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열 압력

Search Result 2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소성가공에 관한 몇 가지 현상 해설

  • Choe, Jae-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 no.3
    • /
    • pp.5-12
    • /
    • 1985
  • 압력유도연성(Pressure-lnduced Ductility) : 금속성형공정에서의 가장 중요한 인자는 가공물의 연성이다. 금속학적인 측면에서의 연성이란 실온에서 측정되는 것이며 가장 일반적인 연성연성측정방법은 인장시험이다. 금속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통의 방법은 가열이며 대부분의 경우 가열된 재료는 보다 연하게 되므로, 보통가열은 변형한도를 증가시키고 성형력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 런데 Bridgman은 금속의 연성이란 금속학적 성질 뿐 아니라 주변압력이라는 기계적 방법에 의해서도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는 응력-연신률 선도에서 얻어진 금속의 연성은 정수압을 가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중간응력, 평균응력, 정수압 응력, 정수압 압력, 주변압력 등의 용어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진다. 재료의 금속학적성질 뿐 아니라 공정의 압력도 변수로 작용하여 성형성을 개선시키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압력유도연성(PID)은 주변압력이 재료내부에서의 공동발생 및 그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얻어진다. 공동 의 합체 및 성장은 연성파괴의 전제조건이 되므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 성형성 및 연성이 증가된다. 공동의 형성 및 예방 과 인장봉의 강도와 변형에 미치는 압력효과의 수학적 해석은 참고문헌 2에 나타나 있다. 이 압력유도연성은 Bobrowsky, Pugh와 Green, Alexander등에 의해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Loss calculation and Cost Prediction for Induction Heating Coil of IH Jar (IH밥솥의 유도 가열 코일 손실 계산 및 Cost 예측에 관한 연구)

  • Ryu, Seung-Hee;Park, By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1037-1039
    • /
    • 2002
  • 가전산업과 연계하여 유도가열 기술을 응용한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IH압력밥솥을 예로 들 수 있다. 유도가열 코일에서 고주파 자속의 의해 발생된 와전류가 결합된 밥솥을 가열하기 때문에 유도가열 코일에는 고주파 손실을 줄이기 위해 Litz wire가 사용된다 이에 본 논문은 특히 IH압력밥솥에 사용되는 Litz wire를 선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는 소선경, 가닥수별 AC DC 저항 및 손실계산 그리고 Cost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valuation of Spalling Property and Water Vapor Pressure of Concrete with Heating Rate (가열 속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폭렬 특성 및 내부 수증기압력 평가)

  • Choe, Gyeong-Cheol;Lee, Tae-Gyu;Nam, Jeong-Soo;Park, Byung-Keun;Kim, Gyu-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4 no.5
    • /
    • pp.605-612
    • /
    • 2012
  • Spalling of concrete occurs due to vapor pressure ignited explosion, temperature difference across a section, and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Factors affecting spalling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material proper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respectively, have to be considered to precisely understand spalling behavior.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differences in heating rate cause internal humidity cohesion and different vapor pressure behavior. Therefore, spalling property, vapor pressure and thermal strain property were measured from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s of 30 MPa, 50 MPa, 70 MPa, 90 MPa, and 110 MPa, applied with ISO-834 standard heating curve of $1^{\circ}C/min$ heating rat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palling occurred when rapid heating condition was applied. Also, when concrete strength was higher, the more cross section loss from spalling occurred. Also, spalling property is influenced by first pressure cancellation effect of thermal expansion caused by vapor pressure and heating rates.

Generation of Pressure/Temperature Limit Curve for Reactor Operation (원자로 운전을 위한 압력/온도 한계곡선의 설정)

  • 정명조;박윤원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55-164
    • /
    • 1997
  • A reactor pressure vessel, which contains fuel assemblies and reactor vessel internals, has the thermal stress resulting from the cool-down and heat-up of the vessel wall in combination with the pressure stress from system pressure resulting in large stresses. The combination of the pressure stress and thermal stress along with a decrease in fracture toughness may cause through-wall propagation of a relatively small crac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operating pressure and temperature during cool-down and heat-up. In this study, theory of fracture mechanics for a pressure/temperature limit curve is investigated and a numerical procedure for generating it is developed. Plant-specific limit curves for the Kori unit 1 plant, the oldest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have been obtained for several cooling and heating rates and their results are discussed.

  • PDF

Mineral Content in Sam-Gye-Tang Broth according to Cooker and Boiling Time (조리용기와 가열시간에 따른 삼계탕 용출액 중 무기질함량에 관한 연구)

  • 박세원;김선태;유양자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9 no.1
    • /
    • pp.52-56
    • /
    • 1993
  • This study was examined on the change of mineral contents (Calcium, Potassium, Magnesium Zinc, Iron, Sodium, Phosphorus) in Sam-gye-tang broth cooked by various cooker and boiling ti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uldron, the contents of Calcium, Potassium, Magnesium Zinc Iron Sodium, Phosphoru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boiling time. In pressure cooker, the contents of Calcium, Potassium, Magnesium, Zinc are increased according to boiling time but the contents of Iron, Sodium, Phosphorus were showed the maxium value at 120 minutes and were decreased since then. 2) Ca/P was 1:0.91 in raw materials of Sam-gye-tang. But the extracting rate of Ca/P of the broth cooked in cauldron was 1:3.58∼1:4.68 and 1:2.02∼l:3.96 in pressure cooker. This rate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recommended one of 1:1∼l:1.5. 3) In the increasing rate of minerals according to boiling time, the increasing rate of Calcium was showed similar in cauldron and pressure cooker, but Potassium, Magnesium, Sodium, Phosphorus were showed the maximum increasing rate from 30 to 60 minutes in cauldron and pressue cooker. Zinc was showed the maximum increasing rate from 120 to 150 minutes in cauldron and from 30 to 60 minutes in pressure cooker.

  • PDF

Exergy analysis on the power recovery of LNG supply system (냉열 에너지의 동력 회수에 대한 엑서지 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Il-Hwan;Kim, Choon-Se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3 no.1
    • /
    • pp.9-14
    • /
    • 2011
  • The expansion work that is wasted through the irreversible expansion through the PC valve of decompression process of the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can be recovered by replacing the process by an isentropic expansion. The energy and exergy analyses for the two decompression process models of power producing and current decompression process model are presente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xergy by gas supply is 56.29%, the exergy by producing power is 32.12 % in case of preheating system and 22.52% in case of non-preheating system. The dead exergy at the PCV is generated much more network. As these results, the usefulness of exergy analysis is verified.

  • PDF

신문용지의 소프트 닙 캘린더링

  • Lee, Hak-Rae;Lee, Sa-Yong;Ryu, Hun;Jeon, Dae-Gu;Kim, Ch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1999.04a
    • /
    • pp.44-44
    • /
    • 1999
  • 전적으로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소프트 닙 캘린더 피복의 국산화를 위해 시험 제작 된 소프트 닙 캘린더용 연질롤의 캘린더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정 변수에 따른 신문 용지의 물성변화를 평가하였다. 연질 롤로는 (주)광성고무롤에서 시험제작된 경도 90 Shore D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캘린 더링 시의 압력, 가열 롤의 표면온도, 닙 체류 시간, 유입지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신문용지 의 별크, 평활도, 광택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불투명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별크는 캘린더링 시 압력, 가열 롤의 표면온도,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별크가 크게 감소되었으며, 닙 체류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1 120 226;C 이하에서 캘린더링을 실시하는 것이 별크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평활도는 가열 롤의 표연 온도, 닙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었으며, 선압과 함 수율 증가에 의해서도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 인장강도는 유입지의 함수율, 닙 체류시간,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모두 상승할 경우 증 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함수율 증가에 의해 섬유의 유연성이 향상된 상태에서는 칼렌더링 온도와 닙체류 시간 증가에 의한 섬유의 기계적 변형과 열전달에 의한 섬유의 열 변형이 효과적으로 발생하여 섬유간 결합면적이 증가된 결과로 생각되었다. 인열강도는 소프트닙 캘린더링 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캘린더링 온도와 닙체류시 간은 인열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 닙 캘린더링 시 발생하는 인 열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닙 체류시간을 짧게 적용하고 섬유의 열변형이 종이의 표변 에서만 일어날 수 있도록 유입지 함수율과 가열롤의 표면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 하리라 판단되었다.광택도는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닙 체류시간에 따라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20도씨에서는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광택도가 오히려 감소하기도 하였다. 불투명도는 벌크와 마찬가지로 압력이 높고 가열롤의 표면온도가 높은 경우 낮게 나타 났다 특히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였다.

  • PDF

초고압 가공처리의 가열 효과

  • Hong, Seok-I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07-111
    • /
    • 2002
  • 초고압 가공처리는 별동의 화학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온에서 식품유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분야에서 주목받는 새로운 가공기술이다. 이러한 초고압 처리의 장점 덕분에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그대로 보존되는 고품질 식품의 제조도 가능하다. 고압 조건에서의 미생물 사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흔히 실험실 규모의 장비(그림 1)을 사용하여 소량의 미생물 접종액을 처리함으로서 대량 처리시(그림 2)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에 개발된 실험실 귬의 초고압 처리장비에는 일반적으로 고압용기 내부에 온도감지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압력 조건 하에서의 압축발열 및 순간 감압냉각 효과가 제대로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열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초고압 처리기 특유의 가압 특성 대문에 실험 결과의 재현성을 얻기가 힘들고, 특히 대용량 생산설비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론적으로 초고압 처리는 매우 예측 가능한 공정이다. 즉 고압요기 내부에서는 어느 지점이던 간에 압력이 고르게 분포되고, 가열 확산에 근거한 처리공정과는 달리 압력이 모든 지점에 순간적으로 공정상 불균일이 야기될 소지가 있는 부분은 오직 압축에 다른 발열과 열 전달에 의한 온도 편차에 기인한다. 실제로 처리 대상 제품과 압력 전달매체의 압축시 발열정도 차이와 시료, 매체, 고압용기 간의 열 손실 또는 열 흡수 대문에 고압처리 공정에서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Heating of Fuel Oil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Engine Performance (연료유 가열이 디젤기관의 연소특성 및 기관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대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5 no.2
    • /
    • pp.82-86
    • /
    • 1989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temperature of diesel fuel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engine performance in a home-made precombustion diesel engine for small-sized fishing boat.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uel injection timing was delayed with increase in temperature for diesel fuel, and remarkably delayed at low load. 2. The point of maximum pressure was delayed with increase in temperature for diesel fuel, the maximum pressure decreased with increase in temperature for diesel fuel but increased with increase in load. 3. The brake specific fuel comsumption (BSFC) decreased with increase in load,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heated fuel was about 15$0^{\circ}C$. 4. The smoke emissions increased with increase in load and temperature for diesel fuel.

  • PDF

Low Temperature Hermetic Packaging by Localized Heating using Micro Heater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부분 가열 저온 Hermetic 패키징)

  • 심영대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19
    • /
    • 2002
  •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시스템 패키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제작하여 패키징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와 새로운 미세 가열기의 형상을 각각 제작하여 접합시에 미세 가열기에 발생하는 열분포를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가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는 매우 균일하게 가열되는 형상을 나타내었다. IR 카메라 실험을 바탕으로 접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접합 실험시 사용한 미세 가열기는 폭 50$\mu\textrm{m}$, 두께 2$\mu\textrm{m}$로 제작하였으며, 0.2 Mpa의 압력을 Pyrex glass cap에 가한 상태에서 150 mA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서 접합을 완료하였다. 접합이 완료된 시편들에 대해서 IPA를 통한 leakage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66%가 테스트를 통과한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85% 이상이 테스트를 통과하였다. Leakage 실험을 통과한 각각의 시편들에 대해서 접합력 측정을 실시한 결과,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15~21 Mpa의 접합력을 나타내었고,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25~30 Mpa의 우수한 접합력을 나타내었다.

  • PDF