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상담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7초

가족의 변화와 가족학의 과제 (A Study of the Changes of the Family and the Tasks of Family Studies)

  • 전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7
    • /
    • 2000
  • Every part of our society changes rapidly in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 is needed to change the study area following the social chang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at the changes of family studies as a part of living sc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families, predicts the outlook of future families, and defines the tasks of family science. In spite of some negative thoughts about future family, most of family scientists have very optimistic prospects. They predict that the importance of family will increase in future. Therefore, there are lots of tasks we have to do as family professionals. Among them, this paper focus on family life education and family counselling. People need to study family life education for preventing family problems and they need family counselling to overcome family crisis. So the family scientists should develop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and family counselling theories and skills.

  • PDF

노후준비 인식과 행동에 대한 노후 생활설계 상담의 효과 (The Efficacy of Retirement Planning Counsel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Awareness and Behavior)

  • 성혜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4호
    • /
    • pp.171-187
    • /
    • 2013
  • Individual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counseling for retirement planning on awareness and behavior related to retirement preparation. The data came from 3,561 adults who received counseling from National Pension Service.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wareness and behavior for retirement preparation after receiving counseling services ; (2) young age, type of counseling (comprehensive diagnostic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counseling method (face-to-fa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awareness and behavior ; and (3) expertise and adequacy of counseling, as well as the attitude of counselors, had an influence on changes in awareness and behavior.

  • PDF

한부모가족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활성화 방안 및 효율적 정보전달체계 연구 (Developmental Alternatives and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Single-Parent Families)

  • 김경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73-89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single-parent families and to propose developmental alternatives and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se objectives, the concurrent-type program for single-parent families that emphasized communication skills, psychological strategies, and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ships was construc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pre-, post test through 163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it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satisfaction of life and communication. Several programs for single-parent families using on-line or off-line were analyzed and more effective alternatives were proposed. For improving of wellbeing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welfare system must be changed to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nd systematic information service network.

Factors Related to Success in Relactation

  • Cho, Su-Jin;Cho, Hye-Kyoung;Lee, Hee-Sook;Lee, Keun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32-238
    • /
    • 2010
  • 목적: 모유수유율이 증가하면서 재수유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성공적인 재수유에 기여하는 인자를 조사하기 위해서 약물, 모유수유 보충기, 상담, 가족의 지지 등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후향적인 의무기록 조사와 2004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본원 재수유 클리닉을 방문한 아기 엄마들에게 전화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8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재수유의 성공에 도움이 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75%에서 완전 모유수유로 성공적으로 이행할 수 있었다. 재수유 클리닉을 다니면서 재수유에 성공한 경우 의료진에 의해서 재수유 클리닉으로 의뢰된 경우, 약물을 사용한 경우와 가족의 지지가 있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재수유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산모들에게 재수유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고, 필요 시 유즙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처방하고 상담 기간 동안 가족과 함께 상담을 받게 해서 정신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우자의 가해자 교정·치료 프로그램 이수에 대한 피해자의 경험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victim about spouse who completed domestic violenc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 강진아;신지영;이현숙;제오복;조명숙;진희경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5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phenomenon of spouses experienced by offenders after completing th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Method: For this purpose, among the offenders who received the decision of counsel (counseling order) accused by domestic violence, who the other spouse selected case without counseling. After the in - depth interviews with the 9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zzi '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Results: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ategory 1 was "Experiences about causes of violence", category 2 was "Experiences with forms of violence", category 3 was "What I wanted about my spouse when I called the police", category 4 was "What I wanted for myself when I reported to the police", category 5 was "the situation of the offender after completing th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category 6 was "what I experienced after completing th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and category 7 was "Experiences for Follow-up consultation need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unseling for perpetrators who are violent actors needed a therapeutic approach not only to strengthen the temporary punishment but also to help the family recovery on a continuous and sustainable level.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policy intervention for domestic violence were suggested.

보호관찰에 있어서의 가족학의 역할과 과제 (The Role and Tasks of Family Science in the Probation and Parole System)

  • 이정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
    • /
    • 2002
  • This paper was written to present the recent trend of juvenile delinquency within the context of family system and to provide the role and tasks of Family Science in the area of Probation and Parole System in Korea. Since Family Science provides knowledges and skills to help for both adolescents and their families by improving interactional functions, the role of Family Science was focusing more on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perspectives. The tasks of Family Science, especially, in family life education, family therapy, and family policy, were as follows: 1) to prevent recurrence of misbehavior by family life education. 2) to draw the cooperation with the judicial system. 3) to provide the advanced course for volunteers. 4) to perform crime prevention education for normal adolescents. 5) to join the official education for civil service personnel. 6) to manage group-home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bation period.

  • PDF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가 도박중독자에 대한 가족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Music Therapy on Family Members' Attitudes Towards Gambling Addicts)

  • 윤혜영;서상범;박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69-27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박중독자 가족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프로그램이 도박중독자에 대한 명시적, 암묵적 태도 변화를 발생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박문제관련 상담센터를 이용하거나 단도박가족모임(GAM-ANON; 이하 GA)에 참여하고 있는 도박중독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n=11)은 8회기의 긍정심리기반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n=8)은 8회기의 개인상담을 실시하거나 GA 가족모임에 참석하였다.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족관계에 대한 태도를 명시적(가족관계척도), 암묵적(IAT; Implicit Assoication Task)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외에 자기보고식 방식으로 정서 및 분노(PANAS, HBDIS)의 변화를 함께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긍정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치료집단의 암묵적인 태도의 경우, 가족과 부정단어를 연합시키는 속도가 유의하게 빨라졌으며, 이는 치료를 통해 도박중독자 가족들이 중독자 가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에는 도박중독자들의 가족 구성원들의 태도 변화를 직접적으로 이끌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Genetic Counseling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 김현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89-99
    • /
    • 2011
  • 유전상담이 왜 국내 의료 현장에서는 필요한 의료서비스로 제공되고 잇지 않은 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미국과 일본에서 유전상담이 필요한 유전 의료 서비스의 일환으로 정착되는 배경과 과정을 비교 고찰하였다. 동시에 국내 유전의료서비스의 현황과 유전상담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경우에는 1970년대 초에 산전 진단이 보편화되면서 유전상담의 수요가 늘게 되어 새로운 직종의 전문 유전상담사를 양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재 29개의 양성과정의 교육을 통해서 3,000명에 가까운 전문유전상담사가 배출되어 임상유전 의료팀의 일원으로 임상유전학 전문의의 감독 하에 유전상담을 제공하고 있으며, 21세기 유전의료시대에 요구되는 생명유전정보관리를 위해서 유전상담의 필요성과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정부주도하에 HGP 유전체 연구사업 이후 21세기 유전의료시대의 도래를 준비하는 밀레니엄 프로젝트 차원에서 <유전의료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및 <유전 카운슬링 체제의 구축>을 위한 대규모의 연구단을 구성하여 임상유전 전문의의 제도화와 본격적인 임상유전 전문 분야의 서비스가 의료기관에 개설되는 동시에 비의사를 위한 인정 유전카운슬러의 양성과 자격에 대한 연구를 거쳐서 2003년 7개의 대학원에서 유전상담사 양성 과정이 인정되어 2012년까지 110명의 유전카운슬러 배출을 목표로 현재 100명이 넘는 유전상담사가 인증되었다. 사회적 의료 수요에 부응하는 의학유전 유관학회와 교육기관의 전문가 그룹이 선도한 미국의 유전상담사 양성 프로그램과 정부 주도 하의 시대적 의료 변화에 부응하는 연구에 전문가들의 참여로 체계적인 유전상담 프로그램개발을 정착시킨 일본의 경우, 모두 비의사 유전상담사에 의한 유전상담 서비스에 대한 보험급여 등의 제도적인 보완 없이 선행되었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본다. 한국의료 현장에서 유전상담 서비스가 시도되지 않는 주 장애요소로는 유전상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무관심, 국내 의료 제도 하에서 의사의 진료 수가가 너무 낮아서 그 결과 외래에서 한 환자의 진료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을 초가 할 수 없는데, 유전상담 서비스는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최소30분이상). 또한, 건강보험 급여제도에서 '유전상담'을 필요한 의료 행위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서 아직 code 조차 생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요인으로 유전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상유전 전문의가 절대 부족하고, 최근까지도 국내 의과대학 교육 curriculum에 유전상담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 의료인에게는 유전상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무관심 등이 유전상담 서비스의 걸림돌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 2007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 조사 연구에서 유전의료 현장과 연구 부분에서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가 매우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부는 희귀난치성질환센터 Help Line의 유전질환 정보 제공을 통해서 유전상담을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로 의료 현장에서는 유전상담이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근육장애인협회, 저신장장애인협회, 코헴회등, 유전성환자들로 구성된 국내 자조회 등에서는 유전상담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서비스를 요구해오고 있다. 최근 한국희귀질환재단에서 유전성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들에게 유전상담 교육 강좌를 제공한 후 설문조사에 응한 283명의 81%가 이전에 유전상담에 대해서 접해 본 적이 없었고, 96%에서 유전상담이 희귀난치성질환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2009년 실시한 국내 실정에 맞는 유전상담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기관의 인정 및 전문 자격 인증제도 수립에 대한 연구에서 관련 업무 전문 종사자 총 117명(의사52명, 전문 연구원30명, 간호대학 교수 26명 포함) 중 설문조사에 응한 88%가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 주관하고 유전상담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증제도를 구체화 할 것을 촉구하였다.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수련 및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는 것은 전문학회의 역할인 동시에 "사회적책임"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분야(신기술)의 전문 임상 인력을 양성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유전상담사의경우, 2년의 대학원 과정과1년의clerkship, 임상수련과정 등으로 적어도 3년)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는 전문 유전상담사 양성을 위한 선 교육, 후 제도적 보완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UNESCO에서는 이미 1995년 Report에서 유전상담은 유전자 검사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21세기 유전의료시대) 의료현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문 분야로서 유전정보와 기법을 환자 진료에 연결하는 것을 돕는다고 하였다. 유전상담은 21세기 post-genome의 맞춤의료시대에서 그 역할과 적응범위가 확대되어가는 유전의료서비스의 일환이라는 것을 국내 의료계와 정부 의료 정책 부서에서 인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저진료 수가의 의료정책 제도 하에서는 의사가 환자를 위해 충분한 진료시간을 확보하기 힘든데, 비의사전문유전상담사를유전의료팀의일원으로 유전상담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확한 유전정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서 맞춤 유전 의료 서비스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종합적인 유전의료 서비스의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유전상담 서비스 공급을 위한 전문 인력(유전상담사포함) 수급에 대한 지원 사업과 유전상담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인정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