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환경의 질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6초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욕실의 모듈별 디자인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ule-specific Design Platform for a Bathroom Using Universal Design)

  • 이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66-476
    • /
    • 2019
  •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을 활용하여 고령자, 장애인, 일반인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및 적정 환경에 맞춘 유연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상별 분석에 따른 최적의 크기, 색상 등을 도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맞은 세부적인 모듈별 디자인 플랫폼을 구축함으로 보다 편리한 환경을 구현하고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의 이해와 욕실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다양한 사용자별 분석으로 디자인 전개를 진행하였다. 결과물을 통해 가상환경을 조성하여 일반인과 장애인등의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1,2 차에 걸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평균 90점 대 이상의 우수한 평가를 얻었으며 이는, 기존 욕실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별 디자인 플랫폼 개발로 주거공간에서 욕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가정환경 조성 및 건강한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리라 판단한다. 향후 이러한 모듈 시스템들이 욕실 내에서만 머무르지 않으며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다양한 주거 공간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제7차 기술$\cdot$가정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 가정과교육 영역을 중심으로 - (Empirical Survey for the Evaluation of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3-156
    • /
    • 2005
  • 이 연구는 중등 기술$\cdot$가정교과에서의 교육내용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선은 교육내용 적정성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이러한 적정성을 교과에서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구안하였다 즉, 중등 기술$\cdot$가정 교과에서는 교과내용의 학습량, 내용의 난이도, 내용의 타당도, 내용의 연계 등의 4가지 준거를 교육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준거틀로 설정하고, 적정성 평가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cdot$교수를 대상으로 한 전국적인 단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내용의 학습량에 대한 평가에서는 6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30\%$가량 감소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맡았으나, 중학교 교사들은 '활동 중심인 교과 성격상 수업시수가 부족'하다는 이유를 지적하면서,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배우는 학습량이 '맡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내용의 난이도에 대한 평가는 전체적으로 '적절하다'는 응답(교사)과 '어렵다'(학생)라는 응답으로 서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이해도가 떨어지는 단원은 중등의 기술 영역에서 중학교의 '제도의 기초', '기계의 이해' 단원, '전기$\cdot$전자 기술',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이고, 가정 영역에서는 고등학교의 '가정생활의 설계' 단원만이 학생들의 이해정도가 떨어지는 단원으로 나타났다. 세째, 내용의 타당성과 관련해서는 기술·가정과의 교육목표를 고려할 때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교육내용은 '제도의 기초', '컴퓨터와 정보처리', '자원의 관리와 환경'의 단원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의 연계성은 교과 명칭에 대한 조사를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교사는 '기술$\cdot$가정으로 그대로 둔다'의 응답이 가장 많았고, 사대 교수들은 '기술$\cdot$가정으로 그대로 둔다'는 의견$(45.5\%)$보다, 초등 실과교과와의 연계성 확보의 차원에서 제3의 명칭으로의 개칭을 원하는 의견이 다소 많은 것으로$(50.5\%)$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내용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준거틀에 대한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검토를 통하여,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적합하게 평가 준거틀이 수정$\cdot$보완되고, 이러한 수정된 평가틀에 의하여 적정성 평가 연구가 지속되어, 우리 교과의 교육과정의 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분석 시스템 구현 (Implement of Analysis system with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Based on IoT)

  • 남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687-1692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들이 출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을 실내 환경 분야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수준은 아주 미약하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대기오염물질 또는 실내 공기질을 분석하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아두이노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환경 수치를 측정하고, 각종 센서로 부터 얻은 정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서버에 저장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가정 또는 회사의 실내에 설치된 환기장치나 공기청정기에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의 비용을 줄이면서 모니터링센서 모듈의 LED 상태표시를 통해 즉각적인 실내 환경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유아 어머니의 유아식사에서 가정간편식 이용 빈도에 따른 유아 자녀의 식사의 질 평가 (Use of mothers' home meal replacement and diet quality of their young children)

  • 김보연;김미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3호
    • /
    • pp.292-304
    • /
    • 2021
  • 현대 가정에서 가정간편식 (HMR)의 이용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식습관이 형성되고 음식 섭취에 있어서 자기 주도적 성향을 나타내는 만 5세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아식사에서 HMR 이용 실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식사에서 HMR 이용 실태와 유아의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내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37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부터 7월까지 유아 식사에서 가정간편식 이용 실태, 미취학 아동대상 영양지수 평가를 위한 식습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 식사에서 HMR 이용빈도를 조사한 결과 주 3회 이상 섭취가 62명 (18.4%), 주 1-2회 섭취 145명 (43%), 주 1회 미만 섭취 130명 (38.6%)의 분포를 보였다. 이에 유아 식사에서 HMR 이용빈도에 따라 대상자는 '주3회미만섭취군', '주1-2회섭취군', '주1회미만섭취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유아 어머니의 평균 나이는 38.3세였으며, 어머니의 직업은 세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이 전업주부가 가장 많았다. HMR을 구입하는데 드는 한 달 평균 비용은 주3회섭취군은 20-30만원, 주1-2회섭취군은 5-10만원, 주1회 미만섭취군은 5만원 미만의 비율이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p < 0.001). 자녀의 식사에서 HMR 이용 빈도에 따른 식습관은 세 군간에 콩이나 두유, 생선, 육류, 채소류 반찬, 흰 우유 섭취 빈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p < 0.01), 가공 육류 (p < 0.001), 가공 음료 (p < 0.001), 피자나 햄버거 (p < 0.001)의 섭취 빈도는 세 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 HMR 이용 빈도가 높은 군일수록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 자녀의 영양지수를 평가한 결과 영양지수 총점은 주3회이상섭취군 60.5점, 주1-2회섭취군 63.0점, 주 1회섭취군 64.5점으로 HMR 이용 빈도가 높은 주3회이상섭취군이 다른 두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1). 영역별 점수에서 균형과 환경은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 영역은 주3회이상섭취군 44.1점, 주1-2회섭취군 51.3점, 주1회미만섭취군 57.5점으로 HMR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 어머니가 유아의 식사에서 HMR의 이용빈도가 높은 경우 전체 및 절제 영역의 식사의 질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유아 자녀의 식사는 주 양육자 어머니가 준비하는 음식에 의존하게 되므로 자녀의 건강을 위한 균형 잡힌 영양섭취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어머니의 올바른 식품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식습관 형성기에 있는 유아 자녀의 식사에서 지나친 가공식품의 사용을 절제할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이를 위해 유아 식사의 주된 관리자가 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주택유형이 주거환경의 질인지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type on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e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 김미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5-66
    • /
    • 1985
  •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quality of housing envirionments between single family house and apartments. To be specific, firstly, it is to be examined as to whether there exists any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of single family house and those of highrise apartment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 Secondly, the major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 may be linked to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are to be explor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housing environment is composed of four factors such as living space, noise, neighbor environment, and structural feature.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inistered to 125 home makers living in single family house and 125 home makers in high-rise apartments in Kwangju.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in thi study: 1) Resjdents of apartments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structural feature of housing unit and less satisfied with noise than those of single family house. There are negligible differences between two housing types in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living space, and neighbor environment. 2) According to the singhle family house group, it is found that structural feature, neighbor environment, and living space predict most of the variance in the level of housing unit satisfaction. It is also turned out that neighbor environment, noise, and structural feature have impact on the level of neighborhood statisfaction. 3) the apartments group shows that structural feature is the only predictor having impact on housing unit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neighbor environment factor predicted the level of neighborhood satisfaction.

  • PDF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소비생활 변화와 소비자교육 (Changes in Consumption Life and Consumer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89-104
    • /
    • 2017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며 소비생활 측면에서 지능정보기술이 가져올 변화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생활 측면에서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체적인 소비자로서 현명하게 미래 소비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먼저 제4차 산업혁명에서의 소비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부분에서 생산과 소비는 초연결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면서 융합되고 있다. 소비의 의미는 정신적 경험과 체험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소유보다는 사용과 공유가 부각되고 있다. 주요 소비생활의 변화에 있어서는 더욱 편리해지는 스마트한 소비생활이 나타날 것이며, 개인별 수요에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소비가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적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며, 급변하는 소비트렌드의 변화는 소비자중심으로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4차 산업혁명에서 예견되는 소비생활에서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면, 지능정보기술 권력중심으로 인한 불평등적 소비가 나타날 것이며, 개인정보 데이터의 활용 및 관리 문제가 나타날 것이다. 또한 신기술 도입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대두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소비의 행복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가정교과 소비자 영역에서는 우선적으로 가치 중심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소비의 윤리적 측면이 고려되어져야 하며, 소비생활에서 신뢰와 상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창의적 융합이 가능하도록 소비자교육이 진행되어져야 한다.

도시지역 실내환경 유형별 공기질 특성 평가 -가정, 사무실 및 식당을 중심으로- (Characterization of Air Quality in Various Types of Indoor Environment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Homes, Offices, and Restaurants -)

  • 백성옥;김윤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3-360
    • /
    • 1998
  • In this study, comprehensive air quality monitoring was undertaken with a variety of objectives to collect data on the levels of various indoor and ambient air quality parameters in the urban areas of Seoul and Taegu. The sampling sites were comprised of six offices, six residences and six restaurants in each city. The ambient air adjacent to the indoor sites was also simultaneously sampled for the same constituents. The sampling was conducted in two phases: summer of 1994 and winter of 1994/95. A range of air quality parameters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which include RSP, CO, COB, NOB, a range of VOC, airborne microbial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indoor and ambient levels of the pollutants measured in this study varied widely between the three types of environments studied. Comparison of median values for the three groups revealed that restaurants had higher indoor levels of most pollutants than homes or offices. There was also a clear pattern of the indoor levels of target pollutants being higher than those outdoors, particularly in restaurants. Concentrations of CO and most of the VOC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mmercial districts, indicating the influence of vehicle exhaust emissions. A very wide range of VOC levels was documented in this study. Although median indoorloutdoor ratios indicated a generally increasing level of VOC indoors when compared to those outdoor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ndoor and outdoor VOC levels in homes and offices, implying the importance of ambient air quality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for homes and offices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re was a general pattern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from summer to winter, and similarly from outdoor to indoor air for nearly all target compounds. The seasonal differences in median levels were very clearly seen for fuel combustion related pollutants such as RSP, CO and VOC, this being attributed to the effects of increased fuel consumption during the cold season and to meteorological factors.

  • PDF

ToF 카메라를 이용한 제스처 정보의 추출 및 전송 (Extraction and Transfer of Gesture Information using ToF Camera)

  • 박원창;류대현;최태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103-1109
    • /
    • 2014
  • 최근의 CCTV 카메라는 많은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고화질 영상을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경우 큰 부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환경에서 Kinect와 같은 ToF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스처 정보를 추출하고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ToF 카메라의 성능에 의존하므로 응용 분야에 제약이 있을 수 있지만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소규모 실내공간의 보안 또는 안전 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개발 기업에 대한 창업 성공 요인 분석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for Key Success Factors about Technological Entrepreneurs - Case in Korea)

  • 신유섭;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54-560
    • /
    • 2009
  • 연구개발 자원을 활용하여 창업하는 경우 초기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물적, 인적 자원 등의 투입 여부, 규모와 시기, 방법의 적절성 등이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 발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세계적인 기술의 흐름과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창업 단계로의 성공적인 발전에 대한 확률이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관련 있는 여러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 여러 가지 요인들 중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 기업의 경우 성공적인 창업단계에 이를 수 있는 주요한 요소들의 특성과 외부의 환경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들은 무엇이며 각 요소 및 변수들의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의 발전과의 상관, 인과 관계를 연구, 고찰해 보며 주요한 요소들 각각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이를 토대로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 창업 기업에 있어서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의 발전에 대한 주요 성공 요인을 해외에서의 창업 성공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와 국내의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여보고자 한다.

  • PDF

편안한 숙면을 위한 IoT 베개 및 매트 (IoT pillow and mat for cozy and deep sleep)

  • 김나령;장우석;김준영;안치형;김영서;이경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62-265
    • /
    • 2020
  • 최근 현대인에게는 질좋은 숙면이 필수적이다. 건강한 숙면을 위해서는 편안한 수면환경이 중요하므로 IoT베개와 매트는 개개인에게 맞는 수면 자세를 잡아 효율적으로 현대인들의 수면의 질을 높여줄 것이다. IoT의 베개의 센서가 머리의 움직임과 방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치된 장치가 자세를 바로잡아주고 장치와 연동된 앱을 통하여 수면의 종류와 패턴, 수면 시간을 상세분석하는 체계적인 맞춤형 수면 관리를 통해 수면 건강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수면 건강정보를 서버에서 종합하여 각 가정의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원격진료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