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용길이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252초

미생물비료 인산가용화균이 오이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 on Cucumber Productivity)

  • 이태근;박동하;주영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1-67
    • /
    • 2002
  •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 시키는 Penicillium sp. PS-113와 Lactobacillus sp.를 이용하여 온실에서 오이에 대한 생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6$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평균 오이 길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3cm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고, 오이 낱개의 무게는 310.6g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89.2g이 증가하였으며, 오이 전체 생산량은 10,681.7g로 무처리구와 비교해 볼 때 4517.3g이 많아 생산량이 73% 증가하였다. PS-113 $5.0{\times}10^5$cfu/ml 단독처리와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 처리구도 오이의 평균 무게와 길이에 있어 무처리구보다 약간씩 더 높았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오이의 수가 2개 적었으나 오이 전체 생산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 처리구에서 53.7%,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48.5% 증가하였다. 따라서 인산가용회균의 처리가 오이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TAB, TTAB 및 CTAB)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hermodynamic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Aniline by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TAB))

  • 이동철;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43-1152
    • /
    • 2019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TAB, TTAB 및 CTAB)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UV-Vis법을 이용하여 가용화상수(Ks)와 열역학 함수들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온염과 유기물의 첨가가 가용화상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온도변화에 따른 Ks값의 변화를 계면활성제 종류별로 비교하고 분석하였으며, 가용화상수로부터 구한 여러 열역학적 함수를 비교하고 검토함으로써 아닐린의 가용화현상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현상에 대한 Gibbs 자유에너지와 엔탈피 변화 값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엔트로피 변화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가용화상수 값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계면활성제의 탄소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온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용화에 대한 Gibbs 자유에너지값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n-부탄올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ibbs 자유에너지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TAB)에 의한 4-할로겐화 아닐린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4-Halogenated Anilines by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TAB))

  • 이병환;이동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94-1002
    • /
    • 2021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TAB)에 의한 4-할로겐화 아닐린의 가용화상수(Ks)값을 UV-Vis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아닐린 유도체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Ks은 모두 감소하였으며, 할로겐 치환기의 반지름과 계면활성제의 소수기길이를 증가할수록 Ks값은 더욱 증가하였다. 이들 가용화상수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ΔGo와 ΔHo값은 측정한 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ΔSo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아닐린 유도체에서 온도를 증가함에 따라 ΔGo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온도의 증가에 따라 ΔHo와 ΔSo값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할로겐치환기의 반지름을 증가할수록 이들 열역학 함수 값들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소수기길이를 증가하였을 때 이들 열역학 함수 값은 아닐린유도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열역학 함수 값들의 변화로부터 4-할로겐화 아닐린과 미셀과의 상호작용의 종류와 세기를 그리고 이들이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일반계와 통일계 쌀 전분과 분획의 몇가지 구조적 성질 비교 (Comparision of Som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Japonica and Tongil Rice Starches and their Fractions)

  • 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7-192
    • /
    • 1992
  • 일반계와 통일계 쌀 전분에 대한 구조적 성질을 조사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쌀 성분의 호화온도 범위는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넓었고 쌀 전분의 최대 흡수파장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높았다. 고유점도는 전분,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모두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낮았다. ${\beta}$-아밀라아제 분해 한도는 전분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약간 낮았다. 아밀로펙틴의 평균 사슬 길이와 바깥 사슬 길이는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짧았으나 안쪽 사슬 길이는 차이가 없었다. 열수 가용성 전분과 아밀로오스 함량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높았다. 또한 열수 가용성 전분을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는 품종마다 독특한 용출모양을 보였다.

  • PDF

p-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에서 계면활성제분자의 머리-그룹과 꼬리-그룹이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rfactant Molecules’ Head- and Tail-groups on the Solubilization of p-Chlorobenzoic Acid)

  • 이병환;이남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5호
    • /
    • pp.379-386
    • /
    • 2015
  •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그들의 혼합 계면활성제용액에서 p-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상수(Ks)를 UV-Vis법으로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분자에서 탄소사슬의 길이가 서로 다른 소수성 꼬리-그룹과 친수성인 머리-그룹의 변화가 가용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온도변화에 따른 Ks 값의 변화로부터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 값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계면활성제용액에서 p-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에 대한 ΔGo 값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ΔHo와 ΔSo의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간 신호처리를 위한 가변구조 Data Acquisition Buffer의 구조를 갖는 DSP평가용 System. (A DSP Evaluation System with variable Data Acquisition Buffer Architecture for Real Time Signal Processing)

  • 안동순;서호선;차일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95-101
    • /
    • 1989
  • 일반 DSP들은 새로운 algorithm 및 응용 system의 개발을 위해서 전용 development system 및 simulator가 필수 불가결의 요소이다. 그러나 대부분 development system은 일반화된 내부 구조에 의해 그 유연성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A/D입력과 D/A출력 data를 저장하는 buffer의 길이를 program에 의해 1 sample 단위부터 최대 2K sample 단위까지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buffer도 2중 구조로 하여 연속 신호의 처리가 가능도록 한 DSP평가용 system을 개발하였다.

  • PDF

기상상태를 고려한 가용송전용량 산정 (Calculation of ATC considering wether conditions)

  • 심헌;김동민;김진오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4
    • /
    • 2007
  • 가용송전용량(ATC) 계산의 기준이 되는 총송전용량(TTC)은 일반적으로 열, 전압, 안정도 한계치에 의해 결정된다. 국내 계통의 송전선로 길이를 고려할 때 이 세 가지 한계치 중 열 정격은 TTC 결정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열 정격에 기상상태의 변화를 고려한 송전용량(DLR)의 개념을 도입하고 TTC를 결정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주변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따른 정확한 계산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실시간 사용 가능한 용량의 평가가 가능토록 한다. 사례연구에서는 KEPCO의 PSS/E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보였다. DLR을 적용한 ATC평가의 방법은 전기적 안전 범위 내에서 ATC의 평가 결과를 증가시킴으로써, 선로 운영자에게 경제성 측면의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동적 송전 용량을 적용한 총 송전용량 및 가용송전용량 산정 (Calculation of TTC and ATC considering dynamic thermal limit)

  • 김동민;배인수;김진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60-362
    • /
    • 2006
  • 가용송전용량(Available Transfer Capability : ATC) 계산을 위해 우선 견정해야할 요소는 총 송전용량(Total Transfer Capability : TTC)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열, 전압, 안정도 한계치에 의해 결정된다. 국내 계통의 송전선로 길이를 고려할 때, 이 세 가지 한계치 중 열 정격은 TTC 결정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열적 한계치에 동적 송전용량(Dynamic Line Rating : DLR)의 개념을 도입 하여 TTC를 결정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주변 환경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정확한 계산 결과를 제공함으로서,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IEEE-24 모선 RTS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 PDF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작업할당기법 (A Job Scheduling Method for Digital Contents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Idle Computing Resources)

  • 김진일;송정영
    • 공학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05
  • 다중 서버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구 서버를 처리하는 서버를 결정하는 데 있어, 시스템의 전체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서비스 요청의 응답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서버 환경에서 구축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적합한 작업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클라이언트 요구 작업의 예상 서비스시간, 각 서버의 가용길이, 각 서버의 부하량을 퍼지화하고 전문가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서버 선정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증명한다.

  • PDF

154kV 수전설비용 가선금구(인류형 클램프)와 자기애자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특성 (Corna Characteristics of Between Compression Clamp or Dead End clamp and Porcelain Insulator Used 154kV Receiving Electrical Facility)

  • 한운기;김종민;방선배;김한상;최형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44-2045
    • /
    • 2007
  • 코로나 발생은 전극의 첨점이 형성되어 전극에 전계가 집중될 경우 불균질성에 의한 방전이다. 수용가용 154kV 인류형 클램프 말단의 전선처리는 코로나 발생을 가속시켜 전력손실, 노이즈 발생 등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가용 154kV 수전설비용 자기애자 (Porcelain Insulator)와 가공선로(Overhead Line)의 지지용 금구사이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일반적 방법으로 확인 되지않는 코로나를 UV Image 이용하여 애자의 소손 위험성 및 상태를 제시하였으며, 유한요소법(FEMLAB)을 이용하여 나전선의 길이별로 전계분포에 의한 위험성을 제시하였다. 수전설비의 설치조건 및 금구류의 유지보수 및 안전성 향상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