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치결정요인

Search Result 44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허태환;민경세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79-84
    • /
    • 2023
  • 플랫폼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비즈니스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서 플랫폼 기업의 가치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좋은 플랫폼 기업을 발굴하여 육성하는 것이 곧 국가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 기반의 기업은 플랫폼 특성인 네트워크 효과와 수확체증 현상이 영향력을 발휘하기 전인 사업 초기에는 충분한 수익 발생이 어렵고 승자독식의 산업구조로 인해 치열한 선두 경쟁을 강요받고 있기에 기업 성장을 위해서는 투자유치를 통한 자금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플랫폼 비즈니스 기반의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 간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여 투자를 준비하는 플랫폼 기업에게 투자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사업을 검토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여 플랫폼 기업의 투자유치 성공률을 제고 및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과 플랫폼 가치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플랫폼 기업에 적합한 14가지의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한 뒤 계층화를 통해 플랫폼, 시장, 창업자/팀, 재무, 제품/서비스의 5가지 주요 요인을 선정했으며 투자자를 대상으로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1:1 쌍대비교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요인은 플랫폼 특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플랫폼 특성인 플랫폼 규모, 핵심 참여집단 확보 여부, 가치 고착 용이성, 확보한 데이터 가치가 플랫폼 기업의 가치평가에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가로 플랫폼 기업에 대한 투자경험 유무로 그룹을 나누어 중요도를 비교한 결과 플랫폼에 투자한 투자자가 그렇지 않은 투자자에 비하여 플랫폼 기업이 확보한 데이터 가치에 대해 높은 중요도를 두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 PDF

임팩트 투자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고병기;김다혜;성창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49-156
    • /
    • 2023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는 사회적 가치와 재무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셜벤처에 투자하는 행위이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정부 주도로 임팩트 투자 생태계가 조성되고 성장하였다. 선순환 투자 생태계를 위해서는 소셜벤처가 가지는 사회혁신의 가치와 임팩트 투자의 연계가 중요하다. 사회적 형평과 시장의 효율의 두 가치 중심으로 수요와 공급이 맞는 임팩트 투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임팩트 투자 지원정책과 투자가 공공에서 민간으로 확대되는 시점에서 임팩트 투자의사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팩트 투자의사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임팩트 투자 심사역을 대상으로 자문·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투자의사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임팩트 투자 심사역 10명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투자의사 결정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요인의 중요도는 시장-창업가(팀)-제품·서비스-재무의 순서로 확인되었으며, 세부요인의 중요도는 '시장의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시장성장 및 확장 가능성-팀의 전문성 및 역량-신시장 창출 가능성-영업활동 및 고객관리-창업가의 신뢰성 및 진정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팩트 투자에 대한 지원정책과 투자가 공공에서 민간으로 확대되는 시점에서 고유한 투자의사 결정요인을 규명하여 투자를 희망하는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ant Factors of Patent Valuation and Technology Transaction Prices (특허가치 결정요인과 기술거래금액에 관한 실증 분석)

  • Sung, Tae-Eung;Kim, Da Seul;Jang, Jong-Moon;Park, Hyun-W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254-279
    • /
    • 2016
  • Recently, with the conversion towards knowledge-based economy era,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for patent valuation has been growing rapidly because technology transactions are increasing with the purpose of practically utilizing R&D outcomes such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terminants of patent valuation by analyzing technology transactions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in practice. Hence, to suggest quantitative determinants for the patent valuation which could be applied to scoring methods, 15 patent valuation models domestically and overseas are analysed in order to assure the objectiveness for subjective results from qualitative methods such as expert surveys, comparison assessment, etc.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ortant 6 common determinants are drawn and patent information is matched which can be used as proxy variables of individual determinant factors by advanced researches. In addition, to validate whether the model proposed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total 517 technology transactions are collected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technology transaction offices and analys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led to significant patent determinant factors in deciding its value. As a result, it is herein presented that patent connectivity(number of literature cited) and commercialization stage in market influence significantly on patent valu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that it suggests the significant quantitative determinants of patent valu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transactions data in practice, and if research results by industry are systematically verified through seamless collection of transaction data and their monitoring, we would propose the customized patent valuation model by industry which is applicable for both strategic planning of patent registration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research projects (with representative patents).

임팩트투자자의 소셜벤처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Yu, Seong-Ho;Hwang, Bo-Yun;Lee, Seon-H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67-173
    • /
    • 2022
  • 임팩트투자는 재무적인 수익과 더불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만들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기업, 조직, 펀드를 대상으로 하는 투자 방식으로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잔 소셜벤처 기업에 재무적 지원을 위한 초기단계 투자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임팩트투자자는 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추구라는 이중적인 판단 요인 때문에 사회적가치지표(SVI: Social Value Index)를 투자판단에 참고로 활용하고 있으나 투자를 결심하는 판단요인에 있어서는 여전히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임팩트투자자가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투자판단 요인들에 대한 타당도와 상대적 가중치를 객관화 하고, 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의 이중적이 가치판단 중에서 어느 쪽을 더 주요하게 고민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판단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임팩트투자자의 소셜벤처 투자결정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판단문제로 정의하고, 임팩트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투자자로서 재무적 이익과 회수 가능성 판단을 위한 ①초기투자단계에서의 투자의사결정 요인,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파급력, 소셜벤처의 상생과 연대를 위한 ②창업가(팀)의 정치적 기술, 임팩트투자펀드 조성 목적에 부합하는 ③소셜벤처기업의 소셜미션 등 세가지의 분류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Fundamental Variables, Macroeconomic Factors, Risk Characteristics and Equity Returns (기본적변수, 거시 경제요인, 기업특성적 위험과 주식수익률)

  • Kim, Sung-Pyo;Yun, Young-Sup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179-21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식수익률의 횡단면 차이에 유의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기본적 변수가 시장지수 베타에서는 측정되지 않은 또 다른 가격화된 위험에 대해 유용한 대용변수인지를 규명하였다. 기본적 변수들 중에서 기업규모와 장부/시장가치 비율은 주식수익률의 횡단면 차이를 설명함에 있어 독립적인 효과를 갖는 가장 유의적인 변수였다. 주식수익률의 횡단면 차이에 매우 유의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깃으로 나타난 거시경제요인의 요인민감도는 기업규모, 장부/시장가치 비율을 포함시 더 이상 유의적인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소규모, 높은 장부/시장가치 기업은 매우 지속적인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는 곤경기업이며, 역시 배당감소위험, 레버리지위험 및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으로 측정된 기업특성적 위험이 보다 큰 곤경기업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증결과는 소규모, 높은 장부/시장가치 주식이 대규모, 낮은 장부/시장가치 주식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원인이 보다 높은 위험에 따른 보상의 결과이며, 규모변수와 장부/시장 가치 비율은 이들 위험에 대한 유용한 대용치라는 '위험에 기초한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로 주장될 수 있다. 기업규모와 장부/시장가치 비율이 시장베타로는 측정되지 않는 주식가격결정에 있어 가격화 된 또 다른 위험을 대리한다면 수익률에 나타난 SIZE, B/M효과는 합리적 가격결정하 APT나 ICAPM과 같은 확장된 CAPM과 모순되지 않는 하나의 증거로 볼 수 있으며, 비록 이들 변수들이 관찰 불가능한 진정한 시장베타에 대한 보다 나은 대용치라고 할지라도 이들 두 변수와 관련된 요인을 포함한 다요인 가격결정모델이 시장지수만을 포함한 단일요인모델에 비해 보다 유용한 모형임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Fluctuation Factors in Spectrum Valuation (주파수 가치산정의 변동요인 연구)

  • Yeo, Ink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474-477
    • /
    • 2013
  • As the market-based spectrum policy is introduced, an interest in the economic value of the frequency is increasing.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concerning the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frequency and its determinants are actively engaged, which are used for setting a reserve price and bid price of spectrum auction and a spectrum clearance cost. In this study, by the analysis of the spectrum valuation methodology, we derive the chang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valuation and propose to apply improved. In the model frequency value is consist of technical value, commercial value and strategic value, we find the dynamics of fluctuation factors and suggest how to apply them to spectrum policy.

  • PDF

A Study on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 Factors in Platform Startup (플랫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Tae Hwan Heo;Kyung Se M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2
    • /
    • pp.109-124
    • /
    • 2024
  • The value of platform companies is rapidly increasing,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across industries. Identifying and fostering promising platform companies is crucial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Consequently, tailored evaluation standards are necessary for such companies. This study derived investment decision factors specific to platform companies and compared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Key factors included platform characteristics, finance, entrepreneur (team), market, and product/service attribut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latform characteristics were deemed the most crucial factor for investors. Specifically, factors such as platform size, ease of value fixation, core participant group, and data value were identified as pertinent for evaluating platform companies. Moreover, analysis distinguished between investors with prior platform investment experience and those without. Significantly, investors with platform investment experience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 value of data secured by platform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investors prioritized future value and growth potential over current value when investing in platform. Notably, founder/team characteristics, typically highly regarded in previous studies, ranked lower in importance in this study, highlighting a shift in focus. The discrepancy between this study's results and prior research on investment decision factors is attributed to the specificity of the questions posed. By focusing on investment decision factors for platform startups rather than generic startup inquiries, investor responses aligned more closely with platform-focused considerations. Given the burgeoning venture investment landscape, there's a growing need for detailed research on startups within specific sectors like IT, travel, and biotech. This approach can replace extensive research covering all startup types to identify investment decision factor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industry.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everage in Unlist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비상장.비등록 중소기업의 재무레버리지 결정에 관한 연구)

  • Kim, Moon-Kyu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9 no.1
    • /
    • pp.33-66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의 재무관리이론과 중소기업이론의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자본구조를 결정하는 재무적 제 요인을 비상장 비등록 중소기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자본구조결정이론이 제시하는 변수 외에 중소기업의 고유요인으로 경영자위험과 업력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중소기업의 재무레버리지 사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담보가치, 성장성, 업종, 기업규모, 수익성, 그리고 중소기업고유요인으로 설정된 경영자위험의 여섯으로 나타났다.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자산의 비중이 크며 성장성이 높고 기업규모가 큰 제조업을 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부채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익성이 높아 사내유보를 많이 한 기업, 현금흐름이 불안정하여 경영자의 통제권에 대한 위험이 높은 기업은 부채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단기부채의 사용에 따른 재무행태의 차이점 분석에서는 장기에 걸쳐 결정되는 담보가치와 기업규모 변수는 단기차입금의 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중소기업은 경영자위험을 단기차입금이 아닌 장기차입금의 축소를 통하여 헤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형태별로 즉, 법인기업과 개인기업으로 나누어 재무레버리지 결정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는데 개인기업은 법인기업에 비하여 그 행태가 매우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기업의 장기차입금 모형에서 의미 있는 변수로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담보가치, 기업규모의 두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개인기업의 단기차입금 분석에서는 유의적인 변수를 찾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개인기업이 규모의 절대적 왜소와 경영능력의 열악함으로 재무레버리지의 사용에 있어서 법인기업에 비하여 불리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며, 같은 이유로 개인기업에 대하여는 재무레버리지 결정에 대한 논리적 설명이 일정 부분에서는 불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PDF

Determinants of Foreign Customer's Loyalty to Korean Medical Institutions (외국인의 국내의료기관에 대한 고객충성도 영향요인)

  • Kim, Min-Sook;Bang, Ho-Yeol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7 no.2
    • /
    • pp.95-120
    • /
    • 2015
  • Under the stiff competition in the health care industry, the long run survival of medical institution depends on building up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n customer loyalty. This new model is based on Bettman(1979)'s customer purchasing decision making process(awareness-interest-final decision).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is model reflects the psychological change of customer purchasing decision The influencing factor at each purchasing stage must need to be identified because the inner decision making process is generally carried out by multistage. In this respect, this study shows the brand awareness of hospital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e first stage. In a second stage, the servciescape and service quality of hospital must be considered. Finally, customer's perceived value is adopted. By using a sample of 116 Chinese touris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ustomer loyalty. The results that the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 PDF

Barriers Causing the Value Gap between Expected and Realized Value in IS Investment: SCM/ERP/CRM (정보시스템 투자 전후 가치 격차 유발 장애요인: 탐색적 사례연구)

  • Cho, Nam-Jae;Park, Ki-H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5 no.1
    • /
    • pp.1-18
    • /
    • 2003
  • Many organizations experience that the value they gained from IT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 is lower than they expected prior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a system - the value gap between expected value and realized value from IT. Research on the barriers to the expectation and realization is of high importance both in practice and in I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such barriers observed in three companies that have adopted such IT systems a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upply Chain Management (SCM),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systems each. From analyses of the three companies we specifically identified eight types of barriers: barriers related to industry, organization, knowledge, resource, usage, competence, product, and safety. Common barriers among the three cas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e.g. lack of strategic mind-set, improper organizational structure, lack of human resource, etc. We expect that the results help managers in IS investment to minimize the valuation gap and maximize realized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