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진 진 동수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배관 가진 함수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imulation of Forcing Function for the Piping Vibration in Petrochemical Plants)

  • 민선규;최명진;김경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0
    • /
    • 2001
  • For the simulation of piping vibrations in petrochemical plants, forcing functions mainly depend upon the equipment working mechanism and vibration resources in the piping systems. In general, harmonic function is used to simulate rotary equipment. Mechanical driving frequencies, wave functions, and response spectrum are used to simulate reciprocating compressors, surge vibration of long transfer piping, and seismic/wind vibra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general suggestions for forcing functions were reviewed and proposed the forcing function to simulate the spray injection system inside the pipe in which two different fluids are distributed uniformly. To confirm the results, the scheme was applied for a real piping system. The vibration mode of the real system was consistent with the 4th mode (26.725 Hz) obtained by simulation using the forcing function presented in this study.

  • PDF

4세대 가속기 고정밀 고전압CCPS 개발 (Development of high-precision high-voltage CCPS)

  • 문용조;박성수;김상희;권세진;장성덕;이병준;이흥수;강흥식;황정연;김동수;이수영;신현석;장계용;노성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173
    • /
    • 2012
  • 포항가속기 연구소에서는 4세대 가속기의 전자를 가속시키기 위해서 100ppm(0.01%) 이하의 고전압 안정도를 가진 200MW 펄스 모듈레이터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소에서는 고전압 안정도를 가진 고정밀 고전압 CCPS를 일반 CCPS와 병행하여 산업체와 함께 공동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일반 CCPS의 사양은 50 kV, 30 kJ/sec, 600mA, 1000ppm이하이고, 고정밀 CCPS의 사양은 50 kV, 5 kJ/sec, 100mA, 100ppm이하이다. 본 논문에서는 CCPS의 개발 및 실제 모듈레이터에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비원형 단면을 가진 적층복합재료원통셸의 좌굴 및 진동해석 (Buckling and Vibration of Laminated Composite Non-Circular Cylindrical Shells)

  • 이영신;안상균;이우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807-81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Donnell과 Flugge 셸 이론을 이용하여 단순지지된 비원형 단면을 가진 angle-ply 적층원통셸의 좌굴과 진동해석을 Soldatos의 해석과정을 따라 수행하고, 적층방법(stacking sequence)과 섬유각(fiber angle)의 변화에 따른 고유진 동수와 좌굴하중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초기 축하중을 받는 경우에 대한 고유진동수 의 변화에 대해서고 고찰하였다.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부가질량을 가진 보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Axially Moving Beam with Attached Mass)

  • 허관도;손인수;안성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6-61
    • /
    • 2012
  • The dynamic instability and natural frequency of axially moving beam with an attached mass are investigated. Thus, the effects of an attached mass on the stability of the moving beam are studied. The governing equation of motion of the moving beam with an attached mass is derived from the extended Hamilton's principle. The natural frequencies are investigated for the moving beams via the Galerkin method under the simple support boundary. Numerical examples show the effects of the attached mass and moving speed on the stability of moving beam. Moreover, the lowest critical moving speeds for the simple supported conditions have been presented. The results can be used in the analysis of axially moving beams with an attached mass for checking the stability.

멜론 포장용 펄프몰드 난좌 개발 (The Development of Pulp Mold Tray for Melon Packaging)

  • 최승렬;정훈;최동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5-131
    • /
    • 2013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멜론용 펄프몰드난좌의 진동전달특성을 구명하고 모의수송시험을 통해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멜론 펄프몰드 난좌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상승하였고, 완충성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S 평균 가속도의 진동전달률을 살펴보면 펄프몰드 난좌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진동전달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골판지 180 g 신문고지 50 g을 배합한 펄프몰드난좌의 경우 가진되는 진동가속도보다 큰 진동가속도가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멜론의 포장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골판지 200 g 신문고지 50 g을 배합한 펄프몰드난좌의 진동전달률이 가장 작게 나타나 멜론의 포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상자포장보다는 펄프몰드난좌 포장 시 진동의 전달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펄프몰드 난좌의 중앙에 위치한 멜론과 비교하여 주변에 위치한 멜론에 전달되는 진동가속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상자포장과 펄프몰드난좌 포장의 모의 수송시험을 실시하여 경도를 측정한 결과, 무가진 멜론에 비하여 경도저하가 나타났지만, 난좌를 이용하여 포장하였을 때 기존 상자포장에 비하여 멜론의 경도 유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펄프몰드 난좌를 이용한 멜론포장은 수송 중 진동에 의한 품질저하 요인을 감소시켜 상품성 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된다.

  • PDF

가열에 의한 지하수 중 222Rn 제거율 고찰 (Study on 222Rn reduction rate in boiling groundwater)

  • 김문수;김현구;박선화;김형섭;주병규;김동수;조성진;양재하;권오상;김태승
    • 분석과학
    • /
    • 제28권5호
    • /
    • pp.353-360
    • /
    • 2015
  • 지하수 중 라돈은 끓임으로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라돈 농도를 가진 13 개 지하수 시료를 이용하여 가열 시간과 온도를 변경시키며 라돈의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시료는 Bladder 펌프를 이용하여 채수하였고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등의 현장수질은 Flow cell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경과시간 및 수온 별로 분취한 시료의 라돈 농도는 액체섬광계수기(LSC)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경과시간에 따른 지하수 중 라돈의 제거율도 높아지며 지하수 중 라돈의 초기농도가 높을수록 경과시간에 따른 지하수 중 라돈의 제거율은 낮아진다. 즉, 지하수 중 라돈의 농도가 높을수록 가열에 의한 라돈 제거 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하수 중 라돈 제거율은 주로 라돈초기농도, 가열온도, 그리고 가열시간에 의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