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al Alternatives and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Single-Parent Families  

김경신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여성 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1, no.7, 2003 , pp. 73-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single-parent families and to propose developmental alternatives and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se objectives, the concurrent-type program for single-parent families that emphasized communication skills, psychological strategies, and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ships was construc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pre-, post test through 163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it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satisfaction of life and communication. Several programs for single-parent families using on-line or off-line were analyzed and more effective alternatives were proposed. For improving of wellbeing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welfare system must be changed to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nd systematic information service network.
Keywords
single-parent families; education and counseling; information service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정자(1985). 편부모가족의 지원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여성연구, 3(1), 30-78
2 옥선화, 성미애, 허정원(2001). 경제위기 이후의 빈곤 여성가장의 생활실태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9(2), 1-13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3 장혜경, 송다영, 김영란, 김정훈(2001). 한부모가족및 실질적 여성가장가족의 여성을 위한 가족정책방향과 과제. '여성과 가족정책 세미나', 한국여성개발원
4 최선화(2000). 편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복지학, 6, 187-214
5 통계청(2000). 인구주택 총조사 보고서
6 한국여성개발원(1998). 저소득 모자가정의 자립방안연 연구
7 한국여성개발원(2000). 최근 가족해체 실태 및 복지 대책
8 현온강, 이순덕(1992). 양친가정과 결손가정의 스트레스 인지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가정교육학회지, 3(1), 131-146
9 Hetherington, M. & Anderson, E. (1989). Marital transition: A child's perspective. American Psychologist, 44, 303-312   DOI   ScienceOn
10 조성혜(1997). 집단 프로그램을 통한 모자자족의 자조집단 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조희선(1991). 모자가족과 부부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비교연구. 성신여대 박사학위 논문
12 김양호, 박정희, 유계숙, 전춘애(2002). 모자보호시설 입소모자가정의 가족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시 모자보호시설 종사자와 입소 어머니의 요구도 조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3), 99-113
13 김오남(1998). 편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복지.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2000). 가족관계학. 교문사
15 통계청(1966), 인구주택 총조사 보고서
16 Berman, W. H. & Turk, D. C. (1981). Adaptation to divorce: Problems and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1), 179-189   DOI   ScienceOn
17 유영주, 오윤자(1990).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위한 기초 연구 I.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49-68
18 Lowman, J. C. (1980). Measurement of family affective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4, 130-141   DOI
19 Webster-Stratton, C. (1989).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upport,conflict,and divorce to parent perceptions,behaviors, and childhood conduct problem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2), 417-430   DOI   ScienceOn
20 김경신(1997). 편모가족에 대한 가족생활교육 실태 분석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2), 187-199
21 김득성(2001). 이혼적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단기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1-8
22 강기정, 이무영, 김영희(2002). 한부모가족 복지 지원체계로서의 가상공동체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웹사이트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0), 141-159
23 임춘희(1999). 가족상담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종합상담체계구축과 가족상담교육을 위한 세미나', 한국가족상담교육단체협의회
24 McLanahan, S. & Sandefur, G. (1994). Growing up with a single parent. Havard University Press
25 옥선화, 성미애, 이재림, 이경희(2002). 빈곤 여성가장의 모- 자녀관계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55-78
26 김경신(1999). 농촌지역 편부모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7(3), 127-142
27 한국여성개발원(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28 Barnes, L.H, Osmond, D.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29 김종우, 장환일, 반건호(1995). 부의 결손이 청년의 성격요인 및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4(1), 216-227
30 양해경(2001). 한부모기족의 문제와 사회복지지원체계에 대하여 '여성과 가족정책 세미나', 한국여성개발원
31 Weinraub, M. & Wolf, B.M. (1983).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s on mother-child interactions in single- and two-parent families. Child Development, 54, 1297-1311   DOI   ScienceOn
32 Weiss, R.S. (1979). Growing up a little faster:The experience of growing up in a single-parent household. Journal of Social Issues, 35, 97-111   DOI
33 한국여성개발원(2002).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34 Amato, P.K (1987). Family process in one-parent, stepparent and intact families: The child's point of 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2), 327-337   DOI   ScienceOn
35 최연실(1999). 가정복지정책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쟁점 '21세기 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 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36 한경혜(1993). 한국 이혼부부의 적응과 관련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혼과 가족문제. 하우, 79-104
37 김태현, 김순옥, 임춘희, 조은숙(2000). 가족상담서비스의 현황과 정책적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161-186
38 Booth, A. & Amato, R. (1991). Divorce and psychological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2, 396-407   DOI   ScienceOn
39 김영희(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40 김재인(1995). 여성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49, 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