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이드라인

Search Result 2,908,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notation Guidelines for Korean Sentiment Analysis and Annotation Tool (한국어 감정분석을 위한 말뭉치 구축 가이드라인 및 말뭉치 구축 도구)

  • Ha, Eun-Ju;Oh, Jin-Young;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84-87
    • /
    • 2018
  • 한국어 감정분석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학습 및 평가 말뭉치 표현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본 논문은 한국어 감정분석에 대해 정의하고, 말뭉치 제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또한, 태깅 가이드라인에 따라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한국어 감정분석을 위한 반자동 태깅 도구를 구현하였다.

  • PDF

Korean Proposition Bank Guidelines for ExoBrain (ExoBrain을 위한 한국어 의미역 가이드라인 및 말뭉치 구축)

  • Lim, Soojong;Kwon, Minjung;Kim, Junsu;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50-254
    • /
    • 2015
  • 본 논문은 한국어 의미역을 정의하고,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한국어 의미역 인식 기술을 개발할 때 필요한 학습 말뭉치를 구축할 때 지켜야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 의미역 정의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Proposition Bank를 따르면서,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또한 정의된 의미역 및 태깅 가이드라인에 따라 반자동 태깅 툴을 이용하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 PDF

Korean Dependency Guidelines for Dependency Parsing and Exo-Brain Language Analysis Corpus (의존 구문분석을 위한 한국어 의존관계 가이드라인 및 엑소브레인 언어분석 말뭉치)

  • Lim, Joon-Ho;Bae, Yongjin;Kim, Hyunki;Kim, Yunjeong;Lee, Kyu-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34-239
    • /
    • 2015
  • 2000년대 중반 세종 구구조 구문분석 말뭉치가 배포된 이후 의존 구문분석이 구문분석 연구의 주요 흐름으로 자리 잡으면서 많은 연구자들이 구구조 구문분석 말뭉치를 개별적으로 의존구조로 변환하여 구문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한국어 문장의 의존구조 표현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여 서로 다른 의존구조로 변환 후 구문분석을 연구함으로써 연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한국어 문장에 대한 의존관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구축한 엑소브레인 언어분석 말뭉치(725 문장)에 대해 소개한다.

  • PDF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발행한 2007년도판 치과의사에 의한 진정법과 전신마취 사용 가이드라인 -번역-

  • Seo, G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9 no.2
    • /
    • pp.119-128
    • /
    • 2009
  • 국내에서도 많은 치과의사들이 임상에서 진정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국내에 이와 관련된 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임상에서 진정법 시행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격기도 하고, 법적인 문제에 휘말리기도 하고 있다. 이에 대한치의학회에서는 치과 진정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참고가 될 만한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발간한 진정법 관련 가이드라인을 완역하여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Model of Safety Guideline based on Affordance Design (어포던스 디자인 관점의 안전가이드라인 개발 모형 연구)

  • Kim, Hwoikwang;Kimm, Hyo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1
    • /
    • pp.447-454
    • /
    • 2017
  • Human desires start from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basic living environment. The development model of the safety guidelines will start from a sense of departure from collective psychology and systemic environment, at the time of inducing threats to threats. The design and methodology of the safety guidelines should be drawn up repeatedly by the sequence of iterative models, and the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design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public services through the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Various and complex threats attempt to derive insights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to derive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the safety guidelines and the sophistication of the user experience, and to extract ins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s perspective and supervision model. This derived insight can be implemented as a multi-dimensional service model derived from the same problem consciousness methodology.

A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in In-vehicle Infortainment System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유저인터페이스 설계가이드라인 연구)

  • Yang, Hyun-Seung;Kang, Ki-Dong;Son, Je-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12-318
    • /
    • 2007
  • Before Market 차량용 정보기기는 엔터테인먼트, 네비게이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각각의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환경 및 사용자 요구조건이 상이하고 부품개발업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완성차업체에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의 통합을 위해서는 각기 다른 환경을 고려한 일관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위한 설계가이드라인이 요구된다. 차량환경에 있어 차량정보기기의 조작은 잠재적으로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으로 규정할 수 있고 의무적 규제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안전을 고려한 유저인터페이스의 개발은 이제 막 시작한 차량 내 컨텐츠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저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것으로 기존 양산된 차량정보기기에 대한 분석, 경쟁차 벤치마킹, 국제 표준유저인터페이스 설계가이드라인 연구를 통해 기본방향을 수립하고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화면, Work-flow, GUI를 포함하여 표준을 정의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 Hong, Hae-Sook;Lee, In-Keun;Cho, Hune;Kim, Hwa-S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3
    • /
    • pp.49-56
    • /
    • 2011
  •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programs supporting lifelong education for nurses and students of nursing, which are not restricted by time or space and use personal computers or smartph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CC(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into a education program and provides guideline to support clinical tasks for students of nursing. Comparing the search times of the book guideline and the web guideline developed, this study found that it was over 3.5 times faster. And its error rate was over four times lower. This result shows that it can provide accurate intervention for patients since it approaches to intervention and evaluation guideline fast and precisely in the actual tasks of nursing.

일본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가이드라인 동향

  • Park, Choon-Sik
    • Review of KIISC
    • /
    • v.20 no.1
    • /
    • pp.19-30
    • /
    • 2010
  •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기업의 정보화도 급속하게 추진되고 이에 따른 역기능인 정보보호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개인 정보 유출, 영업 영보 누설, 기업 내부 핵심 기술 유출 등은 현재 중소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며 대기업으로 부터의 위탁 업무를 수행하거나 자체 업무를 위해서도 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통계나 보고 자료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자금 면이나 인력 면 등에서 중소기업이 정보보호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구현하여 운영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실정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도 정보보호진흥원(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발행하여 중소기업의 정보 보호 대책을 수립하는 등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대책을 위한 많은 지원을 해 왔다. 우리나라와 유사한 환경에 있는 일본에서도 최근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가이드라인을 발행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수립과 지원에 참고하고자 2009년도에 발행한 일본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A Comparative Study on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Policy among Countries (국내.외 홍수예보 정책의 비교 분석)

  • Choi, Heung-Sik;Lee, Woong-Hee;Jun, Jae-R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29-834
    • /
    • 2012
  • 선진 외국에서는 홍수예보 시스템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홍수예 경보를 위한 정책적 가이드라인 및 홍수시 주민의 행동요령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홍보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현재 홍수위험지도(홍수피해예상지도)의 홍보 및 주민 대피요령 등 홍수피해경감을 위한 정책적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홍수예 경보관련 법 제도의 변화과정 및 현행 홍수예보관련 법령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홍수예 경보관련 기관의 구조체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홍수예보 정책은 통합된 홍수예보만을 위한 내용으로의 법적 편제가 필요하며, 정확하고 신속한 홍수예보를 위한 정책적 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홍수예 경보 시스템의 활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국가차원에서의 국민에 대한 홍수 예방 교육 및 홍보, 아울러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홍수위험 지역의 주민에 대한 홍수대피요령 등의 내용을 포함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 PDF

Study on Making Chunking Dataset for Keyword Extraction and its Improvement Methods (키워드 추출용 구묶음 데이터 구축 및 개선 방법 연구)

  • Lee, Minho;Choi, Maengsik;Kim, Jeongah;Lee, Chunghee;Kim, Bohui;Oh, Hyo-Jung;Lee, Yeon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12-517
    • /
    • 2020
  • 구묶음은 문장을 겹치지 않는 문장 구성 성분으로 나누는 과정으로, 구묶음 방법에 따라 구문분석, 관계 추출 등 다양한 하위 태스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의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구묶음 방식을 제안하고, 키워드 단위 구묶음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해당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구축한 데이터와 BERT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 및 평가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여 78점의 F1점수를 얻었다. 이후 패턴 통일, 형태소 표시 여부 등 다양한 개선 방법의 적용 및 재실험을 통해 가이드라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