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각성상태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al-time classification system of emotion image using physiological signal (생리신호에 의한 감성 이미지 실시간 분류 시스템 개발)

  • Lee, Jeong-Nyeon;Gwak, Dong-Min;Jeong, Bong-Cheon;Jeon, Gi-Hyeok;Hwang,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32-2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감성을 평가하여 각성 또는 이완으로 분류된 시선 정보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감성을 분류하기 위한 요소는 Larson과 Diner 가 정의한 2 차원 감성모델에서 각성, 이완 요소를 사용한다. 감성 상태를 분류하기 위하여 자율 신경계 중 착용과 휴대가 간편한 PPG 센서를 사용하며, PPG 를 분석하기 위한 변수로는 진폭의 양과 초당 Peak 의 빈도수를 사용한다.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 정보를 획득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획득된 시선 정보를 UDP 통신을 사용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320(pixel)*240(pixel)*32(bit)인 영상 데이터를 1/30 로 압축하여 전송하며, 각성과 이완으로 분류되는 시점의 영상을 블록화하여 JPEG 이미지로 저장한다. 본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여 이미지를 전송하고 서버 컴퓨터에 저장함으로써 당시 사용자가 느꼈던 감성들에 대해 피드백을 주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Measurement of arousal level based on the change of electrodermal activity. (피부전기활동 변화에 의한 각성도의 측정 (1))

  • Ko, Han-Woo;Lee, Wan-Kyu;Lee, Gun-Ki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5 no.05
    • /
    • pp.195-199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피부전기반사를 이용하여 각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전기활동의 변화가 뇌파를 동시에 측정하여 각성수준의 변화에 따른 세 측정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측정에 따른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각성도 측정 및 평가와 모니터 개발 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피부임피던스 만을 이용한 수면상태 판정은 불완전하며 피부임피던스 반사도 포함하면 더욱 정확한 판정을 할 수 있슴을 밝혔다.

  • PDF

각성-졸림 과도기 생리신호 분석 연구

  • 김원식;박세진;신재우;윤영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220-225
    • /
    • 1997
  • 졸음에 의한 순간적 과오는 자동차운전을 비롯한 각종 산업안전에 인명피해를 포함하는 치명적 손실 을 수반한다. 따라서 이분야에 대한 연구가 국내를 포함한 전세계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상업화가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실용적 차원에서 주로 피부전기활동(Electrodermal Activity: EDA)과 눈 깜박임 등의 측정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졸음의 첫 지시치로서 중요하고 객관적인 각성-졸음 과도기 뇌파를 포함하는 수면 다원생리신호 측정에 관한 연구는 이 방법이 피험자에게 구속성을 주고 측정 자체가 까다로워서 현실적으로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Medilog SAC847 Polysomnography를 이용한 수면에 관련된 종합적 생리신호를 측정.분석 연구해온 경험을 토대로 정상적인 성인의 각성-졸음 과도기 생리신호특징으로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EEG), 턱 및 다리근전도(Electromyogram:EMG), 심전도( Electrocardiogram:ECG), 안전도(Electrooculogram:EOG)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졸음상태가 각성상 태에 비하여 EEG의 주파수는 감소하고, EMG와 ECG의 진폭은 줄어들고, EOG에서는 느린 안구운동의 특징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Arousal : A Literature Review (감각조절과 각성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고찰)

  • Hong, Eun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3 no.2
    • /
    • pp.75-84
    • /
    • 201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echanism information of a link between arousal and sensory modulation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neurophysiological study. Subject : Optimal arousal state of a child is an important issue i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Limbic system and reticular formation are related to sensory modulation by sensory input. Sensory inputs processes from reticular formation to cortex via ascending reticular activation system for moderate arousal. A lot of neurotransmitters such as cholinergic neurons and monoamin neurons help this processes. Mechanism of arousal was measured by funct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using objective tools such as an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electrodermal responses. Functions of CNS and ANS showed differenc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Optimal sensory input using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elps to act reticular formation, limbic system, and cortex and to maintain appropriate arousal. Conclusion : Such quantitative studies by using neurophysiological methods provide evidence fo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Development of SSVEP-based drowsiness extermination road facility (SSVEP 기반 졸음 퇴치 도로시설물 개발)

  • Han, Hyungseob;Ryu, Janghyub;Chong, Uip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7 no.2
    • /
    • pp.77-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algorithm of human arousal inducing interface using 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SSVEP) and its verification through experiments.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computer-based SSVEP program simulation is preliminary performed. From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timulus pattern is decided to checkerboard and SSVEP frequency range is set into beta wave (13~30Hz). After the experiment on proving the effect of SSVEP flashing stimulation while driving by installing it at the location of people mostly falling asleep in the highway, the result confirms that both during the night and the day, after SSVEP flashing stimulation, a wave Beta immediately increases and the subjects keep high stimulation for the 5 minute maintaining stage.

Sensitivity illumination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생체신호를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 Han, Young-Oh;Kim, Do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4
    • /
    • pp.499-508
    • /
    • 2014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LED sensitivity illumination system, being drive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biological signals of GSR and PPG signal. Afte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of a human body from GSR and PPG sensor modules, MCU decided the state of relaxation or arousal of the subject, being based on the wake relaxation identifying map proposed in this paper. A developed LED sensitivity illumination system makes the subject to reach a normal state by giving a change of the LED illumination color,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subject.

The Effect Of Shape On Emotion (형태를 통해서 느끼는 감성 - 기본 도형을 중심으로 -)

  • Jung, Dae-Hyun;Han, Kwang-Hu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45-451
    • /
    • 2007
  • 시각과 관련된 정서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차원적인 형태 중, 모든 형태의 기본이 되는 3가지 기본적인 도형(삼각형, 사각형, 원)을 중심으로 도형의 물리적 속성에 따른 감성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형의 물리적 속성은 물체 인식과 시각 디자인에서 중요시되는 요소인 방향성, 정형성, 비례, 예리함을 중심으로 감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향성, 정형성, 비례, 예리함에 따라 도형에 따른 감성의 차이가 모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도형간의 차이는 쾌 불쾌 차원에서는 원으로 갈수록 쾌함을 확인했고 각성 차원에서는 삼각형으로 갈수록 각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방향성은 수평, 수직보다 기울어진 형태에서 쾌하고 각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례는 너비와 높이의 비가 1:1 일 때 각성이 가장 낮고 쾌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비정형 도형일수록 불쾌하고 각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도형과, 방향성 비례 그리고 정형성간의 상호작용 측면도 살펴보았고 어떤 요소가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형이 어떤 속성이 이러한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추가실험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형의 속성 중 모서리의 예리함이 감성차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선 형태와의 상호 작용 시 예리함이 감성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형이 주는 감성 연구는 도형의 감성적인 평가 과정이 인지와 정서간의 관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내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기본이 되는 도형의 형태로부터 감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물리적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각성 상태가 인지적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학습도구에서의 도형의 효과적인 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Sleep on Epileptiform Discharges in Epileptic Patients with Structural Lesion : Based on Routine EEG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간질환자에서 수면이 간질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통상적 뇌파 분석)

  • Lee, Se-Jin;Hah, Jeong-Sa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4 no.2
    • /
    • pp.107-118
    • /
    • 2007
  • Background : It is well known that non-rapid eye movement(NREM) sleep activates the occurrence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IED) in many epileptic syndrom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NREM sleep on IED in epileptic patients with organic brain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awake and sleep electroencephalopathy(EEG) recorded simultaneously after partial sleep deprivation in 50 patients. We calculated the awake and sleep spike index (ASI and SSI, spikes/epoch), and the percentage increase of ASI and SSI during sleep. Results : In the 50 patients, the IEDs were recorded exclusively during the awake state in 1 (2%) patient, and during the sleep state in 13(26%) patients. The SSI was higher in 44 (88%) patients, and the ASI was higher in 5 (10%) patients. The mean ASI and the SSI in patients with organic brain lesions were $0.058{\pm}0.121$ and $0.148{\pm}0.187$, and it was $0.081{\pm}0.150$ and $0.174{\pm}0.226$ in patients without organic brain lesion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pike index (P<0.05) during NREM sleep in both groups (n=36),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nt increase of spike index (P>0.05). Conclusion : The IEDs were activated significantly during NREM sleep both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organic brain lesion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ctivation in both groups. The activating effect of NREM sleep was not correlated with clinical factors such as, frequent nocturnal seizures, frequent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s, type of epilepsy and taking anticonvulsants. We conclude that the routine EEG used to evaluate epileptiform discharges in epileptic patients should include sleep recordings after partial sleep deprivation.

  • PDF

The Effect of Tempo on word recognition: GSR study (음악의 템포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GSR 연구)

  • Jeong, Dae-Hyeon;Kim, Jong-Wan;Lee, Chung-Geun;Han, Gw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5-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템포가 인지적 과제 중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주관적 평정을 통해 중간 템포 수준에서 각성이 상대적으로 중간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단어 재인 과제에서는 중간 템포 수준에서 봤던 단어를 다른 두 조건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이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템포에 따른 각성의 차이가 기억의 부호화 과정에서의 단어 기억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을 듣는 상황에서, 템포가 인지적 수행을 향상 시켜줄 수 있는 변인으로써 응용 가치가 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The Effects of Belly Button Healing on EEG Activity in high school students (배꼽힐링(Belly Button Healing)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Shin, Jae-Han;Kang, Hojung;An, Seung Ch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2
    • /
    • pp.374-38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elly button healing by measuring the EEG activity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belly button healing to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 high school students (8 boys and 11 girl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underwent belly button healing for about 5 minutes twice per daily (morning and evening) for 2 weeks. In this experiment, an electroencephalogram (EEG) of the subject was measured in a state of arousal and steady state and the change in EEG was observed during the stroop task. Subsequently, belly button healing was performed for about 5 minutes with a one minute break and the same procedure was then repe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duction of the M-Beta wave, H-Beta wave and Gamma wave was lower compared to the arousal state due to the navel healing program. The reduction of the Alpha wave and SMR wave also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steady state by the navel healing program. This suggests that belly button healing has improved the concentration, immers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subjects in stress situation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articipants' interviews after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belly button healing is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such a program will be needed for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cademic stress. Second, because belly button healing can help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i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belly button healing before addressing certain complex or difficult ta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