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각막두께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2초

알코올 섭취 후 발생한 근시화와 관련된 눈의 해부생리학적 변화 (Anatophysiological Changes Related to Myopization Induced by Alcohol Ingestion on Eyes)

  • 김정욱;문병연;조현국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90-893
    • /
    • 2010
  • 알코올 섭취 후 발생하는 해부생리학적 변화가 눈의 일시적인 근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균 24.5${\pm}$1.5세의 남자 8명(16 안)을 대상으로 0.42 g/kg의 알코올을 30분 간에 걸쳐 섭취토록 한 다음, 알코올 섭취 1시간, 4시간, 24시간 후의 교정굴절력, 각막곡률반경과 두께, 동공직경, 안압, 그리고 안구축의 길이변화를 측정하여 알코올 섭취 전과 비교하였다. 알코올 섭취 1시간 후에 알코올 섭취 전과 비교하여 호흡 중 알코올 농도가 가장 높았고(p<0.001), 교정굴절력의 구면 (-)굴절력 증가(p<0.05), 동공 크기의 감소(p<0.05), 안압의 하강(p<0.001), 그리고 안구축의 길이 증가가 나타났다. 알코올 섭취 4시간 후에도 모든 측정값들이 섭취 1시간 후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알코올 섭취 24시간 후에는 알코올 섭취 전과 비교하여 의의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알코올 섭취로 인한 일시적인 근시화는 안압하강과 안구축의 길이변화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인 20세부터 24세까지 각막 두께와 안압의 분석 (Analysis of cornea thickness and intra ocular pressure of 20 to 24 years old population in Korea)

  • 김덕훈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32-1638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cornea thickness and intra ocular pressure Korean adult of 20 to 24 year old using the Pentacam and tonometer.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 Korean adults with healthy eyes. Corneal thickness was measured with Pentacam device. The intra ocular pressure was measured with tonometer.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Pearson's correlation cofficient. P-values<0.001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Mean age of subjects was 20.41±0.86 years. The mean +/- intra ocular pressure of the right eye and left eye were 16.236±2.523mmHg and 16.971±1.992mmHg, respectively. The mean central corneal thickness of the right eye and left eye was 545.324±38.682㎛ and 547.442±33.778㎛,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found between the right and left eye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entral cornea thickness and peripheral cornea thickness around 4 mm of central cornea(p<0.001, Pearson's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entral cornea thickness and intra ocular pressu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clinical reference data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rnea in Korean adult.

손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순간적인 움직임 : 착용시간의 증가에 따른 움직임의 변화 (The momentary movement of soft contact lens by blinking : The change of movement depending on wearing time)

  • 박상일;이연진;이흠숙;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7
  •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착용시간의 증가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순간적인 움직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8종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안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는 10명에게 착용시키고 초고속촬영기(FASTCAM ultima 102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착용 15분 후에 순목으로 인한 각막에서의 움직임을 비교하였을 때, 8종의 소프트콘택트렌즈 모두 수직방향이 수평방향보다 약 2배 정도 더 많이 움직였으나, 그 정도는 렌즈에 따라 상이하였다. 순목시 소프트콘택트렌즈가 순간적으로 움직인 거리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일일 착용렌즈인 A 렌즈, B 렌즈의 경우 다른 렌즈에 비해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순목에 의한 순간적인 움직임은 8시간 동안 착용한 후에는 모든 렌즈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렌즈에 따라 수평방향은 24.6~60.0% 수준까지, 수직방향은 20.4~94.3% 수준까지 감소하였다. 상대적으로 함수율이 높은 A, B, C 렌즈에서 움직임의 감소가 컸다. 따라서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함에 의해 움직임의 감소가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누액순환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횡 진동 모드를 이용한 압전 초음파 커터 (The Piezoelectric Ultrasonic Cutter Using A Transverse Vibration Mode)

  • 이원희;강종윤;김현재;주병권;윤석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9
    • /
    • pp.37-3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압전체의 횡 진동모드를 이용한 압전 초음파 진동자를 설계 분석하였다. 이전의 란쥬반 진동자는 진동을 얻기 위하여, 복수의 원판 또는 사각판 형태의 압전 세라믹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극하여 마주 보도록 설치한 후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하고 상단 및 하단에 금속부을 부착하여 전체를 볼트로 조인 복잡한 구조와 큰 출력 파워를 갚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판상형의 압전소자와 일체형 금속진동체를 이용하여 기계적 출력 파워 조절이 용이한 구조의 압전 진동자를 고안하여, 압전진동자의 횡 진동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신뢰성과 정확도가 높고 진동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설계 개발된 압전 진동자는 진동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여 일반 진동자 뿐 만 아니라, 외과 및 안과 수술에 있어서 인체조직이나 각막상피의 활성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절개 및 분리 시술용 진동자로 사용 할 수 있는 이점이있다. 압전 진동자는 유한요소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ATILA 5.2.4)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였으며 압전소자의 두께는 각각 0.2 mm, 0.5 mm로 제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제작된 샘플의 특성을 비교하였고, 변위측정은 칼날을 결합 한 상태에서 공진 주파수대역 부근 주파수별로 측정 비교하였다.

  • PDF

Pentacam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집단에서 각막의 중심두께와 전방깊이 분석 (Analysis of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Anterior Chamber Depth of Eyes in Korean Young Population using the Pentacam)

  • 김덕훈;배한용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3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alysis of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anterior chamber depth of eyes in Korean Young Population using the Pentacam topography.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26 eyes from normal cornea of Korean aged 7-12($8.857{\pm}1.501$) years during 2009. The thinnest location, pachy apex, and pupil central region of the cornea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the Pentacam pachymetry. The anterior chamber depth of normal corneas was measured with Pentacam. Results. The thinnest location of corneal thickness was $547.413{\pm}37.893$um. The pachy apex of cornea thickness was $552.103{\pm}36.016$um. Also, the pupil center of corneal thickness was measured $552.143{\pm}36.418$um. On the other hand, the mean thickness in the central cornea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t-test, p=0.0002) between pachy apex and thinnest zone. Also the mean thickness of the central cornea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earson p=0.0001) among the pupil center, pachy apex and thinnest zone. The anterior chamber depth was $3.137{\pm}0.308$mm. The mean depth in the anterior chamber of cornea was a statically relationship(t-test, p>0.05) between OD and O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linical study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anterior chamber depth using Pentacam in Korean young population can provide the useful morphological information in diagnosis of cornea for the contact lens fitting and corneal refraction surgery.

  • PDF

뉴질랜드 흰 토끼의 각막 두께, 내피세포 및 안압에 관한 조사 (Survey of Corneal Thickness, Endothelial Cell and Intraocular Pressure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 장화석;이대엽;강은희;이재훈;조양경;김만수;김휘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1-414
    • /
    • 2010
  • Rabbit's cornea is the most common thing that used for researches in ophthalmology, so many experimentations have d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rneal pachymetry, tonometry and specular microscopy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Three months old male rabbits ($2.9{\pm}0.2\;kg$) were examined with contact the specular microscope to evaluate the endothelial cell density, coefficiency of variation and the percentage of hexagonal cells in the central cornea. For the pachymetry, ultrasonic pachymeter was used for central cornea in each twenty rabbits, and tonometry was performed forty rabbit's eyes to evaluate the intraocular pressure.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in New Zealand white rabbit was $3304{\pm}354\;cell/mm^2$. Coefficiency of variation was $45.8{\pm}2$ and the percentage of hexagonal cells in the central cornea was $44.4{\pm}11%$. The pachymetry of cornea was $346.1{\pm}21\;{\mu}m$ and tonometry of eye was $14.3{\pm}2\;mmHg$. It is considered that normal New Zealand white rabbit's pachymetry, specular microscopy and tonometry were useful basic data of rabbit's cornea for research and clinic in veterinary ophthalmology.

$CdS/CuInSe_2$태양전지의 Window Layer로 쓰이는 CdS박막의 진공증착법에 따른 전기적.광학적 성질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Vacuum-Evaporated CdS Films for the Window Layer of $CdS/CuInSe_2$ Solar Cells.)

  • 남희동;이병하;박성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5-110
    • /
    • 1997
  • CdS/CuInSe2 태양전지에서 창측재료로 1μm 두께의 CdS박막을 1x10-3mTorr의 진공하에서 CdS source 온도를 800-1100'C로 하고 기판의 온도를 50-200℃로하여 진공증차겁으로 제조하였다. 증착된 CdS박막의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조사는 x-ray diffractometer(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전기비저항 측정, Hall measurement 그리고 optical transmission spectra로 행하였고, 각막들의 성분분석은 energy dispersive analysis of X-ray (EDAX)를 가하나, 광투과도는 감소하였다. 이때 증착된 CdS 박막들은 모두 hexagonal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결정성은 기판유리를 딸 (002)면으로 형성되었다. CdS Source 온도가 1000℃에서 증착된 CdS 박막이 0.9(S/cm)의 가장 높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판온도를 100'C로 제조한 CdS 박막이 전기비저항은 40(Ω,cm)이었고 광투과도는 80%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CdS/CuInSe2 태양전지의 창측재료로 적합했다.

  • PDF

세포내 기록법으로써 검출한 망막 신경원의 동적 특성 (Dynamic properties of the retinal neurons by using of the intracellular recording method)

  • 이성종;정창섭;배선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2호
    • /
    • pp.95-104
    • /
    • 1998
  • 세포내 기록법으로써 메기 망막의 제3열신경원에 대한 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메기(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로부터 안구를 적출한 다음 각막, 홍채, 수정체, 초자체 둥을 차례로 제거함으로써 반구형의 eyecup 표본을 만들었다. 이 표본에 Ringer 용액 또는 실험용액을 관류시키면서 빛자극을 가함에 따라 신경원에서 발생하는 전압변동을 유리 미세전극을 통하여 검출하고 amplifier로써 증폭한 후 penwriter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빛자극원으로는 컴퓨터 모니터를 이용하였으며, 막대형 자극의 이동속도 및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대상 신경원의 위치를 포착하고 방향선택성을 조사하였다. GABA$_{B}$ 수용체 작용제인 baclofen에 의해 제3열신경원의 일종인 ON-지속성 신경원에서 암막전압은 과분극되며 지속성 성분은 억제된 반면 일과성 성분은 증대되었으며, 또한 ON-OFF 일과성 신경원은 특정 방향의 자극에 대한 빛반응이 선택적으로 억제되는 방향선택성을 나타내었다.

  • PDF

수정체유화장치의 초음파 출력속도 및 자동막힘감지 기능 향상의 술 후 임상결과 비교 (Clinical Effects of an Improved Pump Reaction Rate and Automatic Occlusion Sensing System in Phacoemulsification)

  • 김유나;이진아;김재용;김명준;차흥원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17-1023
    • /
    • 2018
  • 목적: 최근 펌프조절장치와 발판의 반응속도가 빨라지고 자동막힘감지(automatic occlusion sensing) 기능이 향상되어 수술 중 흡입력과 절단력을 향상시킨 수정체유화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체유화술 시행 중 여러 매개변수를 비교하여 기기의 반응속도 향상과 자동막힘감지 기능이 수정체유화술의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일 술자에게 수정체유화술을 시행받은 68명의 백내장 환자, 총 80안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기존의 기기(WhiteStar $Signature^{(R)}$ system)를 사용하여 초음파유화술을 시행한 40안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반응속도 향상 및 자동막힘감지 기능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향상된 기기(WhiteStar $Signature^{(R)}$ PRO system)를 사용하여 초음파유화술을 시행한 40안을 실험군으로 정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수술 중 parameter of effective phaco time with a specific coefficient for the transversal movement expressed in seconds (EFX), 총 초음파 사용시간(ultrasound time), 유효 초음파 사용시간(effective phaco time, EPT), 평균 초음파 출력(average phaco power, AVG) 및 평형염액 사용량을 확인하였고 수술 전후 중심각막두께(central corneal thickness)를 확인하여 수술 전후의 상관관계를 독립표본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의 비교에서 수정체혼탁도와 상관없이 Signature $PRO^{(R)}$ system에서 수술 중 적은 EFX (p<0.001), 짧은 유효 초음파 사용시간(EPT, p<0.001), 작은 평균 초음파 출력(AVG, p<0.001)을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수술 후 중심각막두께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정체유화술을 시행함에 있어 기기의 반응속도 향상 및 자동막힘감지 기능은 수술 중 수정체 핵의 흡입력과 절단력을 높이면서도 전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의하게 짧은 시간 동안 적은 초음파 출력을 사용하면서 효율적인 수술이 가능하게 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담수어류 버들붕어, Macropodus ocellatus (Pisces, Osphronemidae) 망막의 시각세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isual Cells in the Retina of Macropodus ocellatus (Pisces, Osphronemidae) Freshwater Fish from Korea)

  • 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3
    • /
    • 2017
  • 한국산 담수어류 버들붕어의 눈을 관찰하고 시각을 담당하는 망막의 시각세포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버들붕어는 구형의 수정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각막은 노란색으로 확인하였다. 눈은 $3.5{\pm}0.2mm$의 크기였으며 두장/안경비는 $31.1{\pm}5.0$으로 비교적 큰 눈을 가지고 있었다. 버들붕어의 망막은 $158.2{\pm}10.6{\mu}m$의 두께였으며 시각세포층에는 간상세포 ($57.3{\pm}1.3$), 동형 이중원추세포($33.9{\pm}3.7$) 및 단일원추세포($27.8{\pm}1.6$)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횡단면을 확인한 결과 정방형의 모자이크 모델을 보유하고 있었다. 모든 시각세포는 내절과 외절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간상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길어 원추세포들의 외절과 외절사이에 간상세포의 내절이 존재하였다. 간상세포의 외절은 망막 색소상피층 아래까지 신장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원추세포와 간상세포 모두 내절과 외절을 연결하는 배상극이 관찰되었으며 간상세포 및 동형 이중원추세포의 형태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시각세포의 횡단면을 관찰한 결과 짧은 단일원추세포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동형 이중원추세포가 정방형 배열을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