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지돌기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6초

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소뇌 조롱박세포 가지돌기가시 관찰 (Observation of Dendritic Spines of Purkinje Cell Using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 유임주;이계주;서영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01
  • 신경세포 가지돌기가시의 형태를 분석하는 것은 신경세포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가지돌기가시는 광학현미경 해상도의 한계근처에 있는 구조물로 투과전자현미경 및 공초점헌미경 등을 이용한 연구들이 보고 되고 있다. 고압전자현미경은 높은 해상도와 투과능력 덕분에 두꺼운 절편의 관찰이 용이하여 신경세포의 가지돌기가시 등을 관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신경세포의 가지돌기가시를 효과적으로 관찰하는방법을 확인하고 기본적인 형태학적 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다. 생쥐 소뇌에 위치하는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시를 anti-calbindin 28kD항체 및 Golfi 염색으로 표지한 후 $4{\mu}m$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여 impregnation방법으로 각각 처리하여 표본을 제작한 후, 초고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효과적인 관찰방법을 찾고, 영상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가지돌기가시의 밀도와 가시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초고압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면역조직화학법과 Golgi법 모두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시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Golgi법으로 준비된 표본이 가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에 더욱 적합하였다. 명상분석 결과로는 가지돌기 가시의 평균밀도가 $24.5{\pm}3.6$개/$10{\mu}m$였고, 가시의 평균길이는 $1.12{\pm}0.22{\mu}m$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Gogli 법으로 염색된 조롱박세포를 고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가지돌기가시를 정량적으로 관찰할만한 만족스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추후 경사를 주어 촬영한 두 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소뇌의 신경가소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개의 교핵내 GABA성 신경세포 성분의 미세구조적 위치관찰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GABAergic Neuronal Components in the Dog Basilar Pons)

  • 이현숙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1호
    • /
    • pp.65-74
    • /
    • 1995
  • 개의 교핵내의 GABA를 함유한 억제성 신경세포의 연접부위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반응산물은 신경원의 핵부위나 가지돌기에서 관찰되었으며, 반응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신경종말이 이들과 비대칭형 연접을 형성하였다. 그 외에도 많은 수의 GABA성 신경종말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반응산물을 함유하지 않은 가지돌기와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 연접을 형성하였다. 한편 축삭돌기-축삭돌기 연접에서는 연접후 유축사돌기 (axon-like processes)가 GABA-양성이었다. 이와 같은 관찰은 개의 교핵에 존재하는 억제성 개재신경원이 여러 수입계로부터의 정보를 통합하고, 이를 소뇌피질이나 소뇌핵에 전달함으로써, 대뇌-교핵-소뇌계의 신경경로에서 조절기능을 담당함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 PDF

개의 교핵내 glutamate성 연접 성분의 미세구조적 위치관찰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f Glutamatergic Synaptic Components in the Basilar Pontine Nuclei of the Dog)

  • 이현숙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1호
    • /
    • pp.57-70
    • /
    • 1997
  • 개의 교핵내 glutamate를 함유한 연접 구조의 분포를 fixative-modified glutamate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사용하여 미세구조적 차원에서 조사하였다. 반응산물은 신경세포체의 핵주위 영역에 위치하였으며, 가지돌기내의 미세소관을 따라서 존재하였다. 반응산물을 함유하지 않은 한 개이상의 신경종말이 glutamate에 면역반응을 나타낸 가지돌기와 비대칭형 연접을 형성하였다. 그 외에도 수초로 둘러싸인 축삭돌기나 신경종말내에서도 반응산물이 관찰되었다. 이들 신경종말은 표지된 또는 표지되지않은 가지돌기와 비대칭형 연접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관찰은 glutamate에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흥분성 교핵 신경원이, glutamate를 함유한 교핵으로의 여러 수입계나, 교핵으로부터 소뇌로의 투사 신경세포, 그리고 소뇌피질내의 glutamate성 과립세포를 포괄하는 다연접 신경경로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관한 형태학적 근거를 제시한다.

  • PDF

삼차신경중간핵에서 저역치기계자극수용기 유래 들신경섬유 종말의 연접양상 (Synaptic Organization of Vibrissa Afferent Terminals in the Trigeminal Interpolar Nucleus)

  • 안형준;백상규;배용철;최종훈;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87-106
    • /
    • 2005
  • 삼차신경계의 일차연접부위에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저역치기계자극수용기에서 유래하는 감각정보의 전달 및 처리 기전을 이해하고자, 고양이 콧수염에서 유래하는 들신경섬유를 사용하여 단일축삭 내 기록법에 의해 HRP를 표식한 후, 삼차신경중간핵에서 시편을 제작하고 표식종말에 대한 연속절편을 형성하였다. 총 30개의 표식 신경종말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삼차신경중간핵에서의 신경섬유 종말 및 연접이전축삭종말의 미세구조적 특징, 발현빈도, 연접양식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식종말은 직경 45$\sim$55 ㎚의 균일한 형태의 밝고 둥근 모양의 연접소포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가지돌기와는 연접이후 치밀질이 잘 발달되어 있고, 연접틈새가 크며, 여러 곳에서 넓은 연접구조를 보이는 비대칭연접을, 다형의 연접소포를 함유하는 비표식 축삭종말과는 연접이후 치밀질이 뚜렷하게 발달되지 않으며, 연접면적이 좁은 대칭연접을 형성하였다. 2. 각 표식종말은 인접한 신경구조물들과 최소 1개에서부터 최대 15개까지 신경연접을 형성하여 단위 표식종말 당 평균 4.77$\pm$3.37개의 신경연접이 관찰되었으며, 5개 이상의 신경구조물들과 연접을 형성하는 비교적 복잡한 연접양상이 다수의 표식종말(46.7%, n=14)에서 관찰되었다. 3. 표식종말이 세포체와 직접 연접하는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가지돌기와는 단위 표식종말 당 1.83$\pm$1.37개의 신경연접을 형성하였다. 가지돌기와 연접을 이루는 표식종말의 대부분(85.0%)은 원위부 가지돌기인 가지돌기체와 연접을 이루었으며(n=47, 1.57$\pm$1.38/1 bouton), 근위부 가지돌기(n=6, 0.20$\pm$0.41/1 bouton)나 가지돌기 가시(n=2, 0.07$\pm$0.25/1 bouton)와 연접을 이루는 경우는 드물었다. 4. 표식종말의 76.7%(n=23)에서 다양한 형태의 연접소포를 함유하는 축삭종말인 p-ending과 축삭사이연접을 형성하였으며 (2.93$\pm$2.36/1 bouton), p-ending이 표식종말 및 이에 연접하는 가지돌기와 동시에 연접을 형성하는 연접세동이도 60.0% (n=18)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고양이 콧수염에서 유래하는 들신경섬유 종말은 삼차신경중간핵에서 특징적인 연접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감각정보의 분별, 통각의 정동반응 등 복잡한 감각정보의 처리에 관여하는 삼차신경중간핵의 기능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신경종말의 미세구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연접이전 억제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동정 등 생리학적인 기능에 대한 더욱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대뇌피질 또는 소뇌핵 병변에 따른 쥐 교핵내 연접구조의 변화 (Cerebral cortical or Cerebellar Nuclear Lesion-induced Synaptic Reorganization in the Basilar Pons of the Rat)

  • 이현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2-388
    • /
    • 1991
  • 쥐의 교핵내에서 대뇌피질(또는 소뇌핵) 면면시 소뇌교핵계(또는 대뇌교핵계)의 연접구조의 변화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관찰결과, 대뇌교핵계의 수입로 차단의 경우 소뇌교핵계의 신경섬유는 교핵세포의 원위 가지돌기쪽으로 발아하며, 소뇌핵 병변시 서뇌교핵계의 신경섬유는 근위가지돌기와 연접을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개의 가지돌기 부속물들과 사구체형 연접복합체를 형성함이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는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언급된 대뇌피질(또는 소뇌핵) 병변에 따른 교핵내 신경종말의 밀도증가에 대한 보고를 뒷받침해주며, 소뇌핵 병변시 운동결핍증의 시간경과에 따른 회복에 대한 신경해부학적 근거를 제시한다.

  • PDF

Batillipes속 (이완보강, Batillipedidae과)의 해양 완보류 2신종 (Two New Marine Tardigrades of Genus Batillipes (Heterotardigrada: Batillipedidae) from Korea)

  • 장천영;노현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2호
    • /
    • pp.93-102
    • /
    • 1997
  • 조간대와 수심 20m 미만의 조하대 모래틈에서 채집한 해양 완보류 2신종 - Batillipes longispinosus n. sp., B. orientalis n. sp. - 을 기재한다. 이들 2신종은 미성숙 개체와 성체 모두에서 몸통 뒷부분에 돌기가 없으며 머리에 난 여러 돌기들이 길다는 점, 제 4다리위에 긴돌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B. longispinosus n. sp.는 Batillipes 속에 기록된 21종 중에서 B. tubernatis Pollock과 가장 유사하나 4번째 다리에 긴 돌기를 가지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B. orientalis n. sp. 는 몸 측면 돌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B. roscoffensis Kristensen와 닮았으나 머리의 모양과 4번째 다리에 긴 돌기를 가지는 점에서 뚜렷하게 구별된다.

  • PDF

흰쥐의 턱끝혀근 지배 운동신경원에 대한 억제성 및 흥분성 신경종말의 분포 양식 (Distribution Pattern of Inhibitory and Excitatory Nerve Terminals in the Rat Genioglossus Motoneurons)

  • 문용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2-109
    • /
    • 2011
  • 턱끝혀근은 호흡을 위해 상부기도를 확보하는 중요한 근육이지만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하면 상부기도를 폐쇄함으로써 호흡장애가 생길 수있다. 이것은 턱끝혀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의 연접입력 이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접입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턱끝혀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과 연접하는 억제성 및 흥분성 신경종말의 분포 양식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경추적자인 HRP를 주입하여 턱끝혀근 지배 운동신경원을 표식하고, 운동신경원을 세포체와 가지돌기의 근위부, 중간부 및 원위부로 구분한 후, 전자현미경용 연속절편을 제작하여 GABA, glycine 및 glutamate 항체를 사용한 postembedding immunogold histochemistry를 시행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3개의 턱끝혀근 운동신경원에 연접한 622개의 신경종말 중 157개는 세포체에서, 188개는 14개의 가지돌기 근위부에서, 181개는 35개의 가지돌기 중간부에서, 96개는 28개의 가지돌기 원위부에서 각각 연접 양상을 분석하였다. 관찰한 신경종말의 71.9%에서 사용된 3종류의 아미노산에 대한 면역양성반응이 나타났는데 이 중 32.8%는 GABA 또는 glycine에 대한 면역양성반응을 보였고, 39.1%는 glutamate에 대한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GABA 또는 glycine에 대한 면역양성 신경종말 중 14.2%는 glycine에만 면역양성반응을 보였고, 13.3%는 glycine과 GABA에 동시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며, 5.3%만이 GABA에만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억제성 아미노산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종말에는 납작하거나, 타원형 또는 둥근 형태의 연접소포가 함유된 반면, 흥분성 아미노산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종말에는 구형의 소포와 약간의 큰 치밀연접소포가 함유되어 있었다. 억제성 신경종말과 흥분성 신경종말의 분포 비율은 가지돌기 원위부에서 각각 23.9% 대 43.8%로 가장 높았지만, 세포체(35.7% 대 38.2%), 가지돌기의 근위부(34.6% 대 37.8%), 및 중간부(33.1% 대 38.7%)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억제성 신경종말의 synaptic covering (%)은 세포체에서 가지돌기 원위부로 갈수록 감소되었지만, 흥분성 신경종말의 synaptic covering (%)은 각 부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턱끝혀근 지배 운동신경원은 세포체와 가지돌기의 부위에 따라 GABA, glycine 및 glutamate를 함유하는 전운동신경원들에 의해 서로 다른 양식의 제어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신경원의 부위에 따른 이러한 억제성 및 흥분성 연접입력 양식의 차이는 유연한 혀운동의 제어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흥분성연접의 바닥으로 NAGK 클러스터의 돌출 (Protrusion of N-acetylglucosamine Kinase Clusters into the Base of Excitatory Synapses)

  • 문일수;조선정;이현숙;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62-1066
    • /
    • 2009
  • N-Acetylglucosamine kinase (GlcNAc kinase or NAGK; EC 2.7.1.59)는 GlcNAc를 인산화하여 GlcNAc-6-phosphate를 만드는 효소이다. 효소자체에 대한 자세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포유류에서NAGK의 표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배양한 흰쥐의 해마신경세포에서 NAGK은 세포체/가지돌기 영역에서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지돌기의 긴 축에서부터 가쪽으로 돌출되는 NAGK 클러스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배양한 해마신경세포를 NAGK와 다양한 연접표지단백질에 대한 항체로 이중염색한 결과 NAGK 클러스터가 가지돌기의 바닥에는 있었지만 억제성 연접후부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흰쥐 전뇌(forebrain)의 균질액(homogenate, BH), 연접체(synaptosome, S), 연접후치밀질(postsynaptic density, PSD) 분획을 NAGK 항체로 면역염색한 결과 NAGK는 연접체에는 있었지만 PSD 분획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NAGK가 가지돌기가시(spine)의 바닥쪽으로 돌출됨을 의미한다.

십자돌기형 전파흡수체로 구성된 전파암실의 특성평가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emi-Anechoic Chamber Constructed by the Cross-Shaped Type Electromagnetic Absorbers)

  • 김민석;김동일;전상엽;민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51-5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특성의 십자돌기형 페라이트 전파흡수체로 이루어지는 전파 반무향실의 특성을 영상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그리드형 전파흡수체가 3 ~ 1000 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데 대하여, 십자돌기형 페라이트 전파흡수체는 30 MHz ~ 3,000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메기 송과체의 광수용세포 및 신경세포 돌기의 3차원적 구조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rocesses of Photoreceptor Cells and Nerve Cells in the Pineal Organ of the Catfish, Parasilurus asotus)

  • 남광일;이송은;오창석;배춘상;박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255-264
    • /
    • 2000
  • 메기 송과체를 대상으로 3차원적 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송과체를 구성하는 신경세포 및 광수용세포 돌기들의 위치적 상호관계를 3차원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광수용세포의 돌기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었으며, 다른 세포질내로 돌기의 일부가 파고드는 양상을 보이는 것도 있었다. 신경세포 돌기는 이들 읽혀 있는 광수용세포 돌기 사이를 주행하면서 여러군데서 리본연접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광수용세포내의 이들 리본연접의 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였다. 한편 송과강내에서는 탐식되기 전의 광수용세포 외절에 대식세포가 접근해 있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관찰결과, 메기 송과체의 광수용세포의 기저돌기는 다양한 형태이며, 특히 인접부위로 주행하는 신경세포의 돌기와 연접을 형성하기 위해 또 다른 가지를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