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 기능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8초

'장애인의 가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Famil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김영애;장숙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15-144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우리나라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장애인 가족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등재학술지 중 장애 또는 가족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4개 학술지 및 사회복지 관련 주제를 총체적으로 다루는 2개 학술지의 총 6개 국내학술지를 선정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들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17년도 9월까지 게재된 모든 연구들 중 장애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수행된 총 157편의 연구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장애인가족 연구의 출현 빈도,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관한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가족기능의 영역들을 본 연구자들이 6개 영역으로 재분류하여 구성한 분석틀을 활용, 157개 연구에서 가족기능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어머니에게 집중된 장애인 가족 연구의 대상자 확대, 다양한 장애 유형을 고려한 가족연구 의 필요성, 장애를 가진 노인의 가족에 대한 관심 증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가족기능 영역별 연구방법별 연구 수행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건강가족을 위한 가족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성인의 인식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and Qualities Needed for Strong Families)

  • 유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173-180
    • /
    • 2004
  • This study analyzed Korean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and qualities needed for strong families. The sample consisted of 806 adults living in Seoul. Among different family functions, love and emotional support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or family strength, while religion and consumption as family functions were not perceived as important. The surveyed adults thought that the function of socialization was the most essential among the family functions according to Murdock's(1949) theory, which were, sexual, reproductive, socialization, and economic functions. They responded that the most needed qualities for strong families were commitment, followed by appreciation and affection, positive communication,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crisis, enjoyable time together, and spiritual wellbeing.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needed for strong families explained 27% of the variance in perceptions of qualities needed for family strength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분리 개별화와 가족 응집력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Separation Individuation and Family Cohesion)

  • 이희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7-194
    • /
    • 199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분리개별화와 가족응집력이 그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것이 부모로부터의 독립인지 가족의 친밀감과 지지인지 알아보고, 두 요인이 모두 영향을 준다면 각각 대학생활의 어떤 영역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 를 얻었다. 첫째,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에서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태도적 독립이 낮을수록 학업문제의 적응은 높았다.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심리적 문제와 진로, 취업문제의 적응은 낮았다. 태도적 독립과 기능적 독립이 높을수록 교수와의 관계에 있어서 적응은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독립이 발달한 학생은 교우와의 관계에서 높은 적응을 나타났다. 정서적 독립이 높은 학생은 전반적인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응집력은 대학생활에서 진로, 취업문제와 교유관계에 있어서 적응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에게 가족응집력은 심리적 문제의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여학생에게는 가족응집력이 높을수록 교우관계와 진로, 취업문제의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캐릭터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Character Interface Design for Digital Appliance)

  • 심재희;이건식;양정화;신성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0-25
    • /
    • 2006
  • TFT Color LCD 가 보급화되면서 모바일 폰 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에 친근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 인터페이스 영역에도 점차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 가전 제품의 역할이 단순히 식품을 보관하거나 집안의 온도를 시원하게 바꿔주는 기본 기능 중심에서, 가족간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역할 또는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엔터테인먼트 기능 중심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최근 이러한 복잡한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가족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친근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캐릭터라는 소재는 유용하게 활용 되고 있다. 가전 제품에서 캐릭터의 활용 부분은 첫 번째,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좀더 친근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제품의 상태나 어떤 동작에 대한 수행 결과를 텍스트 혹은 아이콘 위주의 전달 방법보다 좀더 친근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는 프로그래스 애니메이션 부분이다. 제품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캐릭터의 동작을 통해 명확하게, 그리고 재미있게 전달해주는 기능이다. 세 번째는 메시지 전달 측면이다. 가족간의 메모 전달이나 생일, 기념일 등에 대한 축하 메시지를 캐릭터가 메신저 역할을 함으로써 좀더 밝고 경쾌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마지막으로, 대기화면이나 화면보호기 부분이다.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화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나 모바일 폰과 같은 개인 중심형 제품이 아닌 가족 중심형 가전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는 친근한 이미지가 부가된 캐릭터의 활용이 사용성은 물론 감성적 측면에서도 좀더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완성해 가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PDF

폐경기 중년여성의 피로,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Fatigue, Family Funct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in Menopausal Periods)

  • 권유림;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79-258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중년여성의 피로,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폐경이행기를 포함하여 폐경기에 해당하는 중년여성 13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방식으로 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 2일부터 4월 10일 까지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피로정도는 교육수준(F=5.61, p=.005)과 월경상태(F=3.61, p=.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기능은 교육수준(F=4.49, p=.013), 결혼상태(t=2.25,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교육수준(F=5.60, p=.005), 결혼상태(t=2.68, p=.008), 월 소득수준(F=3.51, p=.009)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대상자의 피로정도는 가족기능(r=-.20, p=.020) 및 자아존중감(r=-.31,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5, p<.001). 그러므로 폐경기 중년여성의 피로 및 건강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가족기능을 강화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폐경기 이행기에 해당하는 중년여성의 피로 관리 및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고, 혼자 사는 폐경기 중년여성의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해 가족적, 사회적, 간호학적 지지자원 마련이 필요하다.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ACOA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ther's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Adult Daughters of Alcoholic Fathers)

  • 김혜련;전선영;김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317-34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성인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즉, 아버지를 알코올 중독자로 둔 여성 ACOA들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463명의 여대생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 160명이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중독자 선별척도, 부모와의 애착 척도, 생활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Beck의 우울 척도, 가족환경 척도 등이 조사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심리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부모와의 애착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과 심리사회적 적응, 구체적으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에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의 애착은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유무는 여성 ACOA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변수로만 여성 ACOA의 적응에서의 어려움을 설명하려는 가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ACOA들에 관한 임상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과 사회적지지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 in the Community Elderl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신은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95-500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사회적 지지, 가족지지 및 우울수준을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하여 신체적 기능, 사회적지지 및 가족지지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995명이었으며, 조사는 201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지지, 가족지지 및 신체적 기능(ADL, IADL)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가족지지나 신체적 기능보다 우울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 가족지지 및 신체적 기능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가족기능,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 대학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ing, Intimacy Risk with the Opposite Sex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안성아;오수미;공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32-44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기능,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 대학생활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 간 상관관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1일부터 5월 20일 까지 지방에 소재한 2개의 4년제 종합 대학에 재학 중인 1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0.0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고, 사후분석은 s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가족기능은 5점 만점에 평균 $3.07{\pm}0.44$점이었고,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03{\pm}0.59$, 대학생활만족도 5점 만점에 평균 $3.20{\pm}0.50$이었다. 대학생활만족도는 일반적 특성 중 부모의 경제활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위변인인 가족의사소통(${\beta}=0.341$, p=.001), 부모의 경제활동유형(${\beta}=0.161$, p=.007)이었고 총 설명력은 13.1%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족기능 중 가족의사소통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유아기 자녀 가족의 가족체계 기능과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Family system functioning and parenting behaviors, sharing, stresses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 옥경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9-11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of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haring, and stresses by levels of family system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1,611 first married couples having at least one child aged under 5 years in the 6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Results: It was found that fathers' cohesion and flexibility were higher than moth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haring, and stresses by the level of family system functioning.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amily system functioning are related to parenting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urther implication were discussed for enhancing family system functioning and parent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이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aged for the policy implications)

  • 이경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3-252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이 사회참여 활동을 통하여 중 노년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ng modeling)을 작성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과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G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중 노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중 노년의 가족기능과 사회적지지는 사회활동참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긍정적인 태도를 견지함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