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 간호자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3초

암환자 가족 간호자가 인지하는 가족기능수행과 삶의 질 (Family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 in Cancer Patients)

  • 한금선;김순용;이숙자;박은숙;박영주;김정화;이광미;강현철;윤지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83-991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quality of life, family coherence,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s of the family care-giver caring for a cancer patient.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37 families with a cancer patient at a General Hospital and Government Cancer Hospital.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the level of family sense of coherence,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was sense of coherence and the variance was 30%. A combination of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resources account for 34 %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 caring for a cancer patie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 sense of coherence,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s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 caring for a cancer patient.

방문간호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가족의 건강교육 요구 (A Study on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 Perceived by Visiting Nurses)

  • 강영실;홍은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5-45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 perceived by visiting nurses. Methods: Mixed method was appli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4 visiting nurse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nurses' experience of health education. Results: Visiting nurses were mainly providing education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baby care.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 perceived by visiting nur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 diet, hygiene, contraception and family planning, and communication. Barriers to health education of visiting nurses were a lack of adequate health education materials and communication problems. Conclusion: To achieve effective health car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by visiting nurses, customized multi-language health education material focusing on five subjects, pregnancy and delivery, diet, hygiene, contraception and family planning, and communication, with easy terms and simple paragraphs is required.

토의 - 해결방법 요지 (Discussion - Problem solving process)

  • 홍승길;유성자;김종숙;전경희;노영희
    • 대한간호
    • /
    • 제17권2호통권94호
    • /
    • pp.56-62
    • /
    • 1978
  • 현재 우리나라 보건소사업을 Part별로 토의된 것을 대략 요약해보면, 정부에서 근래에 시도하고 있는 진료대상이 한정된 영세민이나 생보호자에게만 국한되어 있으며, 치료보다는 예방에 힘써야 하겠다는 점을 들 수 있겠고, 모자보건의 무료분만을 대폭 완화하여 최소한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임산부만이라도 모두 혜택을 주는 방향과 적기에 예방접종을 실시하도록 하며, 결핵은 조기발견, 조기치료, 예방접종이 중요하다는 것을 결핵사업에 종사하는 모든 요원들이 주민들에게 인식시킬 것이며, 가족계획에 있어서는 모자보건향상에 목적을 두고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아울러 강조한다. 끝으로 선진국은 인구 2,000명에 보건간호원 1인 꼴인데 우리나라는 12,000:1이므로 선진국에 비해 6:1이나 되는 보건간호원의 업무과다로 질적인 사업의 기대가 어려우므로, 인력과 경제소모를 억제할수 있도록 기구개편이 필요하며, 간호원이 가정방문시 기능별로 $4\~5$인의 중복방문으로 인한 인력낭비와 사업 우선 순위가 혼돈되어 전반 간호사업이 시급하다는 점을 들 수가 있다.

  • PDF

가정간호 가족 돌봄 제공자의 요구도 (Identifying the Needs of Home Care Patient's Family Caregivers)

  • 백희정;최윤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5-121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family caregivers of home car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40 caregivers had been selected from a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y in Gyunggi province. The instrument developed by Hileman, Lackey, & Hassanein(1992) was modified to 55 items and us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consists of 6 categories: informational, household, patient care, personal, spiritual, and psychological needs. Out of 29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and Spearman correlation test using SPSS 14.0. Results: Most caregivers were females, with a mean age of $60.0{\pm}15.5$, 32.1% were spouses, and 92.9% were living with patients.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 was very low, and 44% of patients had cerebrovascular disease. Caregiver's needs were moderate, and the greatest being personal ne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giver's monthly income and needs. Conclusion: Home care nurses need to teach and support family caregivers with specific programs and services to meet the identified and unmet needs of caregivers of home care patients. In-home respite and institutional respite are recommended for family caregivers taking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PDF

충북지역 보건진료원이 업무 분석적 연구

  • 김희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4-175
    • /
    • 1989
  •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업무를 분석하기 위하여 충북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136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흥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백분률, 평균값, 표준편차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조사기간은 1968 년 8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에 관련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분포는 30 - 34세가 30.1 %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61.8 % 였다. 종교는 기독교가 42.6% 로 많았고 학력은 3 년제 간호전문대학 과정졸업 자가 78.9 %로 많았다. 현 가족과 동거상태에서 배우자와 자녀가 함께 사는 경우가 76.5% 였고, 보건진료원의 경력은 1 년 마만이 41.2 %로 가장 많았다. 보건진료원의 업무에 관련된 배경을 살펴보면, 근무지역조건은 갑지가 65.3 % 였고, 현 거주지는 보건진료소내 숙소가 대다수 였다. 보건진료소는 신축된 건물이 대다수였고, 보건진료소 시설은 '그저 그렇다'고 대답한 수가 가장 많았다.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 수당은 월 $5\sim7$만원인 경우가 85.6 % 였다. 2. 보건진료원의 보건의료제공 실태는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이 현재 담당하는 주민수는 $501\sim1,000$ 명이 35.3 % 이고, 1,500 명 이상의 주민을 담당하는 경우도 32% 였다.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주만은 연평균 1,956 명이고, 보건진료소 평균 이용건수는 1,812건이다. 보건진료원의 직업만족도는 만족한다가 40.6%로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3. 보건진료원과 보건의료 관련기관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정도는 보건소 진료소가 1 위로 가장 많았고, 약국, 약방, 의원, 보건지소의 순위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관련기관과의 협조가 잘 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도 있는데, 보건소(19.7 %), 보건지소( 20.2%) 민간보건 의료기관(22.4 %)이며, 그 이유를 알아서 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겠다. 원하는 감독체계는 보건소장(47.3 %), 보건간호 전문가(37.2 %)로 나타났으나 이는 현재있는 감독체제내에서 생각한 것이며 간호전문가에 의한 새로운 감독체제를 원하고 있었다. 많이 이용하는 의뢰 기관은 병원(52 %), 의원(24.4 %), 보건소(10.2 %) 순이었다. 4.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별 수행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을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평균 평점을 보면통상질환 관리가 3.70점,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가 3.44 점, 사업계획 수립이 3.19 점,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이 3.17 점,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이 3.14 점, 지역사회 보건관리가 3.09 점, 보건 정보체계 개발이 3.02 점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지역사회 보건관리가 3.09점으로 통상질환 관리 3.70 점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차보건의료 사업 정착의 과도기적인 현상으로 생각하며, 이 부분을 더 많이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48 시간, 사업계획 수립 3.55 시간, 지역사회보건 관리 6.74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5 시간, 통상잘환 관리 15.94시간,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 4.39시간, 보건정보체계 3.62 시간으로 나타났다. 보건진료원이 통상질환 관리와 더불어 예방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행정적, 교육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다문화가족의 건강욕구 분석 및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방안 (Policies and ICT Strategies based on Health Need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정수용;이선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14
    • /
    • 202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건강욕구 및 관련 정책들을 파악하고, ICT를 활용한 건강정보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건강실태를 1차적으로 분석한 후,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간 다문화가족의 건강정책은 타 부문에 비해 정책우선순위가 밀려 있고, 다문화가족의 건강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논의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가족을 심층인터뷰한 결과, "한국사회 진입초기 경험", "의료기관 이용시 높은 언어장벽", "다양한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보건의료 관련 서비스 욕구가 높은 영역" 등의 4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문화가족의 건강권 보장 및 건강정보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의료기관의 언어적 지원체계 강화, 정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적 노력, 수요자 중심의 쌍방향 ICT 플랫폼 설계 등을 제언하였다.

집단적 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 유은광;전상희;양정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93-70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36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experimental(N=18) and control(N=18) groups] in a neurosurgery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for two weeks and the degree of their caregiving burden was evaluated. Dat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s, t-tests, and paired t-tests using SPSS 10.0.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burden score (t=2.06l, p= .047)and sub-scales of emotional(t=-3.319, p= .002), time-dependent(t=-2.045, p= .049) and developmental(t=-2.656, p= .012) burde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hysical, social or financial burden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ysical(t=2.507, p= .023), emotional(t=4.754, p= .000), social(t=2.932, p= .009), time- dependent(t=5.015, p= .000) and developmental(t=7.541, p= .000) burden scores but not the financial burden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program to reduce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부양부담과 가족극복력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Adapt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 장혜영;이명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25-73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burden, family resilience and adaptation of caregivers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furth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adapta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131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patients who visited at the Centers for Dementia in Seoul during 2012~20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care giving subjects was 63.58, and 31.3% were male, and 41.2% were the spou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burden and adaptation (r=-.38, p<.001), and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adaptation (r=.52, p<.001), and between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r=-.35, p=.001). Thirty percent of adaptation was explained by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to adaptation was family resilience which explained about 27%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indicate that family resilience explains better than burden on adaptation of family caregivers. Thus, to develop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it would be necessary to integrate family resilience in the programs. 27% is not that much and I wonder if we have to do more work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 giving.

전화추후관리가 항암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자가간호수행 및 가족원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lephone Follow-up on the Self-Care Performance fo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 장옥점;우선혜;박영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9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2004 to examine the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on the performance of self-car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on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Method: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eventy-two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18 cancer patients, 18 family caregivers) or the control group (18 cancer patients, 18 family caregiver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t-test, Mann-Whitney U Test & Wilcoxon Signed Ranks Test. Results: Performance of self-c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telephone follow-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8.016, p=0.000). Role stress of family memb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133, p=0.042).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telephone follow-up is effective fo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elephone follow-up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elf-care performanc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to reduce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 PDF

여성결혼이민자가 경험하는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T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acially Married Female Immigrant's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 Qualitative Methods)

  • 한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66-5075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에 여성결혼이민자가 경험하는 다문화가족 적응 형태를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봄으로써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는 기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이다. 연구참여자는 여성결혼이민자 총 13명이다. 연구방법은 관찰과 심층면접, 상담, 그리고 주변 인물들을 통한 비공식적인 대화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Spradley(1990)의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로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여성결혼이민자에서의 양육경험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는 '의사소통의 장애', '열약한 양육환경', '이질적인 문화', '양육책임의 떠맡음', '고국가족에 대한 그리움',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가족에게는 '수치감', '양육의 무관심'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게는 '외톨이', '언어발달의 장애', '학습능력의 부족', '영양불량', '문제행동'이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가족의 공통적인 요소에는 '다문화 이해부족', '의사소통 단절', '종속관계', '신뢰감부족'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자녀의 공통적인 요소에는 '외모의 차이', '가족 사회적 차별'로 나타났다. 가족과 자녀의 공통적인 요소에는 '양육 참여 부족', '놀아주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가족, 그리고 자녀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요소는 '사회적 편견', '불안정한 가족분위기', '저소득', '한국인으로 뿌리내리기'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