측하여 소류사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Hydro-Geophone을 활용하여 실내 실험을 구축하고, 소류사 이동에 따른 Hydro-Geophone의 충돌음향 계측 및 분석 등을 통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소류사 추정 관계식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