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지원

Search Result 1,09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upporting child care and dynamics of family in transition (조부모전환기 조모가 인식한 손자녀 양육지원과 가족의 역동)

  • Kwon, Eun Bi;Lee, Jeong Hwa;Kim, Seon Mi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19 no.1
    • /
    • pp.111-13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grandmothers and family in transition. Grandmothers in transition means grandmothers who had married children at least one even if there are no grandchildren yet.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20 grandmothers in transition of 5 focus group(each 4 persons) interview. 9 of them was pre-grandmother without grandchildren yet, 11 was grandmother who had grand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grandmotherhood. Dynamics of family in transition around supporting child care represent change of family relations. It didn't means 'empty-nest' model of foreign theory. The Absolute quantity of intergeneral exchange and conflict extended as three generational families.

A Needs Assesment and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Support Services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 요구 및 만족도 조사)

  • Jeon Gwee-Yeon;Kim Su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3 no.5 s.207
    • /
    • pp.57-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assessment and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support services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146 mothers and 138 teachers of 3- to 6-year- old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kindergartens in Daegu, Seoul, and Kyungn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needed information and financial support most. The level of the mother's needs was related to the type and degree of disabilities, child's sex, child's age,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father's occupation.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mothers in the integrated kindergarten education programs was generally low. Third, mothers needed parental training of child's problem behavior, mother-child interactions program, and parental education of developing child's creativity.

농촌노인의 삶의 질과 복지정책의 문제점

  • 박옥임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2-72
    • /
    • 2003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위기의 상황에서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의 측면에서 가족 및 사회적 관계는 어떠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농촌노인들의 복지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농촌노인의 삶의 질을 살펴보기 위하여, 농촌 노인의 가족구성을 살펴본 결과 농촌노인들은 노부부만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39.0%), 결혼한 아들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27.3%), 독거(21.2%), 미혼자녀와 함께 사는(7.9%)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관계는 따로 사는 자녀와의 관계가 가장 높으며(97.1%), 그 다음으로는 친한 친구나 이웃이 있고(94.8%), 자주 왕래하는 비동거 자녀는 평균 2.4명, 친척은 약 3명, 친구나 이웃은 5.5명으로 총 약 10여명의 가까운 사람들과 교류하여 사회적 관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농림부, 2002). 농촌노인의 삶의 질은 가족간의 관계가 아주 중요한 지원 체계로서 자녀와 동거하는 농촌노인들은 단독가구 노인에 비해 높은 생활만족도, 높은 행복감, 낮은 고독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한경혜, 2003), 노인의 사회적 지원 망의 크기가 크고 다양할수록 노인의 생활 만족도나 심리적 복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 PDF

우리 사회의 사랑과 관심속에서 희귀난치성질환, 희망을 그린다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4 s.428
    • /
    • pp.28-29
    • /
    • 2004
  • 지난해 9월 정부에서는 진료비 지원대상에 포함되는 희귀난치성질환에 페브리병 등 3개 질환을 추가해 모두 11개 질환으로 늘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100여 종이 넘는 희귀난치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희망을 주기에는 아직 역부족이 아닐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