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 위탁보호서비스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보호의 비교 - (Longitudinal Study on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 Comparison among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

  • 이상정;강현아;노충래;우석진;전종설;정익중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97-119
    • /
    • 2017
  •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9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 궤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 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가정위탁서비스의 보호형태별 특성과 위탁아동의 적응에 관한 요인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Foster Care Types and Factors of the Adjustability for the Foster Children)

  • 양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131-148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family foster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of foster parents-surrogate, kin, general parents and predicting factors of foster children's adjustability to new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618 cases of foster parents in 17 areas of the country through stratified sampling. It was found that the surrogate foster parent, tends to be older, received less education, has lower income, and is in poor health, as opposed to kin parents or general foster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foster parent's age, living arrangement, income, education, consideration of foster child, and the periods of foster care experience as well as child's sex, contact of biological parents on emotional, behavioral, and family relational adjustment of the foster children.

전통춤프로그램이 가정위탁아동의 대인관계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ditional Danc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Foster Care Children)

  • 배나래;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42-247
    • /
    • 2017
  • 가정위탁제도는 일반적으로 친부모로부터 적절한 보호와 보살핌을 받을 수 없는 아동이 위탁가정에서 친부모를 대신하여 규정된 시간 안에 계획 하에 구성된 필요한 보호를 받으면서 가정의 기능을 보완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이다. 위탁보호아동들이 겪게 되는 정서적 어려움 중 큰 부분은 대인관계 부적응이다. 긍정적이지 못한 대인관계로 인해 낮은 자아존중감이 나타나며,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위탁아동들을 대상으로 전통춤 프로그램을 통해 가정위탁아동의 대인관계를 향상 시키며 이를 통한 대인관계 효과를 검증하여 전통춤프로그램이 대인관계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통춤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아동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프로그램 후 대인관계 점수가 상승하였다. 아동간의 친밀감 형성 및 의사소통 등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초기에는 프로그램에 적극성이 떨어졌으나 프로그램 중반으로 갈수록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인 모습이 자주 관찰 되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중반부로 갈수록 친밀감이 형성되면서 의사소통 횟수가 증가 하였으며, 또래 관계에 있어서 자신감이 향상 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전통춤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에 대한 기초연구로 추후연구에서는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된 전통춤프로그램을 장기간에 걸쳐 적용함으로서 가정위탁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대인관계능력이 향상 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의 미국 CASA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 미국과 한국의 아동보호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US CASA Program in Korea - Focusing on comparison of child protection service between USA and Korea)

  • 박성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473-489
    • /
    • 2018
  • 최근 한국 사회는 연일 쏟아져 나오는 아동방임 및 학대 사건으로 충격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학대를 경험한 피해아동은 정서적, 정신적, 신체적 외상으로 불완전한 아동보호체계 아래 또 다른 사회문제의 중심에 서있을 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 있다. 이러한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미국에서는 CASA(Court Appointed Special Advocates: 법원임명특별옹호자)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 CASA 프로그램의 효과는 수많은 연구를 통해 학대아동을 위한 질높은 옹호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그들을 위한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으며, 아동복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한국에서도 2014년 아동학대 범죄 등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정(이하 '아동학대처벌법')으로, 학대아동이 공적체계 보호로 들어온 것은 사실이나, 이들의 안정적인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정서적 지원은 미흡한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도 아동학대에 대한 공적체계의 개입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아동학대 재발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국가의 개입 강화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이러한 변화들은 미국의 CASA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한국 사회에 국가적인 사업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것을 통해 아동학대 피해아동의 안전과 권리가 보호받을 수 있는 체계와 학대 피해아동이 방치되어 더 큰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hild Welfare Employees)

  • 강현아;노충래;박은미;신혜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07-127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요인(역할 갈등, 아동복지 업무고충 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의 양에 대한 인식이 소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지 그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정위탁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 담당자들로 총 190명을 포함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보다는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대한 인식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