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자미목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8초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가자미목, 가자미과)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Platichthys stellatus (Pleuronect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권애숙;김구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4-280
    • /
    • 2014
  •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의 정자는 대부분의 경골어류에서와 같이 첨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구형의 핵, 짧은 중편 및 꼬리를 가진 전형적인 수중형의 정자 형태를 하였다. 정자의 미세구조는 전자밀도가 높은 염색질 부위를 가지는 핵과 핵 기부에 위치한 깊이 함입된 핵와(nuclear fossa) 그리고 그 속에 기부 중심립과 말단부 중심립이 포함되어 있었다. 두 중심립은 90도의 각도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중편 세포질에 배열되어 있으며 핵의 후반부와 꼬리의 기부를 둘러 싸고 있었다. 꼬리는 축사와 2개의 lateral ribbon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가자미류의 공유형질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모양, 핵와의 모양과 크기에서는 종 특이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특히 강도다리 정자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basal foot, rootlet 그리고 alar sheets로 구성된 기저체이었다. 이 구조의 형태적 특징은 다른 종들 사이에서 아주 다양하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는 가자미목의 계통적 관계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형질로 여겨진다.

한국산 가자미목 어류 2 미기록종 (First Record of Two Sinistral Flounder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이충렬;이철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5-370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의 남해 연안에서 출현하고 있는 가자미목 어류 2종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되지 않은 붕넙치과의 Psettina tosana와 넙치과의 Pseudorhombus oculocirris로 동정되었다. P. tosana는 형태적으로 P. gigantea와 P. iijimae와 비슷하나 P. tosana는 가슴지느러미 연조가 9~10이고, 측선린수가 적으며, snout 주변이 검지않아 P. gigantea와 다르고, 새궁의 상지에 새파가 없고, 하악의 치열이 1열인 점이 P. iijimae와는 구별되었다. 한편 P. oculocirris는 P. pentophthalmus에 비하여 측선비늘 수가 많고, 유안측의 전비공만 tubular 타입에 flap이 존재하고, 등지느러미 앞쪽의 유리된 연조가 약간 납작하고, 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포항시 여남동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산출된 가자미목 화석의 기재와 의의 (The description of the Flat fish (Pleuronectiformes) Fossils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Yeonam-dong in Korea and its Implication)

  • 고주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0
    • /
    • 2016
  • 신생대 어류 화석 4개체가 포항의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발견되었다. 본 화석은 뒷지느러미의 앞쪽 담기골(pterygiophore)이 연장되어 있고, 후의쇄골(postcleithrum)이 존재하며, 두 개의 인접한 혈관극 사이에 뒷지느러미 담기골 두개가 거의 일정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하미축골(hypurals)이 융합되었고, 세 번째와 네 번째 하미축골과 첫 번째 전미추체(preural centrum)가 융합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인근의 잘 발달된 판상 신경극과 낚시바늘모양의 미설골(urohyal)이 존재하고, 그 좌골부(sciatic part)가 꺾여있다. 그리고 준하미골(parahypural)이 첫 번째 전미추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볼 때, 이 화석은 국내 최초의 가지미목으로 동정되었다. 그간의 두호층 지질학적 연구는 천해환경의 생물들이 육상의 큰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떠내려가 저탁류에 의해 심해환경에서 퇴적되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여태껏 천해환경 생물들만 발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호층에서 최초로 심해생물인 가자미류가 보고되었다.

낙동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미성어기의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Basilewsky)의 성장

  • 최설화;강용주;전복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33-234
    • /
    • 2000
  •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Basilewsky) 는 가자미목 가자미과에 속하는 어류이며, 한국, 일본, 중국 연안에 서식한다 (Chyung, 1977). 본 종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와 난 발생에 대한 연구만 되어있다 (Jun et al, 1999; Moon, 1997). 그 외에 외국에서 연령형질, 성장, 성숙과 산란, 난치자어, 자원관리 등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Hatanaka et al. 1952; Kimoto et al. 1991; Masaki et al, 1986; Mori et al, 1986; Uehara and Shimizu, 1996). (중략)

  • PDF

낙동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Basilewsky)의 식성

  • 전복순;최설화;강용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35-236
    • /
    • 2000
  •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Basilewsky)는 가자미목 (Order Pleuronectiformes) 가자미과(Family Pleuronectidae)에 속하는 어류이며, 한국, 일본, 중국 연안에 서식한다 (Chyung, 1977; Kim et al., 1994). 본 종에 대해서는 국외에서는 연령형질, 성장, 성숙과 산란, 난치자어, 자원관리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Moon (1997)의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와 Jun et al. (1999)의 난 발생에 대한 연구만 되어 있을 뿐이다. (중략)

  • PDF

한국산 가자미목 어류 3종의 재기재 (Redescriptions of the Three Pleuronectiform Fishes (Samaridae and Soleidae) from Korea)

  • 박정호;김진구;최정화;장대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3-80
    • /
    • 2007
  • 한국 남해안에서 저층 트롤로 채집된 가자미목 어류 3종을 표본에 근거하여 재기재하였다. Samaridae (국명신칭: 신월가자미과)에 속하는 Samariscus japonicus (표준체장 73.4 mm 1개체)는 유안측에 5개의 가슴지느러미 연조를 가지고 무안측에는 가슴지느러미가 없다. 같은 과의 Plagiopsetta glossa (표준체장 53.6~125.8 mm 20개체)는 유안측은 흑갈색이고 가슴지느러미 연조가 8~10개이며, 6개의 고리 모양의 검은 반점이 있다. 또한 납서대과에 속하는 Aseraggodes kaianus (표준체장 74.1~83.4 mm 3개체)는 유안측의 몸과 지느러미에 흑갈색 그물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저인망에 채집된 거제도 남동지역 해약의 어류상 (Fauna of Fish Collected by Otter Trawl at Coast off the Southeast Area of Geoje Island)

  • 윤창호;심재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7-174
    • /
    • 2000
  • 거제도 남동 해안지역의 한려해상국립공원 보호구역에서 해상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거제도 일운면 예구리, 남부면 다대리 및 남부면 저구리 해얀지역에서 1999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어류는 총 16목 47목 69속 85 종 2, 78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45종이 출현한 농어목(Perciformes), 10종씩 출현한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및 횟대목(Scorpaseniformes)의대부분 저서생활을 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가장 만하은 개체가수가 채집된 어류를 줄비늘치(Coelorhyncus multispinulosus) 458개체(16.4%)로 확인되었고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384개채(13.8%), 노랑촉수(Upeneus bensasi) 285개체(10.2%) 등의 순 이었다. 조사시간 6월에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어류가 채집되었다.

  • PDF

LHRHa 펠렛의 근육삽입에 의한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액의 증산 효과

  • 문승현;장영진;임한규;이종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31-232
    • /
    • 2000
  •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는 분류학적으로 가자미목 강도다리속에 속하는 어류로서 우리나라 북부연안, 일본, 태평양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산란을 위해 강하류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연안정착성 어류이다. 최근 하천 및 연안의 오염으로 인하여 강도다리의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어, 양식기술 개발을 위한 인위적인 어미의 성숙촉진 및 종묘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넙치류와는 달리 수컷 어미의 정액량이 적어 종묘생산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암컷에 비해 수컷의 정액량이 적어 종묘생산이 어려운 어종인 뱀장어(Ohta et al., 1996)와 감성돔(Lau et al., 1996)에서는 호르몬을 투여하여 정액량을 증산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중략)

  • PDF

소흑산도(小黑山島) 일대(一帶)에 서식(棲息)하는 어족(魚族) 자원(資源)과 그 특성(特性) (The Fish Fauna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ohuksando Island,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4-73
    • /
    • 1996
  • 1993년 6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소흑산도(小黑山島) 주변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어류를 조사한 결과 모두 3강(綱) 14목(目) 59과(科) 97속(屬) 128종(種)이 서식(棲息)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서 농어목(目) 어류가 모두 27과(科) 44속(屬) 54종(種)으로 전체 어류의 42.2%로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횟대목(目) 어류로서 8과(科) 15속(屬) 25종(種)으로 19.5%에 해당되었다. 이외에도 가자미목(目) 어류가 5과(科) 13속(屬) 16종(種)으로 12.5%였고, 복어목(目) 어류가 3과(科) 4속(屬) 8종(種)으로 6.3%였다. 한편 이들 중 많은 종(種)을 포함(包含)하고 있는 분류군은 횟대목(目)의 양볼락과(科)로서 13종(種)이 확인(確認)되었고, 다음이 농어목(目) 어류의 민어과(科)와 가자미목(目)의 가자미과(科)로 각각 8종(種)씩 출현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서식(棲息)이 확인되지 않았던 종(種)으로 Cypselurus unicolor, Signauns canaliculutus, Tarphops elegans 등의 3종(種)이 추가 확인되었고, 이 외에도 Raja sp., Scorpaenopsis sp. Sebasticus sp., Entomacrodus sp. 및 Psettodes sp. 등이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한편 본 해역에서 출현하고 있는 어종(魚種)중에서 경제적(經濟的)으로 부가가치(附加價値)가 높은 종(種)으로는 Raja kenojei, Sebastes schlegeli, Sebastes thompsoni, Lateolabrax japonicus, Nibea albiflora, Argyrosomus argentatus, Pseudosciaena poliactis, Miichthys miiuy, Mugil cephalus, Paralichthys olivaceus, Cynoglossus joyneri 및 Cynoglossus semilaevis 등(等)이고 이 중에서 Sebastes schlegeli와 Sebastes thompsoni는 소흑산도(小黑山島)를 상징(象徵)할 수 있는 대표적(代表的)인 어종(魚種)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