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접 뜸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간접 뜸 자극의 뇌파 평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 Variations of EEG for the Indirect Moxibustion Stimulation)

  • 송홍복;윤동업;박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914-1922
    • /
    • 2008
  • 한의학의 뜸 요법은 잘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도 쑥을 연소하여 시술하는 고전적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체의학의 뜸 기기 개발에서, 뜸에서 반응하는 인체의 특징 및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뜸 요법에 대한 뇌파변화를 고찰하고자, 자극을 가하지 않은 무자극 대상군과 간접 뜸 방식을 적용한 대상군으로 나누어, 뜸 자극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관원(CV4), 신궐(CV8), 그리고 중완(CV12)의 경혈 점에 자극을 주어 뇌파 변화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Observation of Complete Blood Count and Biochemical Parameter after Indirect Moxibustion(CV4, CV8) in Healthy Adults

  • Son, Chang-Gue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7권1호
    • /
    • pp.23-3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간접구의 안전성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설계 : 50명의 건강한 성인을 무작위 배정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4주간 (일주일에 3회) 신궐혈과 관원혈에 뜸을 시술하였다. 시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은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제로 처리한 뜸으로 동일한 부위에 시술하였다. 첫 시술 1시간 전과 마지막 시술 1시간 후에 공복상태에서 채혈을 하여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혈액학적 검사에서 적혈구와 총 백혈구 및 백혈구의 종류별 절대수치와 상대수치에서 두 그룹 간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청학적 검사에서 총 단백질, 알부민, AST, ALT, ALP, GGT, LDH,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비교에서도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건강한 사람에서 간접구의 시행 후 혈액학적 안전성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으로서, 향후 뜸의 연구를 수행시 중요한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온구기의 연소 특성에 관한 고찰 (Thermal Properties of Indirect Ceramic Moxibustion)

  • 임진웅;김현호;박영배;이상훈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9-14
    • /
    • 2012
  • 목적 : 뜸 연소 실험을 통해 간접구의 일종인 온구기의 연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 온구기를 유리판 위에 놓고 연소하여 50분간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20개의 뜸봉을 연소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균 온도, 최고 온도, 최고 온도 도달 시간, 최고 온도 지속 시간을 계산하였다. 또 혈류량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온도($38^{\circ}C$)에 도달하는 시간, 그 이상의 온도로 지속되는 시간, C-fiber의 활성화를 통해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온도($42-50^{\circ}C$)에 도달하는 시간과 그 범위 내의 지속시간을 계산하였다. 결과 : 평균 최고온도는 $50.4^{\circ}C$이고 평균 도달시간은 1,007초, 평균 지속시간은 27초였다. 평균최고 온도는 보고된 다른 간접구와 유사하였으나 평균 도달시간은 더 길었다. $38^{\circ}C$에 도달하는 평균시간은 410초이고 지속 시간은 1,813초였다. $42-50^{\circ}C$에 도달하는 평균시간은 521초이고 지속시간은 990초였다. 결론 : 온구기는 연소 특성이 보고된 다른 종류의 뜸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열자극이 가능하여, 뜸치료의 임상 활용의 폭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접 뜸 자극에 관한 EEG 분석 (A Study of EEG Analysis for the Moxibustion Stimulation)

  • 박동희;윤동업;조봉관;송홍복;김영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70-174
    • /
    • 2007
  • 뇌파에 관한 연구는 의학 및 공학 분야에서 많이 활성화 되어 있지만, 침구학에서의 뇌파분석에 과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침구요법 중 간접 뜸 자극에 의한 뇌파를 분석하고 자율신경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은 간접 쑥 뜸을 인체의 중완, 신궐, 관원의 경혈 점에 자극하고, 자극 전, 자극 중, 자극 후 1시간, 그리고 자극 후 2시간 일 때의 뇌파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데이타는 Matlab 7.0을 이용하여 FFT 및 주파수 파워 스펙트럼을 적용하여 ${\alpha}$, ${\beta}$, ${\delta}$, ${\theta}$파 성분을 자극 단계별로 나누어 주파수 각 성분 비율의 변화, 그리고 진폭의 크기변화량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EEG 데이터를 FFT를 적용하여 ${\alpha}$, ${\beta}$, ${\delta}$, ${\theta}$파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alpha}$파가 자극 전보다 자극 후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의 파워스펙트럼 분석에서 ${\alpha}$파, ${\beta}$파의 에너지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므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기존 연구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간접 뜸 자극은 자율신경계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alpha}$파의 비율적 증가로 긴장 상태나 스트레스 상태의 사람에게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중완, 신궐 및 관원 경혈의 뜸 자극과 무 자극 대상군의 16채널 뇌파 변화에 관한 연구 (EEG 16 channel variations between the non-stimulation and the moxibustion stimulated subjects for CV4, CV8, and CV12 acupuncture points)

  • 윤동업;송홍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755-27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뜸 자극을 가한 대상군과 자극을 가하지 않은 대상군의 뇌파를 분석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험하였다. 뜸 자극은 뜸 링을 사용하는 간접 뜸 자극 방식을 적용하였고, 뇌파는 국제10-20전극법을 적용하여 16채널 쌍전극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alpha}$, ${\beta}$, ${\delta}$, ${\Theta}$파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구하고, 16채널 전체를 평균한 뇌파변화추이와 16채널 각각의 뇌파변화추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완, 관원, 신궐의 뜸 자극은 체표감각신경의 반응에 따라 두정엽(ch 2, 3, 6, 7)의 뇌파신호가 낮았고, 무 자극 대상군과 뜸 자극 대상군의 큰 차이는 후두엽(ch 4, 8)의 변화로 뜸 자극 시 온화한 온열 ($42{\sim}44^{\circ}C$)자극에서 ${\alpha}$파 증가와 ${\beta}$파 감소, 약간의 뜨거움($45{\sim}48^{\circ}C$)의 반응 시 ${\alpha}$파 감소와 ${\beta}$파 증가의 반응이 있었다. 그리고 자극 후 1시간에서 ${\beta}$, ${\delta}$, ${\theta}$파 감소와 ${\alpha}$파의 증가로 정신생리 향상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