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접접근방식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의 기업 PR 수단 및 활동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일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Japanes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orporate: Public Relations Means and Activities in Korea)

  • 선혜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4권
    • /
    • pp.63-97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의 기업 PR 수단 및 활동의 발전과정에 미친 외적요인을 일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업 PR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경우 CIP 도입과 수용, 기업 PR광고, 사보를 중심으로, 기업 PR활동의 경우 기업재단을 통한 사회공헌활동과 경제계 PR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업 PR과 관련하여 기업 PR 활동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 기업의 PR 활동의 강조점과 커뮤니케이션 수단 활용 측면의 고찰을 통해 일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PR 발달사적 측면에서 기업 PR관련 영역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상황과 일본의 상황 비교를 통해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문제들에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서의 기업 PR 수단 및 활동영역의 발전과정에 일본이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 기업 PR의 시작과 발전은 PR 이론과 PR 실무 및 관행 측면에서 많은 부분 PR의 발상지며 종주국인 미국의 것을 받아들였음은 이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미국으로부터의 직접적 경로가 아닌 일본을 통한 간접적 도입의 형태로 일본에서 도입 발전된 방식으로 한국에서 수용 발전되었다 하더라도 미국의 영향이 존재함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 PDF

침적 해양폐기물 수거사업과 자원 및 해양환경 조사사업의 연계방안에 대한 고찰 (Study on Linking a Submerged Marine Litter Collection Project to a Marine Environment and Resources Investigation Project)

  • 김정협;장철호;김광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4-65
    • /
    • 2012
  • 최근 들어 어업세력은 경제성 악화로 인해 계속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상황에 처해 있으며, 생활수준 향상과 주5일 근무로 인한 해양 레저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침적 해양폐기물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매립, 간척사업 등으로 인해 어장의 면적은 계속해서 축소되고 있으며, 육상과 해상에서 기인한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해양오염으로 어장 파괴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정부는 어장을 보호하고 어업 여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적 해양 폐기물 수거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해양환경과 자원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바다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가시적인 해양환경과 어업여건의 개선에 대한 결과들을 얻기까지에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2004년 7월부터 2013년까지 10년 동안 약 3천억 원을 투자해서 해양환경 조사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어, 효과적인 성과들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인 접근에 의한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일반시민과 정부에서 점차적으로 해양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해양환경 관련 조사사업들을 진행하는 연구기관들은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관련 사업들과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해양환경 및 자원조사와 침적 해양폐기물 수거사업이 동일해역에서 상호 협의된 조사항목에 대해 병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면 해양환경과 어업여건의 개선과 더불어 비용 효과적 결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 신뢰가 지각된 위험과 자아효능감을 통한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Trust through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on Brand Trust)

  • 나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8-69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이 브랜드 신뢰를 높이는 방법으로 소셜미디어 신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브랜드 진정성과 연결하여 지능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찾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소셜미디어 신뢰의 구성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접근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신뢰와 이를 구성하고 있는 정보원 신뢰 그리고 메시지 신뢰의 연구변인에 대하여 개념적 정의를 내리고, 둘째, 개념적으로 정의된 두 개 독립변인과 지각된 위험과 자아효능감의 매개변인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셋째, 소셜미디어 신뢰의 매개변인인 지각된 위험과 자아효능감을 통해서 브랜드 진정성 그리고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연구변인들 간 인과관계의 검증결과를 통해서 소셜미디어 신뢰로 하여금 브랜드 신뢰를 효과적으로 제고시켜 가는데 어떠한 영향력을 제공하는가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는 표본들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3과 AMOS 23을 사용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연구변인의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성분석,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검증된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미디어 신뢰의 연구변인들과 매개변인 그리고 종속변인 간 직·간접적 인과관계의 유의성 검증하여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산불위험지수 지역최적화를 통한 2022년 북한산불 사례분석 (Regional Optimization of Forest Fire Danger Index (FFDI) and its Application to 2022 North Korea Wildfires)

  • 윤유정;김서연;최소연;박강현;강종구;김근아;권춘근;서경원;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847-1859
    • /
    • 2022
  • 북한에서 발생한 산불은 비무장지대 등으로 남하하는 경우 우리나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 접근불능 지역인 북한의 산불위험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기상자료 기반의 지역 최적화된 산불위험지수 Forest Fire Danger Index (FFDI)를 산출하고, 2022년 4월 북한 고성군과 철원군의 산불 사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발화일 당시 FFDI가 각각 위험등급 Extreme과 Severe 구간에 해당하여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불 발생 전후의 위험도지도와 토양수분지도를 정성적으로 비교한 결과 상호 관계성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토양수분, 표준화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식생수분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등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산불발생위험지수의 개선이 필요하다.

지하공동구 내 무선 네트워크 환경구축을 위한 무선채널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reless Channels to Construct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 이병진;정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7-34
    • /
    • 2024
  • 지하 공동구 화재 발생에 따른 직·간접적 피해는 사회 전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하 공동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하여 화재 침수 등의 재난을 예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각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플랫폼까지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망이 필요하다. 본질적으로 지하 공동구 터널이 외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 범위가 부족하여 지하 공동구 환경에서 무선망을 적용하기 위한 분석이 필요하며, 지하 공동구 내에는 송, 배전 케이블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파 간섭, 내부의 구조물, 장애물 및 수도관 등의 금속 재질 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난반사 등으로 인해 무선 신호가 왜곡되거나 크기 감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센싱을 통한 원격 감시, 모니터링 작업을 위한 실시간 연결을 보장하려면 지하 공동구 내에 무선 범위를 측정하고 분석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동구 내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음영지역을 최소화고, 공동구 내부에서 무선환경 연결에 문제가 없도록 실제 공동구 환경을 측정하였으며, 지하 공동구 지형별 각 구간에 따른 데이터 전송속도 및 신호의 세기, 신호 대 잡음비를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지하 공동구에서 무선 네트워크 설치를 위한 적절한 무선 계획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 (The success and failure of non-regular workers' struggles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strength)

  • 조돈문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9-176
    • /
    • 2011
  • 민주노조운동과 노동계급 형성의 후퇴기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투쟁과 함께 새로운 계급형성의 잠재적 주체로 등장했다. 하지만 주체 형성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투쟁은 성과를 내지 못했는가? 어떤 변인들과 인과적 메커니즘을 통해 투쟁의 성과가 결정되는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규직 투쟁에 비해 비정규직 투쟁은 자본의 공세에 대응하는 수세적 방어적 성격이 짙고, 생산현장 접근성 제약으로 파업 투쟁 이외의 방식에 의존하며, 사측의 비타협성으로 인해 장기화되고, 교착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극단적 투쟁 방식에 호소하며, 정규직 연대 확보가 어려워 외부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비정규직 투쟁은 승리보다는 패배, 조직력 강화보다는 약화로 귀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패배 경향성을 상쇄하고 승리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주체들의 조직 동원 역량과 정규직 노조의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며, 강력한 사회적 연대나 위치적 권력은 정규직 연대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투쟁이 조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투쟁의 승리가 필요하지만 투쟁의 승리로 쟁취한 정규직화가 승리의 덫이 될 수도 있다. 정규직 노조의 연대와 투쟁 주체의 내적 통합은 비정규직 투쟁이 승리하고 조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쟁을 전개하는 부분은 비정규직 노동자들 가운데 조직력이 가장 강한 부분인데 이들이 투쟁 과정에서 조직력 위축 혹은 조직 와해를 겪으면서 비정규직 주체 형성을 어렵게 한 것이다. 하지만, 비정규직 투쟁이 없었더라면 자본의 공세가 그대로 관철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비정규직 투쟁은 적어도 자본의 공세를 약화 혹은 지연시킨 효과는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형 설정자 역할의 부담 속에서 강경투쟁 전략과 양보타협 전략 사이의 투쟁 전략 딜레마는 투쟁 주체의 분열을 심화하여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정규직 투쟁의 실천적 함의는 비정규직 투쟁의 궁극적 목표를 노동계급 형성을 위한 주체형성으로 재정의한다면 비정규직 투쟁의 전략적 목표는 당면 요구조건의 완전한 쟁취보다 조직의 보전 강화에 두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